LA한인타운의 미식 지형도를 논할 때 ‘코리안 바비큐(K-BBQ)’는 빼놓을 수 없는 상징이다. 지글거리는 불판 위 익어가는 고기 냄새는 국적 불문하고 많은 이들을 유혹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무제한 고깃집(AYCE BBQ)’은 한인타운 외식업계의 독특한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다. 그 역사의 시작을 거슬러 올라가면 1990년대 웨스턴과 멜로즈 인근에 문을 연 ‘청운부페’를 만나게 된다. 뷔페 형식이긴 했으나 고기에 방점을 찍고 30년 넘게 자리를 지킨 이곳은, 초기 무제한 고기 제공 업소의 원류 격이다. 청운부페 이후 한동안 무제한 고기 뷔페는 장례식 후 식사 장소 정도로만 머물렀다. 정체되어 있던 무제한 고기 시장에 일대 변혁을 일으킨 것은 바로 2000년에 등장한 ‘마당쇠’였다. 파격적인 가격(점심 13달러, 저녁 17달러)에 갈비, 주물럭, 막창 등 한인 선호 부위를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콘셉트는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나아가 옆 건물에 ‘벌몬 정육점’을 열어 소비자가 원하는 부위를 따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단순한 식당을 넘어선 사업 확장 시도로 평가받는다. 마당쇠가 무제한 고깃집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면, ‘무대포’는 ‘대형화’와 ‘주류화’의 물꼬를 텄다. 기존 상가 건물에서 벗어나 독립 건물을 개조, 높은 천장과 세련된 인테리어를 갖춘 무대포는 타인종 고객들에게도 어필하며 대형 무제한 고깃집의 새로운 성공 모델을 제시했다. 외국인 고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또 다른 대형 업소로는 ‘추풍령’이 있다. 알함브라에 2호점을 냈다가 매각하기도 했지만, 한인타운 내 옛 ‘쌈’ 자리에는 ‘서울소울’을, 버몬트 길 옛 ‘불판’ 자리에는 추풍령 3호점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무제한 고깃집은 빠르게 세분화되었다. 타인종 고객들에게 인기 있는 ‘불고기하우스’, ‘해장촌’, ‘쭈꾸쭈꾸’, ‘AYCE BBQ & Sushi’ 등이 꾸준히 사랑받고 있으며, 20달러대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주로 히스패닉 고객층을 공략하는 ‘캐슬’과 ‘달대포’ 등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무제한 고깃집 시장의 ‘고급화’를 선도한 것은 ‘우국’이었다. 당시만 해도 무제한은 저가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우국은 세련된 인테리어와 엄선된 고급 부위만을 제공하며 1인당 30달러 이상의 ‘하이엔드 무제한 BBQ’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사실 초기에는 단품 메뉴 중심의 고급 고깃집을 구상했으나, 무제한 BBQ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를 간파하고 과감히 콘셉트를 수정한 것이 주효했다. 한인타운 본점에 이어 알함브라 지점까지 성공시키며 ‘고급 무제한’의 가능성을 증명했고, 이는 이후 상장 기업인 ‘젠바비큐’의 초기 모델이자, ‘샤부야’ 등 외식 브랜드를 성공시킨 경영진의 기반이 되었다. 최근 한인타운에는 새로운 세대의 무제한 고깃집들이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이미 업계 최고 수준의 매출을 기록 중이라는 ‘강남스테이션’, 와규 등 최고급 메뉴를 내세운 ‘무한 BBQ’, 그리고 ‘마당쇠’의 창업자가 새롭게 선보인 대형 매장 ‘청담 BBQ’ 등이 치열한 경쟁을 예고한다. 사실 고기 중심의 ‘무제한 뷔페’라는 개념의 원류를 따지자면, 브라질리언 바비큐(슈하스코)를 빼놓을 수 없다. 서버들이 테이블을 돌며 다양한 종류의 구운 고기를 직접 썰어주는 ‘로드리지오’ 방식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사랑받아왔다. 한인타운의 ‘M그릴’이나 베벌리힐스의 ‘포고 데 차오’ 같은 곳들은 이러한 고기 뷔페 시스템의 자부심을 지키고 있으며, ‘뷔페는 우리가 먼저’라는 그들의 자부심은 충분히 인정받을 만하다. 한편, LA 한인타운에서 시작된 무제한 고깃집의 성공 신화는 주류 시장으로 확장되어 상장으로까지 이어졌다. 우국 경영진과도 연관 있는 ‘젠바비큐’는 터스틴과 알함브라에서 시작해 주로 외국인 고객을 겨냥한 AYCE BBQ 전략을 펼쳤다. 반찬 아웃소싱, 대형 물류 시스템 구축 등 한식당이 겪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거듭한 결과, 3년 전 미국 주식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하는 쾌거를 이루며 K-BBQ AYCE 모델의 사업성을 증명했다. 청운부페의 소박한 시작부터 마당쇠의 대중화, 무대포의 대형화, 우국의 고급화, 그리고 젠바비큐의 상장에 이르기까지, LA 한인타운의 무제한 고깃집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해왔다. 이는 단순한 식당가를 넘어 시대의 흐름을 읽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며 성공 신화를 써온 한인 외식업계의 저력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다. 과연 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다음 주자는 누가 될지, K-BBQ AYCE의 진화는 어디까지 이어질지 자못 궁금해진다. 라이언 오 / CBC 윌셔프로퍼티 대표K타운 맛따라기 무제한 고깃집 무제한 고깃집 무제한 고기 초기 무제한
2025.05.18. 18:46
가성비를 중요시하는 고객이 늘면서 무제한 고깃집들이 속속 다시 등장하고 있다. 최근 LA한인타운에 무제한 BBQ 식당이 연달아 오픈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반 BBQ 식당 고기 1인분 가격이 무제한 메뉴 가격에 육박하면서 가성비 좋은 무제한 BBQ 식당의 인기가 상승 중”이라며 “특히 K푸드 인기로 비한인 고객도 빠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본지 조사와 옐프에 따르면 LA한인타운과 인근 지역 무제한 BBQ 식당은 30여곳이 넘는다. 무제한 식당의 1세대 격은 1985년 문을 연 청운 부페부터 해장촌, 백궁, 우국, 추풍령 등이 있다. 강창훈 청운 부페 대표는 “32년 운영하면서 3세대를 거쳐 찾아오는 고객이 많다”며 “최근 비한인 고객들은 무제한 고기뿐만 아니라 분식과 튀김, 죽 등 전통 한식 메뉴도 좋아한다”고 설명했다. 젊은층 사이 무제한 메뉴가 가성비 높은 메뉴로 인식되면서 쭈꾸쭈꾸, 강남스테이션, TGI 바비큐, 피그야에는 MZ고객들로 가득 차 있다. 무제한 식당 성업에는 코리안 바비큐를 무제한 먹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크게 늘어난 비한인 고객 증가도 한 몫한다. 대표 식당은 해장촌, J바비큐, 추풍령, 올유캔이트 스시 앤 바비큐, 무대포 등이다. J바비큐와 추풍령은 고객의 99%가 타인종이다. 크리스 한 올유캔이트 스시 앤 바비큐 대표는 “고객의 99%가 비한인”이라며 “고기 메뉴에 롤도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어서 라티노 고객이 많다”고 말했다. 대부분 무제한 식당들은 제공하는 소·돼지·닭고기·해산물을 기본으로 세 가지 구성으로 가격을 차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제한 메뉴 가격은 고기 및 해산물 등급과 가짓수에 따라 25달러에서 56.99달러 사이다. 아동은 성인 가격의 절반 수준. 무제한 식당이 늘면서 차별화를 시도하는 업소도 등장했다. 지난달 중순에 개장한 무한과 청담은 와규 오마카세 코스를 추가하며 음식의 고급화를 선언했다. 무한은 쿼터스, 오리진스, 라성돈가스 등 한인 요식업계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온식스애비뉴 호스피털리티의 신생 레스토랑이다. 프리미엄 뷔페식 한국 바비큐를 고급 파인 다이닝 식당에서 경험할 수 있다. 그레이스 조 온식스애비뉴 호스피털리티 홍보 담당은 “서울 도시 야경에서 영감받은 모던하고 깔끔한 인테리어가 특징”이라며 “‘와규 오마카세’는 와규 코스를 먹고 프리미엄 무제한 메뉴와 샐러드바도 이용할 수 있어 반응이 좋다”고 설명했다. 에센셜 34.99달러, 엘리트 45.99달러, 프라임 56.99달러, 와규 오마카세는 89.99달러다. 청담은 지난 25년 동안 진솔국밥을 비롯 20여개 이상 식당을 운영한 주문권 대표의 신생 식당이다. 올데이 스페셜부터 와규 오마카세까지 4가지 등급의 무제한 메뉴를 제공한다. 샐러드바에서는 고기, 분식, 간식 등 30여 가지가 넘는 메뉴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가격선은 28.99달러~78.88달러다. 업소간 경쟁으로 업주들은 고물가 속에 수익선 맞추기에 고심 중이다. 일부 업소는 식사 시간 2시간 제한, 최소 2인 이상 주문, 음식 남기면 벌금 부과 등의 규정을 도입했다. 이은영 기자인플레 무제한 무제한 식당 무제한 고깃집들 무제한 메뉴
2024.09.30. 19:54
15달러로 종일 메트로링크를 무제한 탈 수 있는 ‘서머 데이 패스(Summer Day Pass)’ 판매가 재개됐다. LA메트로링크는 여름 시즌을 맞아 인기 상품인 서머 데이 패스 판매를 30일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패스는 15달러에 판매되는 주중 탑승권으로 LA메트로의 전철, 버스, 경전철 등을 구매한 날에 한해 무제한 탈 수 있다. 이번 15달러 프로모션은 오는 9월 1일까지 진행되며, 주말과 연휴를 포함하는 대체휴일(holiday Monday's)에는 사용할 수 없다. 메트로링크의 대런 케틀 CEO는 “지난해에 반응이 좋아 올해도 프로모션을 진행하게 됐다”며 “여름 시즌이 시작된 가운데 불꽃놀이, 각종 축제, 여행 등 여름 모험을 즐기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메트로링크는 토, 일요일 이용할 수 있는 무제한 주말 이용권을 10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주말 이용권은 구매한 다음 날 오전 3시 이전까지 사용할 수 있다. 티켓 구매는 모바일 앱과 티켓 판매기에서 구매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metrolinktrains.com/summer-day-pass)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무제한 서머 패스 판매 무제한 탑승 무제한 주말
2023.05.30. 21:39
프론티어 항공사(Frontier Airlines)가 여름 휴가 기간에 사용할 수 있는 '올유캔플라이(all-you-can-fly)' 패스를 내놓았다. 가격은 단 399달러. 5월부터 9월 사이에 사실상 거의 무제한으로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항공편을 이용해 방문할 수 있는 도시는 100곳이 넘는다. 올유캔플라이 패스 소지자는 비행편을 이용할 때마다 1센트에 세금과 수수료를 더해서 내면 된다. 여기에는 좌석이나 수하물 배송도 포함된다. 프론티어 항공은 이번 여름에 여러 도시와 푸에르토리코 사이 구간을 다닐 수 있는 새 논스톱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올유캔플라이 패스를 통한 예약은 5월 2일부터 가능하다. 김병일 기자프론티어 무제한 무제한 비행 프론티어 항공사 프론티어 399불
2023.02.02. 17:17
#. 메트라, '월 100달러 무제한 이용권' 연말까지 연장 시카고 통근열차 '메트라'(Metra)가 높은 개솔린 가격에 부담을 갖고 있는 통근자들을 위해 일시적으로 운영했던 ‘월 100달러 무제한 이용권'(Monthly Pass)을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당초 ‘월 100달러 무제한 이용권'은 7월부터 9월까지만 파일럿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개솔린 가격에 부담을 갖는 주민들이 늘면서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메트라측은 "이번 초저가(Super Saver) 프로그램이 많은 통근자들로부터 인기를 끌었다. 시카고로의 통근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큰 주민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메트라측은 시니어·학생·쿡 카운티 남부 주민들에게는 월 무제한 이용권을 70달러에 할인 판매한다. ‘월 무제한 이용권’은 온라인 또는 '벤트라'(Ventra) 어플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 네이퍼빌, 교통법 위반 후 도주 시 벌금 900불 네이퍼빌 시가 경찰에 의해 교통법 위반 등으로 적발된 후 도주를 시도하는 운전자들에게 거액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네이퍼빌 시의회는 최근 법규 위반 후 도주하는 사례가 급증하자 이에 대한 벌금을 900달러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네이퍼빌 시에 따르면 지난 2016년~2019년 매년 평균 15명~25명의 운전자가 법규 위반 후 도주를 시도했지만 지난 2020년에는 50건으로 2배 이상 늘었고 2021년에는 101건으로 급증했다. 문제는 규정상 도주 차량을 무조건 따라가서 세울 수 없다는 점이다. 경찰은 "도주 차량을 추적하다가 스탑 사인 등을 무시하고 더 위험하게 달리는 상황 등이 초래될까 봐 무조건 쫓아갈 수 없다"고 그 동안의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네이퍼빌 시의 이번 조례안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된다. #. 차이나타운 인근 CTA 기차 안에서 총격 시카고 교통국(CTA) 레드라인 열차 안에서 총격이 발생, 1명이 크게 다쳤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7일 오후 레드라인 기차를 타고 가던 남성(31)이 35가와 서맥-차이나타운 역 사이를 지나던 도중 목에 총을 맞았다. 피해자는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경찰은 “피해자가 수사에 협조적이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무제한 이용권 무제한 이용권 연장 시카고 교통법 위반
2022.09.08. 15:08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이용객이 급감한 시카고 통근열차 시스템 메트라(Metra)가 승객을 다시 불러모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시카고와 인근 교외도시를 잇는 광역 통근철도이자 미국 최대 통근열차 시스템인 메트라는 1일, 월 100달러에 거리와 상관 없이 무제한 탑승할 수 있는 특별 요금제를 선보였다. 연장자와 K-12학년 학생들은 70달러에 구매 가능하다. 메트라 월간 승차권의 원래 가격은 구간에 따라 95~300달러이다. 메트라는 '수퍼 세이버'(Super Saver)로 이름 붙인 특별 요금제를 다음달 1일부터 석 달간 시범 운영한 뒤 지속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별요금제 이용권은 오는 20일부터 판매된다. 시카고 트리뷴은 "'메트라' 탑승객 규모가 여전히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개솔린 가격이 고공행진 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클 길리스 메트라 대변인은 "메트라 11개 노선의 탑승객 수는 31일 기준 11만여 명으로 2019년 5월 평일 평균치의 약 4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평일 이용객 수는 28만1100명, 연간 7600만여 명이 이용했다. 짐 더윈스키 메트라 최고경영자(CEO)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개솔린 가격에 주목했다. 전미자동차협회(AAA) 발표에 따르면 1일 기준 시카고 지역 휘발유 평균가는 갤런당 5.41달러로 1년 전 보다 2달러(약 60%) 더 올랐다. 더윈스키 CEO는 "메트라가 팬데믹의 여파를 벗어나기 위해 고객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고객의 의견을 듣고 운행 일정을 새로 만들고 요금 인센티브를 통해 열차 탑승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메트라가 지방정부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고 연방정부의 코로나19 구호자금 일부를 탑승객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하는데 쓸 수 있어 다행"이라고 부연했다. 11개 노선에 242개 역사를 갖춘 메트라는 미국내 최대 규모 통근철도 시스템이며 이용객 수는 뉴욕 대도시권을 기반으로 하는 '메트로-노스 철도'(Metro-North Railroad)에 이어 두번째 많다. 앞서 MNR도 탑승률을 높이기 위해 20% 할인 승차권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판촉 상품을 내놓은 바 있다. MNR는 지난달 탑승객 규모가 팬데믹 이전의 61%(15만8천여 명) 수준까지 회복했다고 밝혔다. MNR 5개 노선(124개 역사)의 팬데믹 이전 이용객 수는 하루 29만여 명, 연간 8700만여 명에 달했다. Kevin Rho 기자•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시카고 무제한 시카고 통근열차 기준 시카고 시카고 트리뷴
2022.06.02. 15:49
내년부터 메트로카드 대신 크레딧카드·스마트폰으로 자동 결제하는 ‘옴니(OMNY)’ 시스템도 일정금액 이상 쓰면 무제한 이용권과 같은 혜택을 받게 된다. 지금까지 옴니는 편리한 대신 1회 편도 결제만 가능해 불만을 샀지만, 옴니로 일정기간 내에 무제한 이용권 금액만큼 결제하면 자동으로 무제한 이용권으로 바꿔주겠다는 것이다. 27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옴니 시스템을 충분히 쓰면 1회 승차권을 무제한 승차권으로 자동 전환하는 ‘운임 상한제(Fare Capping)’ 파일럿 프로그램을 내년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MTA는 작년 말까지 472개 역과 버스 5800대 등에 옴니 리더기 설치를 완료했지만, 7일이나 30일 무제한 패스는 없어 불만을 샀다. MTA가 ‘운임 상한제’를 도입하면 무제한 탑승권이 없어 옴니 사용을 꺼렸던 사용자까지 옴니 시스템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TA는 메트로카드를 2023년 폐지하고, 일제히 옴니로 대체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 김은별 기자무제한 전환 무제한 이용권 무제한 승차권 무제한 탑승권
2021.10.2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