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덴버 메트로 물가상승률, 타지역에 비해 높다

 덴버 메트로 지역의 연간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inflation)이 미전체 평균을 훨씬 상회할 뿐 아니라 미국내 다른 메트로 지역에 비해서도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노동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BLS)이 지난 13일 공개한 물가상승률을 측정하는 소비자 물가 지수(Consumer Price Index/CPI)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5월 기준 미전역 23개 주요 메트로 지역(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MSA)의 연간 물가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 메트로 지역은 1년전인 2022년 5월보다 5.1%나 상승해 전국 평균 상승률인 4% 보다 훨씬 높았으며 23개 메트로 지역 중에서도 8번째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포함하지 않는 이른바 핵심(core) 물가상승률은 전년대비 5.3%나 올랐다. 물가상승률은 매 2개월마다 측정되는데 덴버 메트로의 경우, 지난 3월에는 5.7%, 1월에는 6.4%로 5월 보다 더 높았다. 덴버 메트로의 물가상승률은 미전체의 둔화세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석유와 천연개스를 비롯한 에너지 가격의 하락, 의료비와 운송비 가격 성장 속도의 둔화 등의 이유로 지난 2월의 6%에서 3월에는 5%로, 4월에는 4.9%로, 5월에는 4%로 계속 낮아지고 있지만 덴버 메트로는 그렇지 않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연간 물가상승률 목표는 2%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다.       이번 CPI 보고서에 따르면, 덴버 메트로의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17.2%나 올랐지만 올해는 불과 두 달 만에 11.1%로 떨어졌다. 그러나 몇 달째 하락세를 보였던 자동차 가격은 지난 3월 이후 중고차 가격이 9.4% 오르면서 다시 소비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식료품 가격의 경우, 집에서 먹는 음식에 대한 지수는 지난해 덴버 메트로에서 6.8% 상승한 반면 외식 비용은 8.8% 상승했다. 지난 두 달간을 살펴보면 유제품이 2.1%로 가장 크게 급등했고 채소와 과일 가격은 1.4% 하락했다. CPI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택 비용의 경우 덴버 메트로에서 전년대비 7.8% 증가했으며 임대료는 11.1%, 에너지 비용은 12.4%가 각각 올랐다. 전기요금의 상승률이 1.9%에 그친 것을 감안할 때 에너지 비용의 상승은 천연개스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가구 가격은 상승 폭이 다소 감소했다. 상식 연구소(Commonsense Institute)의 콜 앤더슨 연구원은 “덴버 메트로 지역의 전형적인 가구는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2020년보다 1만6,960달러를 더 지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휘발유 가격과 자동차 비용 상승으로 인한 추가 부담이 6,635달러로 가장 컸고 주택 관련 추가 비용이 4,562달러로 두 번째로 컸으며 이어 음식 관련 추가 비용(2,006달러)이었다”고 설명했다.그는 “차를 새로 구입하지 않았거나 주택 모기지를 저금리로 계속해서 갚는 가정이라면 이같은 물가상승에 대한 추가 부담을 느끼지 못하겠지만 이 경우라도 식료품 가격 상승이란 부담은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미전역 23개 메트로 지역 가운데 연간 물가상승률 전국 1위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워렌-디어본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포트 로더데일-웨스트 팜 비치가 공동으로 차지했으며 3위는 플로리다주 탬파-세인트 피터스버그-클리어워터, 4위는 애리조나주 피닉스-메사-스캇데일, 5위는 워싱턴주 시애틀-타코마-벨뷰였다. 이밖에 일리노이주 시카고-네이퍼빌-엘진은 12위, 로스앤젤레스-롱 비치-애나하임은 16위, 뉴욕-뉴왁-저지 시티는 20위를 기록했다. 앞서 시장에서는 연간 CPI 상승률이 4.0% 정도로 둔화할 경우 연준이 이번 달 금리 인상을 한 차례 건너 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JP모건은 5월 연간 CPI 상승률이 4.0~4.2% 사이로 집계될 경우 금리동결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진단했다.       이은혜 기자물가상승률 타지역 덴버 메트로 연간 물가상승률 레이크우드 메트

2023.06.23. 13:11

물가 상승세 한풀 꺾이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7.7%를 기록했다. 지난 1월 이후 가장 작은 상승폭으로, 시장 예상치(7.9%)도 밑돌았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기대 이상으로 물가가 잡힌 것으로 해석되면서 주가는 폭등했다. 물가가 잡히면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10일 노동부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7.7% 상승했다. 전문가 예상치(7.9%)를 하회하는 수치로, 직전달(8.2%)보다 상승 폭도 크게 줄었다. 연준이 주의깊게 살피는 근원물가 상승률(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지표)도 전달(6.6%)보다 줄어든 6.3%를 기록했다. 이 역시 전문가 예상치(6.5%)를 밑돌았다.   휘발유값이 전달대비 4.0% 오르면서 에너지 부문은 1.8% 상승했고, 교통서비스(0.8%), 주거비(0.8%) 등 서비스 물가와 식료품(0.6%)이 오름세였다. 다만 도시가스(-4.6%)가 크게 떨어졌고, 중고차·트럭(-2.4%), 의류(-0.7%), 의료서비스(-0.6%) 등이 물가 상승압력을 억제했다.     물가가 조금씩 잡히자,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에도 힘이 실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내년까지 최종 기준금리가 연 6%대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물가상승률이 예상을 밑돈 만큼 6%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된다는 기대감이 시장에서 나왔다. 이날 물가지표 발표 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 내년 6월 기준금리 상단이 5.00%에 이를 확률은 45.3%로, 5.25%에 이를 확률(28.8%)을 크게 넘어섰다.   뉴욕증시는 이날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고의 랠리를 펼쳤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201.43포인트(3.70%) 오른 3만3715.37로 거래를 마쳤고, S&P 500 지수는 207.80포인트(5.54%) 상승한 3956.37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760.97포인트(7.35%) 뛴 1만1114.15로 마감했다. 이날 다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대폭 상승했고,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의 상승폭은 2020년 4월 이후 가장 컸다.   다만 연준의 긴축 기조를 가늠할 결정적 열쇠는 다음달 13일 발표되는 11월 CPI 상승률이다.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12월 14일) 직전에 발표되는 물가 지표이기 때문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증시 NYSE 금리 인플레이션 물가 CPI 소비자물가지수 물가상승률 고물가

2022.11.10. 20:43

썸네일

물가 정점 달했나…7월 물가상승률 8.5%

급등하던 휘발유값이 진정되며 물가상승률이 한풀 꺾였다. 식료품 가격은 여전히 높지만, 전체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약해진 만큼 물가가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10일 노동부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8.5% 올랐다고 밝혔다. 1981년 11월 이후 최대폭이었던 전월(9.1%)보다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다. 전월 대비로는 변동이 거의 없어 물가 상승세가 거의 멈춘 것으로 해석된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동월대비 5.9% 올라 예상치(6.1%)보다 낮았다.     급등하던 국제유가가 안정세로 돌아선 것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춘 주요 원인이다.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9월물 가격은 지난달 약 12% 떨어져 배럴당 9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에너지 물가는 전월대비 4.6% 떨어졌고, 휘발유값은 7.7% 급락했다.   다만 렌트·식료품 등 필수적인 품목들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식료품 물가는 전월대비 1.1% 올라 7개월 연속 0.9%를 넘어서는 상승률을 기록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10.9% 뛰어 1979년 5월 이후 최대폭 상승했다. 빵(15.0%), 육류(10.9%), 우유(14.9%) 등 가격도 전년동월대비 10% 이상 올랐다.     한편 이날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기대감에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535.10포인트(1.63%) 오른 3만3309.51에, S&P 500 지수는 87.77포인트(2.13%) 상승한 4210.24에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360.88포인트(2.89%) 오른 1만2854.80에 거래를 마쳤다. 김은별 기자물가상승률 물가 물가 상승세 물가 정점 식료품 물가

2022.08.10. 16:38

물가 오름세 끝이 안보인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예상을 깨고 40여년 만에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지난달 연방준비제도(Fed)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한 뒤 물가가 정점을 찍고 안정화할 것으로 기대됐으나, 오히려 에너지·식료품·렌트 등이 일제히 올랐다. 인플레이션 공포와 연준의 통화긴축 강도가 높아질 것이란 전망에 뉴욕증시는 급락했다.   10일 노동부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8.6% 급등했다고 밝혔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8.3%)보다 오름폭이 커졌고, 3월(8.5%) 기록도 넘어서며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으로 올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집계한 예상치(8.3%)도 넘어섰다.   전월대비로도 1.0% 올라 지난 4월 상승폭(0.3%)을 크게 넘어섰고, 시장 전망치(0.7%)도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0%, 전월보다 0.6%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생필품 가격은 전년동월대비 두 자릿수대로 올랐고, 에너지는 34.6% 치솟아 2005년 9월 이후 최대 폭 상승했다. 특히 휘발유값은 48.7% 폭등했다. 식료품은 1년 새 11.9% 급등해 43년만에 최대폭 상승했고, 전기료는 12.0% 올랐다. 주거 비용은 5.5% 올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길어지며 에너지, 식량 등 원자재 부족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타격, 중국의 봉쇄조치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다.     인플레이션 공포에 뉴욕증시는 일제히 급락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880포인트(2.73%) 하락한 3만1392.79포인트에 마감했고, S&P 500 지수도 116.96포인트(2.91%) 내린 3900.86에 거래를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414.20포인트(3.52%) 떨어진 1만1340.02로 장을 마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LA 항구에서 행한 대국민연설에서 “인플레이션 문제 해결을 경제 최우선순위로 두고 있다”고 강조하고, 세계적 물가 상승을 촉발한 러시아를 비난했다.   대통령은 또 “모두가 엑손(모빌)의 이윤을 알도록 할 것”이라며 “엑손은 지난해 하느님보다 돈을 더 벌어들였다”고 석유회사들에도 직격탄을 날렸다.   바이든 대통령은 “석유회사들은 9000건의 시추 허가를 확보하고 있지만, 시추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그들은 석유를 생산하지 않아서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데다, 조세를 피하려고 시장에서 자신들의 제품을 되사기 때문에 생산에 나서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엑손모빌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30억 달러에 달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바이든 바이든대통령 물가 인플레이션 물가상승률 cpi

2022.06.10. 20:30

썸네일

캐나다 1월 물가상승률 "5% 넘어"

 캐나다의 1월 물가 상승률이 30년 만에 처음으로 5%를 넘어섰다.   캐나다 통계청은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5.1% 상승했다"며 "이는 지난해 12월에 기록한 4.8%보다 0.3%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통계청은 이러한 물가 상승률의 원인으로 코로나로 인한 물류 공급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 대유행과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으로 전세계에 물류 대란이 벌어져 지난 1월의 기록적인 물가 상승의 배경이 됐다"며 "주택가격 상승을 비롯해 물류 대란으로 인한 식품, 휘발유가격까지 오르면서 물가 상승률을 더욱 부채질했다"고 전했다.   통계청 발표 자료를 살펴보면 휘발유 가격은 연간 31%나 올랐으며 주택가격은 6.2%, 식료품 가격은 6.5%가 상승했다.   특히 주택 가격의 경우 지난 1990년 이후 가장 빠른 인상폭을 보이고 있으며 식료품 가격 또한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빠르게 오르고 있다.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2월 경제분석 또한 좋지 않을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내놓았다.   경제 전문가들은 "3월에 발표될 2월 물가 상승률 수치를 비롯해 대부분의 경제 지표가 좋지 않을 것"이라며 "이는 2월 동안 진행된 트럭시위가 캐나다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미국도 지난 1월 40년만에 가장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통계청은 "미국 물가 상승률이 1982년 최고 수준인 7.5%까지 상승했다"며 "이는 예상한 것보다 크게 높은 수치"라고 밝혔다.   한편, 캐나다의 물가 상승률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연방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성지혁 기자물가상승률 캐나다 지난달 물가상승률 캐나다 통계청 물가 상승률

2022.02.18. 10:06

썸네일

캐나다 물가상승률 4.8% "1991년 이후 최고"

캐나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이 지난 1991년 이후 최고치인 4.8%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 수치는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0.1%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프린세스 에드워드 아일랜드(PEI)의 물가 상승률이 6.7%로 가장 높았으며, 서스캐처원이 3.5%로 가장 낮았다.   온타리오주도 5.2%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해 전국 평균 물가 상승률인 4.8%보다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세계 각국이 국경을 걸어 잠금에 따라 물류 운송 문제를 비롯해 이에 따른 물류비용 인상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 했다"며 "지난해 말에도 계속된 기상 이변 역시 물가 상승을 주도한 또 다른 원인이다"고 전했다.   통계청의 발표자료를 상세히 살펴보면 가장 많은 상승폭을 보인 항목은 휘발유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 차량 가격, 식료품 가격이 그 뒤를 이었다.   휘발유 가격의 경우 2020년 12월과 비교해 33.3%가 상승했으며, 주택 가격은 9%, 차량 가격 7.2%, 식료품 가격은 5.2%가 올랐다.   이와 관련 통계청 관계자는 "휘발유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만으로 물가 상승률을 계산했을 때도 상승폭이 4%로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한가지 품목만이 아닌 모든 품목이 전반적으로 크게 올랐다는 의미다"라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물가 상승 추세가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CIBC의 앤드류 그랜섬 수석 경제학자는 "에너지 가격 상승, 공급망 문제, 주택 가격 급등이 2022년 봄 내내 물가 상승을 계속해서 주도할 것"이라며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이와 같은 추세는 연방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와 같은 높은 물가상승률에 연방 중앙은행은 "급등하는 물가 상승률을 막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성지혁 기자물가상승률 캐나다 캐나다 물가상승률 물가 상승률 캐나다 통계청

2022.01.20. 9:54

썸네일

볼티모어 지역 물가상승률 전국 최고 수준

메릴랜드 볼티모어 지역(Baltimore-Columbia-Towson, MD) 물가상승률이 전국 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연방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이 지난 12일(수) 발표한 물가지수(CPI) 발표에 의하면 지난 12월 전년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이 8.0%를 기록했다.     볼티모어 지역은 조사대상 14개 메트로 지역 중 조지아주 애틀란타 지역(Atlanta-Sandy Springs-Roswell, GA) 9.8%, 애리조나 피닉스 지역(Phoenix-Mesa-Scottsdale, AZ), 9.7%,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지역(St. Louis, MO-IL) 8.3%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지역( Francisco-Oakland-Hayward, CA)은 4.2%로 물가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워싱턴메트로지역(Washington-Arlington-Alexandria, DC-VA-MD-WV)은 11월 물가가 전년동월 대비 5.8% 상승한 바 있다.   전국적으로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7%를 넘어서며 4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이같은 상승률은 1982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5% 상승했고 1991년 2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망치와 일치하며,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높게 상승했다.   개스가 49.6% 오르는 등 에너지 가격이 29.3% 상승하며, 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중고차 가격은 37.3% 올랐고, 신차 가격은 11.8% 오르는 등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여파가 계속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공산품 가격이 10.7% 오르는 등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절대금액이 커서 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거비는 4.1% 올랐다. 노동부는 "주거비와 중고차 가격이 물가 상승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렇게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심화됨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행보가 더 속도를 내게 될 전망이다. 이에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방 상원 금융위원회 인준 청문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수차례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물가상승률 볼티모어 볼티모어 지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전국 최고수준

2022.01.13. 13:41

뉴욕시 일원 물가상승률 다른 지역보다 낮다

 미 전역에서 빠르게 물가가 오르고 있지만 그래도 뉴욕시 일원은 그나마 상대적으로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가 지난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9월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4%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의 물가가 이처럼 빠르게 상승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통과정에서 물류적체 현상이 벌어지고 있고, 또 각종 원자재 부족 현상 등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또 코로나19 사태가 완화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력 충원이 필요한 사업체들이 기존 직원이나 신규 직원들의 급여를 올려주고 있는 것도 물가상승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의료비와 방역비용 지출 등 여러가지 상황으로 제조 또는 생산업자들의 원가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자 가격인상을 통해 이를 소비자들에게 최종적으로 넘기고 있어 빠른 물가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뉴욕시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물가는 지난 9월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할 때 3.8% 정도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으로 이상적이라고 간주되는 연간 2%대의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지만 전국 평균 5.4%보다는 1.6%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폭발적으로 올랐던 부동산 가격의 점진적인 안정세 ▶뉴욕시 일원의 견실한 유통망(인구가 많은 주요 지역이기에 생산·유통 기업들이 우선 공급) 유지 ▶차량 이용이 적어(공공교통 시스템 발달) 에너지 부담이 낮은 것 등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단, 뉴욕시 일원의 식품 가격은 전국 평균과 비교할 때 오히려 더 빠르게 오르고 있는 것이 특이사항으로 지적됐다. 뉴욕시 일원의 식품가격은 1년 전에 비해 5.5%가 올라 전국 평균인 4.6%보다 오히려 높았고, 특히 지난 8월부터 9월 사이에는 단기간에 1.5%나 올라 소비자들의 식비부담이 빠르게 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

2021.10.18. 19: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