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뉴욕시 아시안 76%, 물가인상에 필수 생활비 줄여

뉴욕시 물가가 날이 갈수록 치솟는 가운데, 아시안 4명 중 3명은 물가 인상으로 인해 필수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컬럼비아대와 지역 비영리단체 로빈후드 연구 그룹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시안 뉴요커 76%는 물가 인상을 감당하기 어려워 식료품과 유틸리티 비용, 교통비 등 필수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필수 생활비를 줄인 비율은 히스패닉이 87%로 가장 높았고, 흑인이 77%로 아시안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백인(65%)이 가장 낮았다.     뉴욕시 전체적으로는 시민의 76%가 생활 필수비를 줄였으며, 61%는 여러 항목에서 지출을 동시에 조정했다. 56%가 식료품 비용을 줄였으며 ▶53%는 저축 ▶49%는 교통비 ▶49%는 유틸리티 비용을 줄였다고 응답했다.     보로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한인밀집지역인 퀸즈에서는 77%가 물가 상승 영향으로 필수 생활비를 줄였고, ▶브롱스 81% ▶브루클린 75% ▶스태튼아일랜드 71% ▶맨해튼 69% 등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중·장년층이 물가 상승의 영향을 가장 크게 체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35~64세 뉴요커 81%와 18~34세 78%가 필수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노년층의 필수 생활비 조정 비율은 64%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여성 뉴요커 80%가 생활비를 줄인 반면,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를 조정한 남성 뉴요커는 71%였다.     또 해외출생 이민자들이 물가 상승의 타격을 더 크게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출생 이민자 80%가 필수 생활비를 줄인 반면 미국 출생 뉴요커 72%가 생활비를 조정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81%가 필수 생활비를 줄였으며, 자녀가 없는 가정의 경우 그 비율이 73%였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데이터는 물가 상승이 모든 계층의 뉴욕 시민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식량과 주거, 유틸리티 및 의류 비용이 소득증가율과 물가상승률을 크게 앞지르고 있으며, 보충적 빈곤 지표(SPM·소득만 보는 '연방빈곤선(FPL)'과 달리 지역별 생활비와 세금, 의료비 및 공적 지원 등을 반영한 지표) 기준 빈곤선의 200% 이상 소득을 올리는 가구 중에서도 70%가 필수 생활비와 저축을 줄이는 등 뉴욕시의 생활비 부담 위기는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물가인상 생활비 지역별 생활비 필수 생활비 생활비 부담

2025.09.15. 19:57

소셜연금 올라도 현실 물가인상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

내년 소셜시큐리티 은퇴연금 인상률이 5.3%로 고시됐으나 현실 물가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은퇴생활자들의 불만이 높다.   13일 사회보장국(SSA)이 밝힌 추정치에 따르면, 수혜자가 소셜연금 평균 수령액 1565달러일 경우 월 92달러를 더 받게 된다.   이는 수령액을 결정하는 생활물가 조정분(Cost of living adjustments: COLA) 인상률이 5.9%로 결정됐기 때문이다.     이 상승률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1.65%에 비하면 3.5배에 달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지난 39년간 가장 큰 폭의 조정이다.     코로나 구제책으로 야기된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것으로 1인 수령자인 경우 월 평균 92달러가 늘어 1657달러가 되고   부부의 경우 월 154달러가 올라 월 2753달러가 된다.   사회보장세를 징수하는 최대 소득도 올해 연 14만2800달러에서 내년부터 연14만7000달러로 올라간다. 또 메디케어 파트 B의 본인 보험료 월 148.5달러도 월 10달러 정도 인상된다.     연방소셜시큐리티국(SSA)는 개스가격 등의 상승으로 39년만의 최대 상승율이라고 자화자찬했지만, 현실은 가혹하다.   현재 소셜 시큐리티 연금 수혜자는 7천만명으로, 전체 국민의 1/5이 넘는다.   연방정부는 지난 2009년까지 연 2% 이상의 연금을 인상해 왔으나, 지난 2010년과 2011년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연금을 동결한 후 2012년 연금생활자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특별 회계를 적용해 3.6%를 인상했으나 2012년 이후부터 작년까지 매년 1%대 인상률을 기록하고 있다.   연금에서 메디케어 매달 페이먼트를 제하면 실제수급액은 더욱 줄어들게 된다.   메디케어 파트 B 등 연금에서 공제하는 메디케어 매달 페이먼트 상승률은 3% 이상으로 예상된다. 연금인상률에 적용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보통의 CPI와 다른 지표가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 물가인상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최근들어 연금증가율이 미미하거나 동결된 이유는 연속소비자물가지수 혹은 변형 소비자물가지수로 불리는 Chained CPI(Consumer Price Index)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현재 연금 인상률의 기준은 생활비 조정 계수 COLA(cost-of-living adjustment)이지만, 일반 물가인상률을 반영하지 못하는 변형 물가지수를 기본으로 한다.   일반적인 물가지수는 쇠고기 가격이 1파운드가 100에서 104로 오르면 4% 인상율로 그대로 보고하지만 변형 물가지수는 쇠고기 대신 돼지고기를 대체 수요할 수 있다는 이유로 물가인상율을 매우 낮게 잡는다. 만약 돼지고기가격이 3% 하락했다면 관련 물가는 3% 하락으로 잡힌다.   연방정부는 소셜시큐리티 연금 인상분을 최소화려는 의도로, 지난 2013년부터 이 같은 물가지수를 사용하고 있다.   당국에서는 올해 개스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의류가격이 1% 미만으로 상승하는등 별다른 물가 상승 요인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기에 함정이 또 존재한다.   연금에 적용되는 변형물가지수는 모든 물가지수를 통합한 것인데, 개스 가격 하락은 연금으로 먹고사는 은퇴자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   정기적인 출퇴근이 없기 때문에 개스 소비가 많지 않은 것이다. 고기와 물고기, 계란 등의 가격은 7% 가까이 상승했으나 전반적인 그로서리 식료품 가격은 2.1%가 오른것으로 통계가 조정됐다.   연속소비자물가지수는 특정상품의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자들은 이와 유사하면서도 저렴한 상품을 대체 구매하는 성향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면 소고기 소비가 많아지는 것과 같이 대체재 효과를 감안한 물가지수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

2021.10.14.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