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도심과 인근 지역의 도로변•주차장 등에 자동차를 세워두었다가 절도 피해를 입는 사고가 그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중앙일보 독자 2명이 시카고 도심 북부에서 잇따라 차량 내 절도 피해를 입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 서버브에 거주하는 30대 남성 A씨는 “지난 주말 저녁, 링컨파크 동물원 인근에 차를 세우고 1시간가량 업무를 본 후 돌아와보니 조수석 차창이 깨져 있었고 랩톱 컴퓨터와 지갑 등이 든 가죽가방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가방을 트렁크에 옮겨둘까 하다가 시간이 급했던 데다 인적이 드물지 않은 곳이어서 방심하게 됐다고 했다. 불행 중 다행으로 핸드폰은 수중에 있어서 경찰에 신고했으나, 신고 접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문제 해결에 대한 별다른 기대는 하지 않는다고 했다. 시카고 올드타운에 사는 20대 여성 B씨는 약 한 달 전 대낮에 집 인근 도로에 차를 세워두었다가 도난 피해를 당했다. 용의자들은 운전석 차문 손잡이를 부숴 강제로 열고 차 안에 있던 전문 치료용 물품들을 털어갔다. 이밖에 "운전석 옆 정리대에 25센트 쿼터 몇 개를 놓아두었었는데 차창을 깨고 가져갔다"는 피해자 증언도 있다. 시카고 경찰은 지난해 차량 절도 및 차량 내 물품 절도가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발표한 바 있으나, 한때 '범죄 안전지대'로 일컬어졌던 다운타운과 도심 북부 지역의 범죄 피해 사례는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는 분위기다. 게다가 작년 기준 시카고 경찰의 범죄자 체포 사례는 7건 중 1건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절도 범죄자는 체포 확률이 더 낮을 뿐아니라 체포되더라도 금새 풀려나 경계심을 늦출 수가 없다. 현금이나 주요 물품은 절대 차 안에 두지 않도록 하고, 피치 못할 경우에는 트렁크로 옮겨두거나 보이지 않게 가려두는 것이 그나마 차량 내 절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Kevin Rho 기자시카고 요주의 물품 절도가 시카고 도심 시카고 경찰
2025.08.06. 12:15
플러싱 일대서 제대로 잠기지 않은 차량에 대한 물품 절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9일 플러싱 주민들에 따르면, 노던불러바드 150~157스트리트 인근서 지난달에만 최소 세 건의 차량 내 물품 절도가 발생했다. ▶차량을 직접 잠그지 않고 걸어가며 리모컨으로 잠근 사례 ▶지인과 인사하며 잠시 자리를 비운 사례 등이다. 모두 차량 잠금상태를 직접 꼼꼼하게 확인하지 않고 차주가 자리를 비운 새 발생해 차량 단속에 유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날 본지 제보에 따르면, 지난달 이 거리에 세워뒀던 회색 아우디SUV 차량에 비옷을 입은 흑인·히스패닉계로 추정 용의자가 스쿠터를 타고 접근했다. 남성 차주가 트렁크를 닫고 리모컨으로 차량을 잠갔다고 생각한 것도 잠시, 이내 용의자가 차량으로 다가오더니 운전석 차문을 열고 가방을 꺼내 유유히 사라졌다. 이 같은 수법은 표적이 되는 차량을 관찰하고 있다가 차주가 차를 직접 잠그지 않고 떠나는 사이 차문을 몰래 열고, 차주가 떠난 후 열려있는 차량 내 물품을 훔쳐가는 것으로 파악된다. 피해자는 주요 서류가 든 가방을 아직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유사 사건의 또다른 피해자는 차량 열쇠까지 도난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을 요구한 157스트리트의 상인 K모씨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나 역시 6개월 전 150스트리트 인근에서 지인과 인사하느라 자리를 비운 사이 갤럭시 S23 스마트폰을 도난당했다"며 "이 일대서 이런 일이 일주일에 서너 번은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K씨에 따르면 사건 발생 이후 이 거리엔 야간등이 생겼다. 109경찰서는 이 같은 차량 내 물품 절도와 관련해 "용의자들은 차량이 있으면 그냥 뛰어든다"며 "제발 문을 잠그고, 차 안에 키를 두지 말라"고 당부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 강민혜 기자플러싱 절도범 차량 물품 물품 절도가 플러싱 일대
2024.04.19.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