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와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을 대상으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미주반의 합동 국정감사가 22일 LA총영사관에서 진행된다. 이번 감사에는 김영배·김상욱·이재정·강선우·홍기원 의원(이상 더불어민주당)과 김태호 의원(국민의힘) 등 6명의 감사위원이 참여해 김영완 LA총영사, 임정택 SF총영사 등 캘리포니아주 주재 정부기관장을 상대로 업무 실태를 점검한다. 국정감사에서는 총영사관 비위 의혹, 민원 인력 부족, 공관 재건축 예산, 재외국민 보호 및 공관 사칭 사기 대응 등 주요 현안이 다뤄질 전망이다. ▶성희롱·횡령 사건 ‘쉬쉬’ 야당 소속 김태호 의원은 LA총영사관 내 비위 의혹을 집중 질의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외교부 자료를 통해 LA총영사관에서 발생한 ‘업무상 횡령,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업무 불이행’ 사건을 확인했다.〈본지 10월 9일자 A-1면〉 총영사관은 기강 해이 지적에도 불구하고 성희롱 내용, 피해자, 횡령액 등 구체적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김 의원은 “세계 최대 한인 사회를 관할하는 공관에서 공직 기강이 무너진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원 급증·인력 부족 LA총영사관의 올해 상반기 민원 처리 건수는 4만3651건으로, 지난해 8만7419건의 절반 수준이다.〈본지 7월 31일자 A-4면〉현재 영사 약 21명, 행정직원 30여 명이 민원을 담당하고 있으며, 인력 부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한인 사회는 외교부가 인력 충원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팬데믹 당시 도입된 재외동포 365 민원포털 예약제를 유지해, 하루 처리량을 제한한다는 불만도 제기된다. 공관 재건축 예산 삭감도 과제로 꼽힌다. LA총영사관은 유선엔지니어링을 시공사로 선정해 설계 중이지만, 한인건축가협회와 건설협회는 “한인 전문가와의 소통 부족”을 지적하며, 삭감된 예산 한화 703억 원(약 4910만 달러)으로는 지하 1층·지상 8층(7만7000스퀘어피트) 규모 신축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재외국민 보호 트럼프 행정부 이후 국토안보부(DHS)의 단속 강화로 남가주 전역이 표적 단속 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로 인해 LA총영사관 관할 내 체류 신분이 없는 한국 국적자 5명 이상이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총영사관은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단속 사실을 공지하고 영사 조력을 제공 중이지만, 체포자의 동의가 필요해 적극적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사후 대응보다 예방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재외공관 사칭 사기 급증 외교부에 따르면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은 올해 1~9월 23건으로 급증했으며, 이 중 16건이 미주 지역에서 발생했다. 사기범들은 주미한국대사관·LA총영사관의 대표번호를 도용하거나, 실제 공관 직원·한국 경찰·검찰을 사칭하고 있다.〈본지 10월 10일자 A-4면〉 주미대사관과 LA총영사관은 주의를 당부했지만, 피해 한인 일부는 “신고 후 공관의 대응이 미흡하다”며 체계적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김형재 기자민원처리 기강 기강 해이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총영사관 비위
2025.10.21. 21:47
앞으로는 재외동포도 휴대전화로 영사 민원 처리 현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재외동포청(청장 이기철)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는 6일부터 ‘영사민원알림톡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재외공관 영사 민원 접수 시에 본인의 휴대전화 번호를 기재하면, 단계별 민원 처리 현황을 카카오 알림톡으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한국 내에서는 민원처리 알림서비스가 일반화됐지만, 재외동포는 민원을 접수한 뒤에도 알림을 별도로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먼 거리에 있는 재외공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또는 이메일 문의 등을 통해서만 영사 민원 처리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 불편을 겪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공관에서 영사 민원을 접수할 때 본인의 휴대전화 번호만 기재하면, 민원 접수부터 완료까지 각 단계 처리현황을 카카오 알림톡으로 받을 수 있다. 우선 국적 및 가족 관계 신고 민원이 대상이며 순차적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알림톡 외에도 라인, 왓츠앱 등 다양한 채널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은별 기자민원처리 휴대전화 영사 민원처리 민원처리 알림서비스 재외동포도 휴대전화
2023.12.05. 21:34
2022년 한 해 동안 주뉴욕총영사관이 처리한 민원건수가 팬데믹 이전의 88% 수준까지 회복됐다. 코로나19 격리면제서 처리실적을 제외하면 2021년보다 처리된 민원이 늘었고, 대부분의 민원 처리건수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서거나 근접했다. 6일 뉴욕총영사관이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집계, 발표한 ‘2022년 민원업무 처리 실적’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총 4만8949건의 민원업무가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민원건수는 2021년(6만5618건)보다 줄었지만, 이는 코로나19 격리면제서 처리건수로 인한 착시효과다. 격리면제서 발급 건수를 제외하고 보면, 작년 총 민원처리 건수는 4만8191건으로 2021년(4만4637건)보다 8.0% 늘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9월 3일부터 해외입국자 대상 코로나19 입국 전 검사를 중단하고, PCR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도 폐지했다. 이에 따라 2021년 2만 건 이상이나 집중됐던 격리면제서 발급 업무는 현재 중단된 상황이다. 팬데믹 발생 전이었던 2019년(5만5801건)과 비교해도 민원 처리 건수는 크게 회복됐다. 작년 총 민원처리 건수는 팬데믹 이전의 87.7% 수준까지 늘어났다. 여권발급이 2021년에 이어 7000건을 넘겼고, 비자 사증발급(3111건), 가족관계증명서 발급(1만4963건) 등은 팬데믹 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시민권을 취득한 한인 등이 그동안 미뤄왔던 국적 신고를 하면서 관련 민원도 늘었다. 작년 국적상실신고는 1716건이 처리돼 2019년(1670건) 대비 2.8% 늘었고, 국적이탈신고도 641건으로 2019년(633건)보다 1.3% 증가했다. 복수국적·국적회복 등은 작년 70건이나 처리돼 2019년(18건) 대비 4배에 가까운 민원이 처리됐다. 한편 뉴욕총영사관은 코로나19 상황이 나아지면서 민원인들의 불편을 고려해 민원업무 전면 예약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했다. 65세 이상 민원인 전면 워크인 서비스를 작년 3월 21일부터 재개했고, 공증(영사확인)·가족관계 등 일부 업무 워크인 서비스도 작년 5월 2일부터 재개했다. 작년 5월부터 순회영사 업무를 재개했고, 올해도 순회영사를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 총영사관 총영사 민원 민원처리 팬데믹 코로나19 코로나 뉴욕총영사 영사관
2023.01.06.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