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한인들은 종교 생활에는 적극적이지만, 정치 참여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아시안아메리칸태평양계연합(AAPI) 등이 최근 실시한 아시아계 유권자 정치 성향 조사 결과다. 아시아계 미국인 유권자 조사(AAVS)에 따르면 한인 5명 중 2명(40%)은 지난 12개월 내 종교 기관에 헌금 등 기부금을 낸 적이 있다. 이는 아시아계 중 가장 높은 비율로, 교회 등 종교 기관과 밀접한 한인 사회의 특성을 보여준다. 아시아계 평균(31%)보다 높은 민족은 한인을 비롯한 인도계(38%), 필리핀계(37%)뿐이다. 반면, 한인들의 정치 참여도는 아시아계 중에서도 낮은 편이다. 지난 12개월 내 특정 정당, 정치인, 선거 캠페인 등에 기부금을 낸 한인은 12%에 그쳤다. 이는 참여도가 낮은 중국계(13%), 베트남계(10%), 필리핀계(8%)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인들은 지역 정치인, 정부 기관 등에 목소리를 전달하는 일에도 소극적이다. 한인 10명 중 1명(11%)만이 지난 12개월 내 지역구 정치인, 정부 기관 등에 연락해봤다고 답했다. 또, 한인 대다수가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이용해 정치나 지역 사회 이슈를 논의해봤다는 응답 역시 11%에 그쳤다. 한인들은 공화당원보다 민주당원이 많다. 정당별 소속은 민주당(57%), 공화당(31%), 무당파(10%) 순이다. 아시아계 중 민주당원 비율이 가장 높은 민족은 인도계(70%), 공화당원 비율이 가장 높은 민족은 베트남계(39%)로 나타났다. 한인들의 민주당원 비율은 높지만, 사안별로는 약간씩 차이는 있었다. 우선 아시아 국가에 대한 미국의 외교 정책과 관련, 한인 응답자의 42%가 “민주당이나 공화당이나 크게 다를 바 없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인들은 국가 안보 이슈에 대해서도 ‘민주당이 잘한다(36%)’ ‘공화당이 잘한다(30%)’ ‘크게 다를 바 없다(32%)’ 등 응답 비율이 엇비슷했다. 반면, 인플레이션 문제에 대해서는 한인들은 민주당(26%)보다 공화당(30%)이 더 잘 대처한다고 답한 것이 눈에 띈다. 이외에 한인들은 증오범죄 대응(56%). 헬스케어(민주당 51%), 총기 규제(민주당 50%), 이민 정책(민주당 49%), 빈부 격차(민주당 41%), 범죄 대응(민주당 38%) 등 각종 이슈에서 대부분 민주당의 정책을 지지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한인들의 시각은 엇갈렸다. 바이든 대통령을 ‘매우 호의적(very favorable)’으로 보는 한인은 27%에 그쳤다. ‘약간 호의적(33%)’이라는 응답까지 합하면 절반 이상이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하지만, ‘매우 비호의적(17%)’ ‘약간 비호의적(22%)’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이 밖에도 한인들은 증오범죄나 인종차별과 관련, ‘전혀 걱정되지 않는다(29%)’ ‘약간만 걱정된다(39%)’ 는 응답이 절반 이상이었다. 소수계 대입 우대 정책(어퍼머티브 액션)에 대해서는 한인 5명 중 4명(82%)이 찬성 입장을 나타냈다. 한인은 인도계(80%)와 함께 찬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중국계(59%). 일본계(65%), 베트남계(67%)는 아시아계 평균 찬성 비율(69%)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 아시아계 유권자 160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4월~6월 사이 온라인, 휴대전화 등을 통해 진행됐다. 설문조사 신뢰도에 대한 오차범위는 ±2.5%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한인 종교 정치 참여도 민주당원 비율 한인들 종교
2023.03.12. 20:15
오렌지카운티의 민주, 공화 당원 수 차이가 7만 명을 넘어섰다. 본지가 6월 7일 중간선거 예비 선거를 앞두고 OC선거관리국(이하 선관국) 유권자 등록 통계를 분석한 결과 6일 현재 OC 전체 유권자는 180만7992명으로 파악됐다. 이 중 민주당원은 67만5466명으로 전체의 37.4%를 차지했다. 〈표1 참조〉 공화당원 수는 전체 유권자의 33.4%인 60만3039명이다. 양당 유권자 수 차이는 4%p에 해당하는 7만2427명이다. 지난해 4월 26일 집계에서 민주당원은 66만2107명, 공화당원은 60만7594명으로 파악됐다. 당시 5만4513명이었던 양당 유권자 수 차이는 1년이 지나는 동안 1만7914명이 더 늘었다. 민주당원이 1만3359명 증가할 동안 공화당원은 오히려 4555명 감소한 결과다. 지난 2019년 8월 이후 지금까지 양당 유권자 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눈에 띄는 점이 있다. 민주당원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지만, 공화당원 비율은 소폭의 등락 속에 우하향 기미를 보였다는 사실이다. 〈표2 참조〉 민주당은 2019년 8월 34.02%의 당원 비율을 기록하며 41년 만에 처음으로 OC에서 공화당을 앞섰다. 당시 민주당원은 54만7458명, 공화당원은 54만7369명이었다. 양당의 차이는 89명에 불과했다. 비율로는 단 0.01%다. 민주당원 비율은 이후 연평균 약 1.11%p 증가했으며, 이달 들어 37%대를 돌파했다. 이 기간, 민주당원 비율이 감소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반면, 2019년 8월 34%대에 있던 공화당원 비율은 같은 해 11월 33%대로 살짝 내려앉았다가 대선의 해인 2020년 10월 34.34%까지 반등했다. 그러나 지난해 4월 다시 33%대로 하락했고 지난 6일엔 33.35%로 최근 33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33개월이 흐르는 동안 두 당의 간격은 7만2427명으로 벌어졌다. 이 기간 민주당원은 매달 평균 3474명씩, 공화당원은 월 평균 1687명씩 증가했다. 매달 민주당원이 공화당원의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무당파 유권자 비율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8월 28.38%였던 무당파 비율은 지난 6일 23%대로 내려앉으며 5%p 가까이 감소했다. 현재 무당파 유권자는 42만8142명(23.7%)이다. 임상환 기자민주 당원 민주당원 비율 공화당원 비율 기간 민주당원
2022.05.23. 17:35
공화당 소속의 유수연(사진) 캘리포니아 67지구 하원의원 후보가 내달 1일 선거 캠페인 출정식을 개최한다. 유 후보는 이날 세리토스에 있는 캠페인 사무실(13737 Artesia Blvd. Ste 109 Cerritos)에서 출정식을 열 예정이다. 현재 ABC 통합교육구 교육위원장으로 활동 중인 유 후보는 오는 6월 7일 민주당 소속의 섀런 쿼크-실바 현역 의원 등과 경쟁한다. 최다 득표 2인에게 본선 진출권이 부여된다. 67지구 유권자 24만8923명 중 한인은 1만7883명으로 7.2%에 달한다. 라틴계가 29.2%로 가장 많고 아시안이 26.5%로 뒤를 잇는다. 민주당원 비율이 43.6%로 26.2%에 그치는 공화당원 비율보다 많다. 무소속은 28.4%다. 관계자들은 라틴계 표심이 승부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덟 살 때 LA로 이민 온 유 후보는 지난 25년간 목회활동을 하며 세리토스에 위치한 게이트웨이 입시학원을 운영했다. 세리토스에 거주하는 그는 지난 2013년 교육위원에 당선돼 2017년 재선에 성공했다. 지난해 교육위원들의 호선으로 교육위원장이 됐다. 원용석 기자하원의원 선거캠프 선거캠프 출정식 하원의원 후보 민주당원 비율
2022.04.25.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