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부동산 스케치] LA 마켓 뜨겁다

2025년 여름, 남가주의 날씨는 여전히 좋지만, 부동산 시장은 다소 복잡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가장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것이다. 시장 분위기는 식고 있지만, 무너지고 있지는 않다. 모기지 이자율은 여전히 높고, 바이어들은 조심스럽다. 셀러들조차도 이제는 과거의 시세가 아닌 현재의 현실에 가격을 맞춰야 한다는 사실을 조금씩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최근 미국의 유명 인사인 패리스 힐튼은 지난 6월, 베버리힐스에 위치한 맨션을 6300만 달러에 매입하며 미국 내 최고 거래 금액을 기록했다. 한편, 유명 가수 커플인 비욘세와 제이지는 자신들의 8800만 달러짜리 벨에어 저택에 5775만 달러 규모의 모기지를 추가로 설정했다. 이게 우리와 무슨 상관이냐고 할 수 있겠지만, 하이엔드 및 럭셔리 시장은 여전히 살아 있다. 빠르게 움직이지는 않지만, 최상위급 부동산은 꾸준히 거래되고 있다.이는 그 아래 단계의 부동산 가격과 시세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운타운 LA에는 요즘 고층 빌딩이 쏟아지고 있다. 그중 하나인 ‘Olympic + Hill’은 54층짜리 임대 주상복합 아파트로, 현대식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한다. 하지만 그 맞은편에는 그래피티로 뒤덮인 반쯤 완공된 오션와이드 플라자가 아직도 방치된 채 서 있다. 이것이 바로 LA 부동산의 두 얼굴이다. 한쪽은 미래를 향해 솟아오르고, 다른 쪽은 자금난 속에 멈춰 서 있다.   최근 개빈 뉴섬 주지사는 CEQA(환경영향평가법) 규제를 완화하면서 도심 주택 개발에 날개를 달아주었다.이론적으로는 더 빠른 인허가와 공급 확대가 가능하다는 의미지만, 현실은 조금 다르다. 이 법 개정의 효과가 실제 리스팅(MLS)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창의적인 프로젝트들도 눈길을 끌고 있다. 컬버시티에 들어설 코스트코 + 아파트 복합 프로젝트는 국내 최초 사례다. 창고형 마트 위에 루프탑 수영장이 있는 집이 들어설 예정이다. LA의 주택난을 풀기 위해 여러 곳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시장 붕괴를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지나치게 극단적인 예측이다. 바이어, 셀러, 렌터, 그리고 투자자 등 부동산 시장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은 그들에 맞는 전략과 방식을 시기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고금리 시대에도, 이들은 다양한 형태로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지금 시점에서 각 플레이어들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 바이어는 금리 인하를 기다리거나, 셀러가 먼저 양보하길 기대하고 있다. 셀러는 꿈의 가격을 고수하다가 조용히 가격을 수정 중이다.   렌터는 공급 부족 속에서 여전히 높은 수요로 인해 임대료 상승 압박을 받고 있다. 투자자는 여전히 활동 중이지만, 예전만큼 공격적이지는 않다. (현재 LA 주택의 약 15%가 투자자 소유다.)   결국, 코리아타운의 콘도를 리스팅하든, 비벌리힐스 플랫의 1000만 달러 저택을 거래하든, 기본은 같다. 시장과 트렌드에 대한 이해, 바이어 및 셀러 분석, 그리고 솔직한 커뮤니케이션은 언제나 기본 자세다.특히 지금과 같은 시기에는 각자의 전략적 사고와 현실적인 자신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느린 시장에서도 패리스 힐튼이 6300만 달러를 지출한다는 사실만 봐도, 시장이 정말 느린 것이 아니라 까다로운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문의:(424)359 - 9145 제이든 모 / Keller Williams Beverly Hills부동산 스케치 마켓 바이어 부동산 시장 바이어 셀러 시장 분위기

2025.08.03. 19:01

[부동산 스케치] LA 부동산 시장

최근 LA 부동산 시장은 정치적 긴장, 법적 압박, 그리고 가격 변화라는 세 가지 큰 흐름 속에서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바이어, 셀러, 투자자, 임대인 모두에게 이 시기는 새로운 전략과 판단이 요구되는 시기라고 보인다.   이번 주 가장 큰 이슈는 가주 법무부 장관 롭 본타가 남가주 부동산 투자자 마이크 니자르와 관련 기업들을 상대로 제기한 대규모 소송이다. 세입자들은 쥐떼, 오수 누출, 곰팡이, 그리고 보복성 퇴거 등 열악한 환경에 방치돼 있었고, 샌버나디노 카운티의 한 아파트는 월 2000달러의 임대료를 받으면서도 6개월 넘게 기본적인 수리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LA 전역의 임대인들에게 ‘법과 책임’을 상기시키는 상징적 사례다.   시장 변화도 눈에 띈다. 5월 기준 LA 지역 매물은 1만3600건을 넘어서며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매물 중 약 20%가 가격을 인하했으며, 특히 베벌리힐즈, 웨스트우드 등 고급 주택 시장에서도 매매 대기일이 길어지며 가격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수년간 매물 부족으로 고전하던 바이어들은 이제 협상력을 되찾고 있으며, 다운타운, 한인타운, 스튜디오 시티 등 주요 지역에서 협상 우위의 기회가 생기고 있다.     한편, 정치적 갈등은 또 다른 큰 불안 요소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캘리포니아 내 이민세관단속국 (ICE) 활동을 강화하고, 이에 반발한 개빈 뉴섬 주지사가 연방군 배치 중단 소송을 제기하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주에만 LA 다운타운에서 400명 이상이 체포되었고, 일부 지역에는 통행금지와 경찰 배치가 이루어졌다. 그 여파로 다운타운과 보일 하이츠 일대의 오픈 하우스가 취소되거나 비대면 투어로 전환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각 참여자의 전략은 분명해진다. 바이어는 매물과 가격 면에서 협상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하며, 셀러는 시장에 맞는 적정 가격 책정과 연출이 필수이다. 임대인은 세입자 관리와 시설 점검 등 법적 리스크에 대비해야 하고, 투자자는 정책과 지역 리스크를 충분히 분석한 후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특히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도 함께 작용하며, 일부 바이어들은 지금이 진입 타이밍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시장의 불확실성을 우려해 관망하는 움직임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처럼 시장은 양극화된 흐름을 보이며, 더 정교한 전략과 현장 감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LA는 과거에도 여러 위기를 극복해온 도시이다. 팬데믹, 금융위기, 사회적 갈등 속에서도 부동산 시장은 꿋꿋이 회복해 왔다. 지금의 혼란 역시 지나갈 것이며, 정보와 그동안의 극복한 역사적 접근이 결국 시장을 다시 일으킬 것이다.     ▶문의: (424)359-9145 제이든 모 / Keller Williams Beverly Hills부동산 스케치 부동산 시장 시장 변화 남가주 부동산 바이어 셀러

2025.06.22. 12:3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