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투어멘토 박평식의 여행 이야기] 발걸음 닿는 곳마다 ‘예술’과 ‘낭만’ 가득

프랑스 파리에는 역사의 축(L'axehistorique de Paris)이라는 게 있다. 루브르박물관부터 카루젤 개선문, 콩코드 광장 오벨리스크, 샹젤리제 거리, 에투알 개선문, 라데팡스로 이어지는 일직선을 뜻하는 말로, 프랑스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이 모두 이 역사의 축에서 일어났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파리의 상징인 에투알 개선문은 샤를 드골 광장 한복판에서 웅장함을 뽐내며 위풍당당 서 있다. 과거에는 에투알 광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에투알 개선문은 나폴레옹이 프랑스의 전쟁 승리를 기리기 위해 또 다른 개선문인 로마의 티투스 개선문을 본따 지었다. 하지만 이 개선문조차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가 파리를 점령했을 때 독일군이 그 아래로 행진하며 프랑스에 수모를 안기기도 했다.   '샹젤리제엔 당신이 원하는 모든 게 다 있죠(Il y a tout cequevousvoulezaux Champs-Elysees)'라는 유명한 샹송 가사처럼 샹젤리제 거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거리다. 콩코르드 광장 오벨리스크부터 개선문 사이인 샹젤리제는 푸른 가로수 사이로 명품 부티크들과 멋스러운 레스토랑, 카페와 바들이 가득해 전 세계 여행자들을 끌어들인다. 조 다생이 불렀던 '오 샹젤리제'를 콧노래로 부르며 거니는 샹젤리제에는 낭만과 운치가 가득하다.   세계 3대 박물관인 '루브르 박물관'은 센강을 사이에 두고 에펠탑과 마주하고 있다. 규모로 보나, 컬렉션의 다양성으로 보나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연간 관람객이 가장 많은 박물관 순위에서 부동의 1위를 기록하는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왕가의 미술품들과 나폴레옹이 전쟁을 통해 챙겨온 전리품 등 3만 5000여 점의 방대한 예술품을 전시하고 있어 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작품을 선정하며 관람하는 것이 노하우다.   일찍이 루이 14세는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프랑스를 유럽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건축과 예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대표적 건축물이 바로크 건축의 걸작인 베르사유 궁전이다. 베르사유 궁전을 중심으로 3개의 계획도시가 만들어졌고, 다른 유럽에서도 따라 하고 싶은 귀감이 되어 수많은 궁전이 베르사유 궁전을 모티브로 삼았다.   당장에라도 왕족들의 가면무도회가 열릴 것만 같은 베르사유 궁전에는 호화로운 방이 무려 2300여 개나 되고 천재로 통했던 조경 설계사 르노트르가 설계한 방사형 정원 또한 궁전의 화룡점정을 장식한다. 마치 중세의 숲 한가운데 와있는 듯한 착각에 빠져들게 하며 길게 뻗은 대운하는 끝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다.   마지막으로, 해 질 무렵에는 센강 유람선을 타볼 것을 추천한다. 바토 파리지앵(BateauxParisiens)이나 바토 무슈(Bateaux Mouches)에 몸을 싣고 센강을 따라 유유히 흘러보시라. 파리는 곧 낭만과 예술의 동의어임을 몸소 느끼게 될 것이다. 박평식 / US아주투어 대표·동아대 겸임교수투어멘토 박평식의 여행 이야기 발걸음 예술 에투알 개선문 샹젤리제 거리 개선문인 로마

2025.02.20. 20:58

썸네일

[글마당] 발걸음

주소도 없는 곳   그리도 그리운가     같이 갈 님 없어 울지나 말지   두손 모은 채 모른 길 나선다고   누가 앞길 가로막던가   너 가진 밝은 눈 큰 머리     무겁다 뽐내지 말고     그곳이 어딘지 분명코 없는 주소   한평생 헤맬 때   바보 시계 멈추어지면   가든 발걸음 억울해서 어떻게   흘린 눈물 누가 볼까 봐   재촉한 걸음마 제자리걸음 장일하 / 시인글마당 발걸음 걸음마 제자리걸음 바보 시계 눈물 누구

2023.10.13. 17:40

[시] 발걸음

주소도 없는 곳   그리도 그리운가     같이 갈 님 없어 울지나 말지   두손 모은 채 모른 길 나선다고   누가 앞길 가로막던가   너 가진 밝은 눈 큰 머리     무겁다 뽐내지 말고     그곳이 어딘지 분명코 없는 주소   한평생 헤맬 때   바보 시계 멈추어지면   가든 발걸음 억울해서 어떻게   흘린 눈물 누가 볼까 봐   재촉한 걸음마 제자리걸음 장일하 / 시인시 발걸음 걸음마 제자리걸음 바보 시계 눈물 누구

2023.10.05. 19:09

캐나다내 지한파 정치인 확대 위한 발걸음

 12년 간 북한과 지식 교류를 통해 북한에  대한 이해 기회를 제공해 왔던 지식교류협력프로그램이 이번에 캐나다 의회에 한반도 문제를  파악하고 실현 가능한 방법을 도모하는 초당적 모임을 결성한데 이어 향후 캐나다의 학자, 관료, 시민단체까지 확대하기 위한 담대한 구상을 실현해 가고 있다.   Knowledge Partnership Program (KPP)의 소장인 UBC 박경애 교수와 캐나다 의회 에 초당적인 한반도 평화를 위한 그룹(All Party Parliamentary Group on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이하 한반도 평화 그룹)을 결성한 유엔파오 우, 상원의원(상원 외교통상 위원회)을 지난 5일 만나 향후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이 자리에서 박 교수는 한반도 평화 그룹에 대해 "그룹의 창립 회원은 지난 4월 KPP의 일환으로 한국을 방문했던 5명의 상하원 의원들"이라고 설명했다.   우 상원의원은 "4월 한국을 방문하고 온 이후 어떻게 한국 방문을 후속 조치(follow up)를 할 지에 대해 박 교수와 논의를 해 의회 내와 외부 관련 단체에 한반도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함께 논의해 나가고 KPP와 협조해 나가기 위해  공식적인 그룹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했다"고 설명하고, "단 한 번도 캐나다 의회에 한반도 문제에 초점을 맞춘 연구소와 같은 형태의 조직을 가져 본 적이 없었고, 캐나다-한국 친선의원 그룹이 있지만, 한국에 중점을 두고 문화와 역사 관계에 중점을 둔 단체여서 이번 한반도 평화 그룹은 아주 적절한 시기에 만들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또 우 의원은 2번째 적절한 이유로 "남한과 북한 사이의 평화와 안전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캐나다가 한국전에 기여한 부분만 비중을 뒀다"며, "역사를 돌아보면 한반도 평화와 안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논의한 적이 없고, 그러면서 70년간 이 문제는 더 악화돼 갔다"고 평가했다. 우 의원은 "참전 용사의 희생에 대해 칭송하고 기념하는 동시에 캐나다가 오늘날 생산적으로 한반도 문제에 기여할 수 있는 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 의원은 "캐나다는 한국과 아주 좋은 관계를 유지하지만, 북한에 대해서 외교 관계도 단절했다"며, "캐나다와 북한이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졌다. 개인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비록 좋아하지 않고 정책에 동조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 지속적으로 소통을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우 의원은 "만약 캐나다 정부가 그런 역할을 할 수 없다면, 의원들이 초당적으로 정부의 입장이 아닌 차원에서 국가 공식입장이나 협정이나 조약 없이 계속 소통 역할을 할 수 있다"며, "KPP가 바로 이런 활동을 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미국 같은 경우도 한반도 스터디 그룹이라는게 워싱턴에 있어 옛날부터 캐나다에도 의회 그룹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4월) 여행을 조직할 때도 그런 생각을 했지만, 의원이 아니라 그럴 수가 없었는데 한국방문후 의원들이 그런 생각을 하게 되서 기쁘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 의원은 한반도 평화 그룹에 대해 "회장이나 의장도 없는 격식없는 그룹으로 모두 동등한 자격으로 구성했고, 다른 의원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며, "활동과 관련해서 예산도 작업계획도, 직원도 없는 자발적인 모임"이라고 강조했다. 또 미국이나 중국, 일본 등 한반도 문제에 직접 연관된 나라의 의원이나 정책 결정자도 다른 국가들의 정치인들도 만나 한반도 문제에 관심을 갖고 소통을 해 보길 원한다"는 뜻도 밝혔다.   박 교수도 캐나다 의원들이 워싱턴을 방문해 한반도 스터디 그룹 의원들과 만나보는 기회도 있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 의원은 "4월 KPP와의 한국방문의 직접 성과로 오는 9월 14일 제17회 제주포럼에 박 교수와 의원들이 한국을 재방문할 예정"이라며, "이번 기회로 다른 사람들이 한반도에 대한 의견을 듣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올해 제주 포럼  대주제는 '갈등을 넘어 평화로: 공존과 협력(Beyond Conflict, Towards Peace: Coexistence and Cooperation)'이다. 박 교수는 "한-카 관계에서 연속적인 만남을 갖기 위해 KPP가 제주 포럼과 협력해서 인도태평양 전략 관련 패널로 캐나다에서 상원의원과 (전직 외교부 장관)하원의원, 한국에서 전직 외교부 장관, 현 국회의원, 그리고 캐나다, 한국, 미국 학자들이   인도태평양 전략이 각 나라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논의할 예정"라고 말했다. 또 내년 한-카 수교 60주년에 KPP와 의회 의원들과 같이 할 수 있는 세미나 와 회의를 구상하고 있다.   우 의원은 한반도 평화 그룹 활동을 어떻게 한인 사회가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에 대해 재정적 지원은 조심스러운 문제이지만, 그룹 활동을 한인사회가 많이 동참하고 알리며, 무급 인턴과 같이 한인 차세대가 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위한 활동에 재능 기부 등을 해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표영태 기자정치인 발걸음 한반도 평화 한반도 문제 캐나다 의회

2022.08.18. 13:5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