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한국과 조지아 경제협력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3~25일(이하 한국시간) 한국을 찾는다. 주지사실은 켐프 주지사 부부가 조지아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한-조지아 협력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고 22일 밝혔다. 켐프 주지사의 이번 한국 방문은 세 번째로, 경제 발전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등 조지아 진출 한국 기업들을 잇달아 방문하며, 40년간의 파트너십을 축하하는 기념 리셉션을 개최할 예정이다. 조지아는 1985년 경제개발사무소를 개소했으며, 애틀랜타 한국총영사관은 1976년 문을 열었다. 한국은 지난 3년간 조지아의 외국인 직접 투자 및 일자리 창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 중 하나로 부상했다. 켐프 주지사는 24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 이석희 SK온 사장과도 면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SK온은 커머스에 SK배터리아메리카 공장을 운영 중이며, 바토우 카운티에 현대차그룹과 합작으로 또 다른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다. 주지사실은 지난달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으나, 켐프 주지사는 방한 직후 현대차그룹과 LG엔솔 관계자들과 만나 사태 여파를 점검하고 향후 투자 및 고용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켐프 주지사와 동행하는 경제사절단에는 팻 윌슨 조지아 경제개발부 장관을 비롯한 고위 관계자들과 정계 인사 등이 함께한다. 윌슨 장관은 “조지아를 고향으로 삼는 한국 기업들은 단순한 사업체가 아닌, 우리의 파트너이자 일자리 창출자, 친구이자 좋은 이웃”이라고 전했다. 윤지아 기자주지사 방한 조지아 주지사 주지사 부부 조지아 경제사절단
2025.10.22. 14:35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사태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가 다음달 방한을 추진한다. 이번 방문에 한인 의원이 동행하지 않는 것이 주목된다. 25일 홍수정 주 하원의원(공화)은 켐프 주지사 방문단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켐프 주지사는 다음달 23일 새벽 한국에 입국해 2박3일 일정을 소화하고 25일 일본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28~29일 도쿄에서 개최되는 미 동남부-일본 교류협회가 주최하는 연례 국제회의에 참석한다. 켐프 주지사의 방한 일정에는 마티 켐프 부인과 트립 톨리슨 사바나 경제개발청장이 동행한다. 홍 의원은 동행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답하지 않았다. 2022년 당선된 그는 조지아주 의회의 유일한 공화당 소속 한인 의원이다. 2023년부터 공화당 원내대표를 맡으며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의 의제를 입법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지난해 켐프 주지사가 2019년 이후 5년만에 두번째 방한을 추진할 때 경제사절단으로 함께 동행했다. 지난 3월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HMGMA) 준공식에 유일한 한인 정치인으로 참석한 바 있다. 켐프 주지사는 한국인 구금 사건 나흘 뒤인 8일 현대차 쪽에 먼저 면담을 요청하는 메일을 보냈다. 방한 기간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 외에 SK온, 한화큐셀, CJ푸드빌과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주지사 방한 주지사 부인 한인 공화당 한인 정치인
2025.09.25. 14:34
한인을 포함해 한국을 방문하는 미국인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 LA지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을 찾은 미국인은 24만4316명으로 전년 동기 18만1754명보다 34.4% 증가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동기 20만4744명에 비해서는 19.3%가 늘어난 수치로 연간 방한 미국인 통계도 지난해 108만6415명으로 2019년 104만4038명을 4.1% 추월한 바 있다. 연간 방한 미국인 수는 팬데믹 기간인 2020년 22만417명, 2021년 20만4025명으로 급감했다가 2022년 54만3648명으로 반등한 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이 방한 미국인이 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장유현 관광공사 LA지사장은 “팬데믹 기간 넷플릭스 등 OTT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한국의 매력이 크게 어필한 것이 직접적인 영향”이라면서 “K푸드, K뷰티 등 한류의 폭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면서 단순 관심을 넘어 ‘가보고 싶은 나라’로 잡아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연말 미국도매여행사총회에서 2024년 주요 방문 국가로 한국이 선정되고 시그니처여행컨소시엄총회에서 발표된 여행업계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한국이 가장 유망한 여행지 중 하나로 집중 소개되는 등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 지사장은 “올해는 지난해보다 B2B 커넥션을 30% 확대함으로써 연간 125만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000명 이상 참가하는 국제행사를 유치하고 국적 3사를 비롯해 하와이안항공, 에어캐나다와도 협력해 한국행 루트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인들 모국방문도 크게 늘고 있다. LA지역 한인여행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보다 한국행 수요가 30~40% 증가했다. 삼호관광 신영임 부사장은 “본격적인 모국방문은 3월부터 시작되는데 지난해보다 30%, 팬데믹 전보다는 20% 정도 증가했다. 자녀들이 한국방문을 원하면서 여름방학에 이어 가을 시즌까지 예약이 몰리고 있다”고 밝혔다. 푸른투어 이문식 이사도 “지난해 대비 30%, 2019년보다는 20% 늘었다. 특히 동남아 연계 모방 투어 매출이 많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춘추여행사 그레이스 김 팀장은 “지난해보다는 40%, 2019년보다는 100% 정도 급증했다. 모국 방문길에 일본 관광에 나서려는 한인들 문의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강달러 현상이 이어지면서 여행 경비 절감, 알뜰 쇼핑을 하려는 한인들이 몰리고 있어 성수기 시즌은 물론 비수기까지 한국 방문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한국 방문 한국관광공사 la지사 모방 모국 방문 여행 관광 한류 방한 여행사 로스앤젤레스 가주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04.29. 19:26
나라의 사귐은 국민의 친함에 있다(國之交在於民相親). 맞는 말이지만 현실은 꼭 그렇지도 않다. 중국의 경우 지도자 눈치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친함’에 앞서 ‘지도자 간 친함(領導相親)’이 선행돼야 한다. 지도자 우의는 어떻게 다지나. 교류부터 해야 한다. 가장 좋은 건 상호 방문의 정상외교다. 이를 한·중 관계에 대입하면 윤석열 대통령이 방중하거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을 찾는 것이다. 누가 먼저 가야 하나. 2013년 박근혜 대통령 방중에 이어 2014년엔 시 주석이 한국을 찾았다.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과 2019년 두 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이젠 시 주석이 올 차례다. 한데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 한국부터 찾겠다는 시 주석의 방한 계획은 감감한 상태다. 코로나는 핑계일 뿐 사드(THAAD) 사태 이후 양국 관계가 바닥이 어딘지 모를 정도로 추락하며 분위기가 뜨지 않는 게 진짜 이유일 거다. 그렇다고 윤 대통령이 먼저 중국을 찾는 것도 국내 정서상 쉬운 문제가 아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 우리 정부가 연내 개최를 목표로 추진 중인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돌파구가 될 수 있겠다. 2008년 시작된 3국 정상회담은 2018년 일본, 2019년 중국에서 열린 뒤 한·일 관계 악화와 코로나 사태 등으로 중단됐다. 올해 연다면 의장국은 한국으로 중·일 정상이 와야 한다. 이제까지 중국에선 총리가 참석해 리창 총리의 방한이 유력하다. 그러나 리창 대신 시진핑 주석이 참가해도 무방할 것이다. 시 주석은 관례에 연연해 하지 않는다. 과거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리커창 총리의 초청으로 중국에 왔을 때 리 총리를 대신해 주로 캐머런을 상대한 건 시 주석이었다. 시 주석 입장에선 3국 정상회의 참석을 이유로 한국을 찾는 모양새가 나쁘지 않고 한국은 어쨌거나 중국 정상의 방한이 이뤄졌으니 다음 윤 대통령의 방중 일정을 잡기 편하다. 그렇게 정상간 왕래가 잦아져야 더 나빠질 것도 없는 한·중 관계가 풀릴 것이다. 일본은 리창의 방일을 먼저 성사한 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중국을 찾아 시 주석을 만나는 일정을 추진하는 모양새다. 우리로선 한덕수 총리가 먼저 방중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 같다. 경제 살리기에 나선 리창 총리와 한·중 경제협력을 다지는 한편 시 주석의 방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정부가 추진하는 3국 정상회의 개최가 속도를 낼 필요가 있겠다. 유상철 / 한국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중국읽기 시진핑 방한 방한 분위기 방한 계획 정상회의 참석
2023.04.10. 21:08
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이 2021년에 이어 다음 주 두 번째 방한 계획을 발표했다. 오소프 의원은 26일 지역 정치인들과 함께 애틀랜타 중앙장로교회(담임목사 한병철) 예배에 참석하여 4월 첫째 주 경제 사절단을 이끌고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조정 중이라고 전했다. 오소프 의원은 예배 전 한병철 담임목사의 통역과 함께 "상원의원으로 당선되고 처음으로 방문한 국가가 한국"이라며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은 특별한 해에 다시 한번 한국을 방문하게 됐다고 이 자리에서 처음 밝힌다"고 말했다. 오소프 의원은 이어 첫 경제사절단 방문 이래 한국과 조지아 사이에 많은 경제 협력 프로젝트가 있었다며 한화큐셀 투자유치, 사바나 현대자동차 메타플랜트 기공식 등을 언급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이번 방한은 양국 간 경제 및 안보 관계 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오소프 의원은 한국 정·재계 인사들과 만나 한미 관계와 더불어 한국과 조지아간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할 예정이다. 4월 26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계획에 대해 오소프 의원이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 윤 대통령의 국빈방문 초청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오소프 의원은 2021년 한국을 방문하여 최태원 SK 회장, 당시 윤석열, 이재명 대선후보 등과 면담했다. 윤지아 기자방한 방한 계획 경제사절단 방문 이번 방한
2023.03.27. 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