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있는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부지 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공사 현장에서 4일 ICE(이민세관단속국) 요원들이 불체자 단속을 벌였다. 사바나 지역 한인들은 이날 단체 채팅방을 통해 현장 소식과 사진을 공유했다. 한 참여자에 따르면 이날 오전 풀러 소재 톰 트리플렛 공원에 경찰과 군인으로 보이는 요원들 다수가 모여 있었으며 LG 배터리 공장 공사 현장 접근이 차단됐다. 30대 직장인이라고 소개한 참여자는 “헬기가 뜨고, 온통 난리도 아니었다”고 전했다. 다른 참여자가 “전송받은 영상을 캡처했다”며 공유한 사진에는 공사장 인부들이 손이 뒤로 묶여 요원들에 의해 끌려가는 모습과 방탄조끼를 입은 무장 요원들이 포착됐다. 한 사진에서는 근로자들이 건물 벽에 붙어 서 있으며, 아시아계로 보이는 남성들이 가방을 메고 있기도 했다. 또 다른 사용자는 히스패닉계 근로자들이 “케이블 타이에 묶여 끌려가고 있다”고 했다. 또 "공장에서 고속도로로 나가는 교차로, 글로비스 정문 등을 막고 차량을 한 대씩 검문한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메리 베스 케네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대변인은 이날 본지에 “공장 건설은 일시 중단된 상태”라며 “공사 현장 조사와 관련해 관계 당국에 전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속은 오후까지 이어졌으며, 이민국 직원들은 부스를 차려놓고 한명씩 체류신분을 검사했다. 여권을 소지하지 않아 걱정했던 직원들은 "사진을 찍어 신원 조회를 통과해 풀려났다"고 전했다. 한 남성은 "3시간에 걸쳐 삼중, 사중의 확인을 받은 후에야 패스받고 겨우 나왔다. 실물 ID나 여권 없어도 이민국 직원들이 사진을 찍어 조회했다"고 설명했다. 신원조회를 통과한 또 다른 목격자는 "ICE에서 준비한 서류에 신상을 적으면 직원들이 컴퓨터에 입력 후 정보를 조회한다. 확인됐다는 서류를 받고 그대로 현장 밖으로 나왔지만, 구금되는 사람도 많았다"고 전했다. ICE는 이날 메타플랜트 LG 배터리공장 전체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탈 자이온 조지아주 공공안전국(DPS) 대변인은 본지에 "국토안보수사국(HSI)의 수색영장 집행을 지원하기 위해 이날 직접 구역을 통제하고 헬기를 파견했다"고 밝혔다. 스와니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위자현 변호사는 "노동허가를 받은 사람인지, 고용 자격을 확인하는 I-9서류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했을 것"이라며 "체류 신분이 없는 사람, 체류 신분이 있지만 일할 수는 없는 사람을 거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령 학생비자(F-1) 소지자의 배우자는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으나 일할 수 없다. 위 변호사는 "회사에서 I-9을 제대로 작성했는지, 직원들의 업데이트된 신분증 사본을 보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윤지아·장채원 기자LG 배터리공장 ice 단속 사바나 지역 속보 사바나
2025.09.04. 15:58
노르웨이의 배터리셀 생산업체 프레이어가 조지아주에 26억 달러를 들여 짓기로 한 공장 투자 계획을 철회했다. 6일 조지아주 경제개발부와 프레이어는 2022년부터 코웨타 카운티에서 추진하던 배터리 공장 '기가 아메리카' 사업이 취소됐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와 전력 저장용(ESS) 배터리를 2026년부터 양산하겠다는 목표로 25억 7천만 달러를 투자해 34GWh(기가와트시) 규모의 공장을 건설하려 했다. SK배터리아메리카 1·2공장(총 22GWh)보다 크고 현재 건설 중인 SK온-현대차 합작공장(35GWh)과 맞먹는 규모다. 현대차그룹 전기차공장 메타플랜트 건설 계획(2022년 5월)이 발표된 뒤 6개월 후 발표된 이 투자는 조지아의 배터리 산업 붐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당시 AP통신은 "전기차 회사 테슬라가 일본 파나소닉과 네바다주에서 운영중인 배터리공장 '기가팩토리'에 이어 세계 두번째로 큰 공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주정부는 3억 5800만 달러 이상의 보조금과 세제 인센티브를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전기차시장 수요 둔화로 배터리 업계는 생산시설 투자 속도를 늦추는 모양새다. 프레이어는 지난해 8월 유럽 내 배터리 생산과 신규 시설 계획을 철회했으나 조지아주 공장에 대해선 미국 내 배터리 수요가 높고 연방 및 주 정부의 지원책이 다양하다는 점을 들어 사업 의지를 밝혀왔다. 실제 톰 젠슨 프레이어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미국 시장 진출의 주요 이유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제 혜택을 내세운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 직후 프레이어는 중국 태양광 기업 트리나솔라(톈허광넝)의 텍사스주 모듈 공장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경영 전략을 재빨리 바꿨다. 중국산 태양광 수입이 봉쇄될 것에 대비한 조치다. 트리나솔라는 지난해 11월 공장을 신규 가동한 지 불과 며칠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코웨타 카운티 당국은 프레이어로부터 2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회수하고 공장 부지 인수자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배터리공장 조지아 조지아주 공장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배터리셀 생산업체
2025.02.07.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