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허드슨베이 떠난 7000평 빈자리…

  캐나다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백화점 체인 허드슨베이(Hudson’s Bay)가 토론토 시내 중심가에서 355년 만에 영업을 종료하면서, 약 7000평(약 65,000㎡) 규모의 대형 부지가 도심 한복판에 남게 됐다. 퀸 스트리트와 영 스트리트 교차로에 위치한 해당 건물은 문화재로 지정된 유서 깊은 건축물로, 현재는 캐딜락 페어뷰(Cadillac Fairview)가 소유하고 있다.   재개발 잠재력 높지만 '시기상조' 부동산 전문회사 콜리어스 캐나다(Colliers Canada)의 애덤 제이컵스 연구책임자는 “입지 조건만 보면 초고층 오피스, 콘도, 호텔 등 복합개발이 가능할 정도로 유망한 곳”이라면서도, “현재의 부동산 시장 상황은 이러한 대형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기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금리 상승, 건설비 상승, 시장 불확실성, 미국발 관세 등 다양한 악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온타리오 라인 지하철 공사로 인해 해당 부지 일대가 수년간 공사 상태로 유지될 예정이라 개발 속도는 더욱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백화점 시대의 종말 더베이 건물은 1894년 설립된 토론토의 대표적 백화점 건물로, ‘심프슨 백화점’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했다. 토론토시 도시계획국은 해당 건물을 “19세기 말 상업 건축의 걸작”이라 평가하고 있으며, 철강 구조 방식이 도입된 초기 건축물 중 하나로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허드슨베이를 포함한 백화점 산업 전반의 쇠퇴로 인해, 건물 전체를 다시 유통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혼합 용도 개발 가능성 토론토대학교 도시정책연구소의 캐런 채플 교수는 “미국에서는 유사한 백화점 건물이 주거, 박물관, 교육시설 등으로 재탄생한 사례가 많다”며, 해당 부지도 공공성 있는 용도로 재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부 전문가들은 영화관, 피트니스 센터, 소매 매장, 주거 및 사무 공간을 혼합한 복합 용도를 제안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활용 필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크리스 모이즈 시의원은 “역사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대중성과 지역사회 수요를 고려한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형 콘도 단지로의 전환 가능성은 낮다고 보며, 오히려 식료품점이나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적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구(舊) 시청사 부지를 활용해 박물관, 예술시설, 공공도서관 등을 조성하려는 움직임과 연계해 도심 활성화 계획이 진행 중이다.   향후 구상은 ‘기회의 땅’ 캐딜락 페어뷰 측은 “더베이 매장이 있던 공간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검토 중”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부동산 시장은 냉각된 상태지만, 교통 접근성, 역사성, 중심 입지 등을 고려하면 미래 가치가 높은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허드슨 활용가능 토론토시 도시계획국 심프슨 백화점 백화점 체인

2025.08.03. 22:33

썸네일

코로나로 더 악화한 美 백화점 잔혹사…한때 최대 시어스도 타격

(시카고=연합뉴스) 김현 통신원 = 한때 '세계 최대 규모 소매기업'으로 시대를 풍미한 미국 백화점 체인 '시어스'(Sears)가 본사 소재지 일리노이주의 마지막 매장 문을 닫는다. 12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시어스는 오는 14일을 기해 시카고 북서 교외도시 샴버그의 대형 쇼핑몰 단지(우드필드몰)에 남아있는 일리노이주 마지막 매장을 영구 폐쇄할 예정이다. 시대 변화에 밀려 설립 125년 만인 지난 2018년 파산보호를 신청한 지 3년 만이다. 이 매장은 50년 전인 1971년 9월 처음 문을 연 미국 내 최대 규모 매장(약 3만9천㎡) 중 하나였다. 인근 호프만에스테이트 소재 본사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매장으로, 상징적 의미도 컸다. 시어스 모기업 '시어스 홀딩스'의 현 소유주인 '트랜스폼코'(Transformco) 측은 "건물을 개·보수한 후 쇼핑몰 이용객들의 구미에 맞는 인기 소매업체들을 입점시킬 계획"이라며 "매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부동산 가치를 극대화하려 한다"고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시어스는 현재 온라인 쇼핑몰 '시어스닷컴'과 주택개선 및 가전제품 판매·수리 서비스를 하는 '시어스 홈 서비스' 프랜차이즈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1893년 시카고에서 '세계 최초의 우편 주문 판매업체'로 시작된 시어스는 1925년 시카고 웨스트사이드에 첫 매장을 열었고, 1969년 35만 명의 직원을 거느린 '세계 최대 규모 소매기업'으로 성장했다. 1974년 시카고 도심에 당대 세계 최고층 빌딩 시어스타워(현 윌리스타워·108층·442m)를 올리고 미 전역에서 3천500여 개 매장을 운영하는 등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거대 온라인 쇼핑몰의 부상과 함께 경영난을 겪다 2004년 헤지펀드 매니저 에드워드 램퍼트(ESL 인버스트먼츠)에 인수됐고, 2018년 10월 결국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이후 램퍼트는 트랜스폼코를 설립하고 개인 돈을 동원해 시어스 우수매장 425개를 선별적으로 인수하는 회생안을 법원에서 승인받았다. 당시 일각에서는 2013년부터 시어스 최고경영자(CEO)를 겸임해온 램퍼트가 사실상 시어스 붕괴의 축이며 그는 부동산에만 관심이 있다는 비난이 제기된 바 있다. CNN 비즈니스 등에 따르면 시어스 측은 2019년 4월 "램퍼트가 수십억 달러의 회사 자산을 빼돌려 파산을 조장하고 시어스를 독점했다"며 램퍼트와 그의 대학 동창인 스티븐 므누신 당시 연방 재무장관(시어스 이사 역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시카고 NBC방송은 현재 미국 전역에 약 30개의 시어스 매장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온라인 쇼핑이 급증하면서 지난해에는 고급 백화점 체인 '니먼마커스, 중저가 백화점 'JC페니', 200년 전통의 '로드앤드테일러' 등이 줄줄이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코로나 백화점 백화점 체인 시카고 웨스트사이드 시카고 언론

2021.11.15. 17:4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