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한인타운의 주택과 상가, 빌딩 등 부동산 가격이 지난 8년 동안 평균 55.1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LA 지역 매체인 크로스타운은 카운티 재무국의 재산세 자료를 분석해 2016년부터 지난해인 2024년까지의 LA카운티 265개 지역 전체의 평균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54%로 집계됐으며, 가장 높은 상승은 웨스트-애덤스 지역으로 무려 107%가 급등했다고 전했다. 웨스트-애덤스는 10번 프리웨이에서 남단으로 제퍼슨 불러바드, 동서로는 버몬트와 웨스턴 애비뉴 사이의 지역이다. 비교적 빈곤층 거주가 많은 곳으로 인식됐던 이 지역은 저가 주택에 대한 투자가 몰리면서 가격이 가파른 상승을 보였다는 분석이다. 반대로 이미 가격이 높았던 고급 지역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률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실제 웨스트-애덤스의 주택 가격은 이제 리모델링이 필요한 3베드룸 주택도 110만 달러에 매물로 나올 정도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과거 정체되어 있던 지역에 투자가 몰리면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해당 지역에 이어 엘리시안-밸리(86%), 레이크 LA(84.5%), 센추리 시티(84.4%), 엑스포지션 파크(84.4%), 미드 시티(81.4%) 등이 뒤를 이었다. 〈표 참조〉 LA 한인타운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해당 보도에 한인타운의 한 부동산 개발업자는 “가격의 50% 이상이 올랐다는 것은 여전히 투자 가치가 있다는 방증으로 볼 수 있다”며 “현재의 빌딩 건설 속도와 규모로 본다면 향후 4~5년 동안 한인타운 내 부동산 가격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크로스타운은 가격이 급상승한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우려도 제기했다. 비싼 신규 주택과 건물이 들어서면서 기존 거주자, 특히 세입자의 렌트비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10년 넘게 센트럴 LA에 살아온 지미 레시노스는 “웨스트-애덤스와 같은 지역은 원래 저소득층의 주거지였지만, 현재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렌트비를 요구하는 주택이 급증하고 있다”고 현실을 전했다. 반면 가장 낮은 성장을 보인 곳은 랜초도밍게즈(16.5%), LA 다운타운(31.4%), 스티븐슨랜치(33.1%), 롤랜드하이츠(34.4%), 월넛(34.8%), 칼라바사스(35.8%) 등으로 집계됐다. 전체적으로 낮은 성장률을 보인 곳들은 고급 주택과 빌딩이 있으며, 신규 개발, 거래 활성화 등 가격 상승 요인이 비교적 적었던 곳으로 분석된다. 이외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버뱅크(51.79%), 세리토스(41.26%), 다이아몬드바(36.88%), 글렌데일(45.94%), 라카냐다(49.81%), 라크레센타(51.17%), 라미라다(47.07%), 노스리지(45.47%), 토런스(50.21%) 등도 평균 상승률을 밑돌았다. 크로스타운은 투자 가치가 높은 곳으로는 아직 개발이 안 된 히스토릭 사우스 센트럴(평균 평가액 20만 달러 이하), 벨, 메이우드 지역 등을 꼽았다. 해당 지역들은 아직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낮고, 평균 평가액도 낮기 때문에 다음 투자처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크로스타운 부동산 애덤스 지역 부동산 개발업자 고급 지역
2025.05.06. 21:15
LA시청 부패 스캔들에 연루된 한인 개발업자 이대용(58.미국명 데이비드 이)씨 재판이 내달 시작한다. 시청 부패 스캔들이 터진 뒤 첫 번째 법정싸움이다. 이씨는 지난 2014년 LA다운타운 사무실 금고에서 현찰 420만 달러가 발견된 것으로도 뒤늦게 알려져 케이스 쟁점이 될지 주목된다. 연방법무부는 지난 2020년 부동산 개발업자 이대용씨를 대가성 거래 분식회계 세금보고 위조 사법방해 등 혐의로 기소했다. 기소장에 따르면 이씨는 20층짜리 콘도인 '940 힐 개발 프로젝트'가 환경단체 소송으로 차질을 빚자 당시 관할지역 시의원이었던 호세 후이자(14지구)에게 현찰 뇌물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후이자 의원의 한인 후원자이자 측근 김장우 씨를 통해 2016년 말과 2017년 초에 총 50만 달러 현찰을 건넨 혐의다. 당시 김씨는 약 10만 달러를 챙기고 40만 달러만 후이자 의원에게 건넸다. 김씨도 연루 혐의에 유죄를 인정했다. 후이자 의원이 당초 120만 달러를 요구했지만 이씨가 50만 달러를 현찰로 주겠다면서 합의액을 내릴 수 있었다는 게 검찰 측 판단이다. 그러면서 지난 2014년 이씨 사무실에서 현찰이 대량 발견된 FBI 사진도 증거물로 채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씨 변호 측은 현찰 소지가 기소로 이어지지 않았다면서 별도 케이스임을 강조했다. 존 월터 연방지법 판사는 "이씨는 지금까지 모든 비즈니스 15%~20%를 현찰로 해온 노련한 사업가로 보인다"면서도 증거물 채택 여부는 연기했다. 연방FBI는 지난 2014년 한인 의류업체가 몰려있는 자바시장을 급습했다. 멕시코 마약 카르텔 조직의 마약 자금 수천만 달러가 LA다운타운 자바시장 의류업체를 통해 불법으로 돈세탁 됐다고 보고 수사한 것이다. 당시 FBI는 자바시장에서 일하던 이씨 사무실 금고에서 현찰 420만 달러(사진)를 발견했다. 한편 후이자 전 의원은 부동산 시장이 뜨거웠을 당시 도시계획과 토지경영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사리사욕을 채웠다. FBI가 지난 2018년 11월 후이자 의원 사무실과 집을 급습하며 시청 부패 스캔들이 촉발됐다. 당시 FBI는 그의 옷장에서 현찰 12만9000달러를 압수했다. 그의 최측근으로 통했던 조지 에스파자 전 보좌관은 2014년~2018년까지 부동산 개발업자로부터 현금을 비롯해 호주 원정도박 정치 후원금 등의 향응과 뇌물을 받고 대형 개발 프로젝트 승인과정을 도와준 혐의에 유죄를 인정했다. 원용석 기자개발업자 스캔들 한인 개발업자 부동산 개발업자 la시청 부패
2022.05.22.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