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설문조사]캐나다인, 28% 부업으로 버틴다

  치솟는 물가와 경기 불안, 정체된 임금 탓에 캐나다인의 삶이 팍팍해지고 있다.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이들이 본업 외 부업(side hustle)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거나 여윳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H&R 블록 캐나다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들은 권장 저축률인 소득의 20% 대신 평균 7%만 저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51%는 "생활비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했으며, 81%는 "소득이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레저(Léger)와 캐피털 원 캐나다(Capital One Canada)가 실시한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캐나다인의 28%인 약 900만 명이 프리랜서나 단기 계약직인 ‘긱 이코노미(gig economy)’에 속하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많은 이들이 본업외에도 부업을 병행하며 두 개 이상의 수입원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결과, 부업을 하는 이들 중 94%는 “취미나 관심사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또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는 본업에서 10만 달러 이상을 벌고 있음에도 부업이 없으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전체 응답자의 55%는 부업 수입을 생필품 구매에, 59%는 저축에 사용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더 악화될 전망이다. 페르 뱅크 로블로(Loblaw) CEO는 최근 링크드인 게시글에서 “관세가 부과된 수입 제품들이 곧 매장에 등장할 것”이라며 “식료품을 비롯한 생필품 가격이 더욱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많은 캐나다인이 생계를 위한 '부업 찾기'에 나서는 추세다. 캐피털 원 캐나다는 “부업은 기존의 기술이나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자신의 일정과 목표에 맞는 일을 찾는 것이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다음은 대표적인 부업 7가지다. 1. 프리랜서 작업 그래픽 디자인, SNS 콘텐츠, SEO 기반 글쓰기 등 다양한 재능을 바탕으로 재택근무가 가능하다.   2. 전자상거래 핸드메이드 제품을 제작하거나 중고물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부수입을 올릴 수 있다.   3. 배달 자유로운 시간에 식료품, 소포 등을 배달하며 유연하게 돈을 벌 수 있다.   4. 반려동물 돌봄 캐나다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도그워킹, 펫시팅 등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5. 과외 또는 강습 수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개인교습은 보람과 수입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부업이다.   6. 가상 비서 조직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췄다면, 온라인 기반의 행정•고객지원 업무가 가능하다.   7. 피트니스 코치 운동 경험이 있다면 요가, 유산소 등 그룹 수업을 통해 부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처럼 경제적 불확실성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인들의 부업 의존도는 앞으로도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설문조사 캐나다인 부업 부업 수입 부업 찾기 최근 설문조사

2025.05.23. 7:06

썸네일

성인 5명 중 2명 부업한다…33%, "생활비 마련 목적"

성인 5명 중 2명은 생활비 등을 마련할 목적으로 부업을 하고 있다.   재정 전문 사이트 뱅크레이트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부업 중이라고 답했다. 이중 33%는 생활비 감당을 위해 추가 소득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부업을 하는 이유로 여유자금 충당(27%), 저축(25%), 부채 상환(12%)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연령대 별로 보면 Z세대(18~26세)의 경우, 응답자 2명 중 1명인 53%가 풀타임 직업 외에도 파트타임을 뛰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27~42세) 역시 50%가 부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X세대(43~58세)의 경우에도 40%나 됐으며 베이비부머(59~77세)의 응답률도 24%로 나타났다. 뱅크레이트는 “부업자의 월평균 수입은 810달러이며 남성과 밀레니얼 세대가 부업을 통한 소득 가장 컸다”고 덧붙였다. 1000달러를 버는 부업자도 15%나 된다고 덧붙였다.     재클린 하워드 앨리 파이낸셜의 시니어 디렉터는 부업으로 얻은 소득을 활용해서 재정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고금리 부채 상환 ▶비상금 저축 ▶은퇴자금 비축 등을 조언했다. 그는 “비상금이 있으면 예상치 못한 지출에 크레딧카드를 사용하거나 고금리 대출을 받는 데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정하은 기자생활비 부업 생활비 마련 생활비 감당 비상금 저축

2023.07.18. 23:59

팬데믹 이후 여성·소수계 창업 붐…작년 창업자 중 47%·27%

직장서 정신·육체적으로 탈진되고 인플레이션의 고통을 느끼는 미국인들이 팬데믹 이후 오랜 자본주의 전통인 창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급여 플랫폼인 구스토(Gusto)가 기업가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서 약 500만 개의 비즈니스가 개설됐다고 CBS가 30일 보도했다.   조사에 따르면 이 같은 수치는 2021년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팬데믹 이후 3년간 1500만 개의 새로운 비즈니스가 시작돼 팬데믹 이전 3년간의 1000만 개에 비해 대폭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창업 붐은 팬데믹 초기 폐업 및 실업이 급증하면서 많은 사람이 사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특히 여성 창업이 두드러져 지난해 신규 비즈니스 업주의 47%가 여성으로 나타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29%에 비해 18%포인트가 증가했다. 또한 소수계 창업주 비율도 지난해 27%로 2019년 23%보다 4%포인트 늘었다.   구스토의 이코노미스트 루크파듀는 “팬데믹 이후 여성과 소수계 창업 붐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 가운데 추가 수입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난 것도 더 많은 사람이 부업을 포함한 비즈니스에 뛰어들게 한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됐다.   설문조사에서 지난해 창업자의 41%가 재정적 안정 및 가계 수입 충원을 위해 비즈니스를 시작했다고 답해 전년도 24%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났다.   구스토는 이들 창업주 중 약 절반 가까이가 자신의 사업체에서 풀타임으로 근무함에 따라 결국 전국의 노동자원에서 250만명이 빠져나간 것을 암시한다며 이들 신규 업체들이 채용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결국 구인난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소수계 창업자 푸드트럭 창업 팬데믹 부업 여성 구인난 인플레이션 실업

2023.03.31. 0: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