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부업 시대의 선두주자, 사이클해커스 2년 만에 프리미엄 플랫폼으로

치솟는 물가 속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어지는 직장 노동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실제로 온라인 금융 플랫폼 렌딩트리가 최근 발표한 부업 관련 글로벌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8%가 부업을 하고 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은 “부업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부업 유형으로는 음식 배달·그로서리 대행(15%), 온라인 프리랜싱(15%), 파트타임 근무(14%) 외에도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활동, 반려동물 돌보기, 튜터링 등 다양한 사례가 나타났다. 특히 부업을 하는 이들의 월평균 수입은 1,215달러(약 170만 원), 중간값은 400달러(약 56만 원)에 달했다. 응답자의 61%는 “부업 수입이 없었다면 현재의 삶을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하며, 부업이 단순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 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주)유클이 개발한 부업 전문 플랫폼 ‘사이클해커스’는 론칭 1년 만에 빠른 성장을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 사이클해커스는 유튜브·블로그·AI를 활용한 다양한 온라인 수익 모델을 체계적인 강의와 실습형 학습으로 제공한다.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수강생이 직접 수익을 내며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점이 특징이다.   특히 사이클해커스는 “환불 보장”이라는 파격적인 정책을 운영해 눈길을 끌고 있다. 단순히 강의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수강생이 실제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끝까지 지원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교육 플랫폼 선택에서 환불 정책은 매우 중요한 기준”이라며, “사이클해커스는 ‘환불 안됨’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투명하고 신속한 환불 절차로 수강생 신뢰를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윤세현 (주)유클 대표는 “물가 상승과 경제적 압박으로 인해 이제 부업은 누구에게나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며, “사이클해커스는 누구나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도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한 강의가 아니라 실천 가능한 성공 경험을 만들어주는 구조로, 수강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조사에서도 드러났듯, 많은 이들이 주당 10시간 이상을 부업에 투자하면서도 77%가 “삶의 질이 향상됐다”고 답했다. 이는 단순한 생계 보조를 넘어 자기계발과 성취감을 제공하는 ‘성장형 부업’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이클해커스는 바로 이 수요에 부합하는 플랫폼으로, 향후 국내 부업 시장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정현식 기자사이클해커스 선두주자 부업 수입 부업 전문 부업 유형

2025.10.28. 18:00

썸네일

[설문조사]캐나다인, 28% 부업으로 버틴다

  치솟는 물가와 경기 불안, 정체된 임금 탓에 캐나다인의 삶이 팍팍해지고 있다.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이들이 본업 외 부업(side hustle)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거나 여윳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H&R 블록 캐나다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들은 권장 저축률인 소득의 20% 대신 평균 7%만 저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51%는 "생활비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했으며, 81%는 "소득이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레저(Léger)와 캐피털 원 캐나다(Capital One Canada)가 실시한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캐나다인의 28%인 약 900만 명이 프리랜서나 단기 계약직인 ‘긱 이코노미(gig economy)’에 속하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많은 이들이 본업외에도 부업을 병행하며 두 개 이상의 수입원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결과, 부업을 하는 이들 중 94%는 “취미나 관심사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돈을 더 벌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또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는 본업에서 10만 달러 이상을 벌고 있음에도 부업이 없으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전체 응답자의 55%는 부업 수입을 생필품 구매에, 59%는 저축에 사용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더 악화될 전망이다. 페르 뱅크 로블로(Loblaw) CEO는 최근 링크드인 게시글에서 “관세가 부과된 수입 제품들이 곧 매장에 등장할 것”이라며 “식료품을 비롯한 생필품 가격이 더욱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많은 캐나다인이 생계를 위한 '부업 찾기'에 나서는 추세다. 캐피털 원 캐나다는 “부업은 기존의 기술이나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자신의 일정과 목표에 맞는 일을 찾는 것이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다음은 대표적인 부업 7가지다. 1. 프리랜서 작업 그래픽 디자인, SNS 콘텐츠, SEO 기반 글쓰기 등 다양한 재능을 바탕으로 재택근무가 가능하다.   2. 전자상거래 핸드메이드 제품을 제작하거나 중고물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부수입을 올릴 수 있다.   3. 배달 자유로운 시간에 식료품, 소포 등을 배달하며 유연하게 돈을 벌 수 있다.   4. 반려동물 돌봄 캐나다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도그워킹, 펫시팅 등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5. 과외 또는 강습 수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개인교습은 보람과 수입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부업이다.   6. 가상 비서 조직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췄다면, 온라인 기반의 행정•고객지원 업무가 가능하다.   7. 피트니스 코치 운동 경험이 있다면 요가, 유산소 등 그룹 수업을 통해 부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처럼 경제적 불확실성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인들의 부업 의존도는 앞으로도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설문조사 캐나다인 부업 부업 수입 부업 찾기 최근 설문조사

2025.05.23. 7:0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