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 취약종인 북극곰이 남미에서 처음으로 새끼를 낳았다. 27일 브라질 상파울루 수족관은 새끼 암컷 북극곰 ‘누르(Nur)’를 대중에 공개했다. 지난해 11월 태어난 누르는 엄마곰 ‘오로라’와 아빠곰 ‘페레그리노’가 2014년 12월 러시아 카잔동물원에서 상파울루로 온 지 10년 만에 얻은 새끼다. 북극곰은 북극의 극단적으로 척박한 기후에 적응한 탓에 동물원에서 인위적으로 번식시키기 어렵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현재 야생에 약 2만2000마리에서 3만1000마리의 북극곰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빙하가 녹아 북극곰이 먹이를 찾지 못해 굶는 ‘단식 기간’은 1979년 12일에서 2020년 137일로, 11배 이상 길어졌다. [로이터]북극곰 남미 아기 북극곰 남미 출생 러시아 카잔동물원
2025.02.27. 19:02
북극곰은 세계야생기금(WWF)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요 보호종이다. 과연 북극곰은 어디에서 왔는가? 최근 연구에 의하면, 가장 가까운 친척인 갈색곰과 언제 갈라졌는지에 대한 의문이 풀리고 있다. 달마시안 개처럼 얼룩무늬가 있는 곰이 툰드라와 한대 산림 경계 산맥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 이 곰은 동면 기간에도 배가 고프면 둥지에서 나와 먹이사냥을 했다고 한다. 즉, 점차 북극곰의 장점과 갈색곰의 장점을 가진 하이브리드 곰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었다고 연구 논문은 기술하고 있다. 북극은 지구 위에서 결코 살기 좋은 곳이 아니다. 따라서 순록과 같은 일부 동물은 북극에서의 생존에 필요한 여러 가지 유전적 특징을 갖고 있다. 북극의 최상위 포식자인 북극곰 역시 예외가 아니다. 과학자들은 북극곰이 갈색곰과 구별되는 유전자 중 일부의 진화된 정보들을 모아 왔다. 그리고 새로운 유전체 분석 결과, 불과 7만 년 전에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북극곰은 갈색곰과 매우 가까운 친척이지만, 극한의 북극 환경에서 살아남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핵심적 적응력을 갖고 있다. 우선 몸을 따뜻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겹의 털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피부와 붙어 있는 큰 솜털 층으로 되어 있고, 그 외부는 비옷과 같은 역할을 하는 긴 보호털로 덮여 있다. 외부의 밝은 흰색 보호털은 위장에도 도움이 된다. 북극곰은 또한 심장을 손상하지 않고도 지방에 포함된 많은 양의 콜레스테롤을 축척하고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것은 물개와 벨루가와 같은 고래 종류를 주요 먹이로 하면서 진화한 것이다. 북극곰과 갈색곰은 진화적 측면에서 비교적 최근이라고 볼 수 있는 대략 100만 년 이내에 분리가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북극곰이 어떻게, 그리고 언제 북극에 적응했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연구에서 한 팀은 북극곰 119마리, 갈색곰 135마리, 화석화된 북극곰 2마리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화석 중 하나는 13만년에서 1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풀레핀텐(Poolepynten) 턱뼈였고, 다른 화석은 알래스카 보퍼트해 (Beaufort Sea)에서 발견된 브루노(Bruno)라는 별명이 붙은 어린 북극곰 두개골이었다. 브루노는 10만~7만 년 전에 살았던 암컷 곰이었고, 그 유전체는 과학자들이 갈색곰-북극곰의 분화 시기를 좁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유전체를 비교하여 북극 적응을 위한 7개의 핵심 유전자가 선택된 시기를 확인했다. 그리고 4개의 모든 북극곰 유전체에 동일한 DNA 변이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는 이미 일부 고대 북극곰 조상에서 발견되었고, 북극곰은 진화 초기에 북극 생활에 적응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유전자가 빙하기 말기 북극곰의 적응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다른 북극 동물도 털 색깔, 심장 건강,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유전자에 유사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는 아직 숙제로 남아 있다. 연구자들은 북극곰의 특정 변이가 북극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사실은 확인했지만, 다른 북극 동물들도 같은 변이를 가졌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인간만큼 뛰어난 동물은 없을 것이다. 몽고반점을 가진 아시아인이 베링해협을 건너 남미까지 갔다는 사실은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인간은 기록으로, 동물은 화석으로 존재감을 피력한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크스 교수기고 북극곰 북극곰 유전체 북극곰 2마리 북극 적응
2024.11.19. 18:04
최근에 보도된 뉴스 중 충격적인 내용 하나가 내 시선을 끈다. ‘산더미’라는 말이 과장이 아닌, 거대한 헌옷 더미의 사진이 기사와 함께 보도된 것이다. 오랫동안 입어서 낡고 해져서 쓰레기로 버려졌다면 기삿거리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놀랍게도 산더미 쓰레기 속에 들어있는 옷들 중에는 몇 번 입지 않은 거의 새 것 같은 옷들을 비롯해 앞으로 얼마든지 더 오래 입을 수 있는 멀쩡한 옷들이 쓰레기로 버려졌다는 것이다. 이 멀쩡한 옷 쓰레기들을 다 태워버리려면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이 공기 속으로 퍼지고, 땅속에 묻어 버려도 화학물질 때문에 썩지도 않는다는 난감함을 보도하고 있다. 멀쩡한 옷을 몇 번 입다가 쓰레기 통에 버리는 것은 옷에 한정된 현상이 아니다. 매일 TV, 신문, 컴퓨터, 기타 매체 등에는 고급 개인 용품에서부터 부엌 살림 기구, 가구, 자동차, 레저용품 등에 걸친 광고가 홍수처럼 쏟아져 사람들의 호기심과 소유욕을 부추기고 있다. 지구상의 수많은 사람들이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고 호기심이나 욕심에서 새 상품을 사고 있다. 아직 쓸만한데도 버려지는 물건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신문기사에 보여진 것처럼 지구상 어느 땅에 쌓여있을까? 또는 눈에 안 보이는 바다 속에 그냥 쏟아버렸을까? 뉴스를 보면서 보도 내용과 아무 관계도 없어 보이는 사진 한 장이 떠올랐다. 북극곰의 사진이다. 한때는 거대한 빙산이었지만 지금은 거의 다 녹아버려서 바닷물에 둥둥 떠있는 작은 얼음 덩어리 끝에 서있는 익사 직전 흰곰의 아슬아슬한 모습이다. 까마득한 오랜 세월 겹겹으로 쌓여왔던 거대한 북극의 빙산들이 지난 백여년 동안 꾸준히 오른 대기온도에 따라 서서히 녹으면서 북극곰들의 생존이 위태롭게 됐다는 것을 경고하는 한 환경단체가 올린 사진이다. 대기온도의 상승 때문에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생물들은 북극의 흰곰들만이 아니다. 섭씨 1도 내지 2도 정도의 기온 상승 때문에 지구의 생태계에는 심각하고 파괴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언젠가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할 수 있다는 우울한 예측이다. 만물의 영장이요, 문명의 주역인 사람들까지 생존의 위협을 받게 되리라는 것은 환경주의자들의 과장된 우려만은 아니다. 넓고 넓은 태평양 한가운데 흩어져 있는 작은 섬들의 주민들은 차츰 높아지는 수위 때문에 수백년 살아왔던 섬을 떠나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있다. 아름다운 해변가에 지은 고층아파트가 차츰 밀려오는 파도에 해변이 잠식 당하면서 아파트 건물 입구까지 바닷물이 들어올 위험을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인류 생존에 위협이 되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제기하는 과학자들이나 언론 보도는 다 쓸데없는 걱정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라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될까? 아직까지 지구는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유일한 행성이다. 이 아름다운 낙원에 생존하고 있는 모든 생명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환경보호 운동은 이제 전 세계 사람들의 책임이요, 각국 정부의 필수정책이 돼야 할 것이다. 아무 관계가 없어 보이는 헌옷 더미와 녹아드는 얼음 덩어리 끝에 서있는 익사 직전 북금 곰들의 사진은 환경파괴가 얼마나 무서운 재앙이 될 수 있는가를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김순진 / 교육박 박사시론 북극곰 헌옷 헌옷 더미 산더미 쓰레기 인류 생존
2022.01.23. 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