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부동산 이야기] ‘오퍼튜니티 존’의 비과세 혜택

저성장과 지역 불균형은 이제 전 세계 모두가 고민하는 숙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내놓은 ‘오퍼튜니티 존(Opportunity Zones)’ 제도는 단순한 정책을 넘어 자본과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투자자에게 파격적인 세금 혜택을 제공하여, 경제적으로 소외된 지역에 장기적인 투자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7년 세법 개정안(Tax Cuts and Jobs Act of 2017)을 통해 도입되었으며, 시행 8년 차에 접어들며, 그 효과와 한계가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핵심은 ‘오퍼튜니티 펀드(Opportunity Fund)’라는 독특한 투자 방식에 있다. 정부나 은행이 아닌, 개인이나 회사가 직접 조성하는 투자 기구로 이 펀드가 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은 모인 자금의 최소 90% 이상을 오퍼튜니티 존 안의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투자자의 자금이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개발과 사업 투자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든다. 오퍼튜니티 존 투자는 두 가지 핵심적인 세금 혜택을 제공한다. 첫 번째 혜택은 이미 발생한 자본 이득에 대한 양도소득세 납부 유예다. 이는 마치 세금을 잠시 빌려 쓰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부동산이나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었을 때, 그 이익을 6개월 안에 오퍼튜니티 펀드에 재투자하면 세금 납부를 2026년 12월 31일까지 미룰 수 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시점에서 이익을 재투자하더라도, 2026년 말에는 미뤄뒀던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즉, 이 혜택은 이제 사실상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그 이점이 크게 줄어들었다. 과거에는 이 기간 동안 펀드를 5년 이상 보유하면 10%의 세금 감면을, 7년 이상 보유하면 15%의 감면을 받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 기간을 충족할 수 없어 이 혜택을 받기 어렵다. 이와 달리, 현재 오퍼튜니티 존 제도의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혜택은 새로운 이익에 대한 비과세다. 펀드에 투자한 후 그 투자로 인해 새롭게 발생한 이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아도 된다. 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펀드에 대한 투자를 10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이 혜택은 2026년 납부 마감일과 별개로 적용된다. 즉, 2025년에 투자를 시작하더라도 10년 후인 2035년에 그 자산을 팔아 큰 이익을 얻으면, 이 이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파격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 비과세 혜택 덕분에 오퍼튜니티 존은 여전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투자처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가지 가상의 예를 들어보겠다. 뉴욕 맨해튼 상가를 100만 달러에 팔아 50만 달러의 자본 이득을 얻은 김민준 씨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2025년 8월, 김 씨는 이 이익을 오퍼튜니티 펀드에 재투자했다. 2026년 12월 31일이 되면 김 씨는 처음에 미뤄뒀던 50만 달러의 이익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모두 내야 한다. 5년 보유 기간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세금 감면은 없다. 하지만 김 씨는 펀드를 통해 투자한 텍사스 건물을 10년 이상 보유하기로 했다. 그 동안 건물의 가치가 200만 달러로 올랐고, 김 씨는 150만 달러의 새로운 이익을 얻었다. 이 시점에 건물을 팔면, 김 씨는 새로 발생한 150만 달러의 이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이처럼, 현재 시점의 오퍼튜니티 존 투자는 단기 세금 감면보다는 장기적인 비과세 혜택을 노리는 전략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문의: (562) 882-8949 준 리 / 콜드웰 뱅커 베스트 부동산부동산 이야기 오퍼튜니티 비과세 오퍼튜니티 펀드 비과세 혜택 현재 오퍼튜니티

2025.09.24. 17:39

트럼프 감세법률 혜택 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률(OBBBA)’이 지난 4일 정식 발효되면서 워싱턴지역에게 상당한 세금 혜택이 돌아갈 전망이다.   백악관이 최근 공개한 자료〈https://www.whitehouse.gov/obbb/〉에 따르면 OBBBA에 포함된 세금공제를 통해 버지니아주민들은 연평균 4400-8000달러까지 실질임금이 오르게 되고, 실질 가처분 소득은 연평균8000-1만1800달러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메릴랜드는 실질임금 4700-8400달러, 가처분 소득 8300-1만2200달러 증가 효과가 예상된다. 오버타임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는 버지니아 납세자는 전체의 24%, 팁 소득에 대한 면세 혜택을 받는 버지니아 납세자 비율은 4%였다.   소셜 시큐리티 연금 비과세로 인한 혜택을 받는 주민은 전체 수혜자의 88%인 150만명이 넘는다. 지방세(SALT) 공제 한도 확대로, 기존 1만달러 공제 한도가 5년간 4만달러로 늘어났다. 소득세율과 재산세율이 높은 지역에서 주택을 보유한 중산층 가구에 큰 혜택으로 작용한다.     주택 관련 세제 혜택도 눈에 띈다.모기지 이자 공제 한도가 75만달러로 영구화됐다. 또한 저소득층 주택세액공제(LIHTC)의 범위도 넓어졌다. 경제기회구역(Opportunity Zone) 세제 지원에 의해 버지니아에서만 212개 경제기회구역 내 신규 주택7500채 이상이 건설된다.     한편, OBBBA에는 ‘트럼프 계좌’라는 이름의 자녀용 저축계좌도 포함돼 있다.이 계좌는 부모, 조부모 등이 18세 미만 자녀 명의로 세금 유예 혜택을 받으며 일정 금액을 저축할 수 있도록한 제도로, 향후 주택구매를 위한 자산 형성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5년부터 2028년 사이 출생한 유아에게는 연방정부가 계좌에1000달러를 자동으로 지급하는 시범프로그램도 포함됐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감세법률 트럼프 저소득층 주택세액공제 비과세 혜택 트럼프 계좌

2025.07.20. 11:4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