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의 높은 집값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지역 소득 대비 너무도 비현실적 수준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주 CNBC는 개인 금융 웹사이트 고뱅킹레이츠의 분석 자료를 토대로 국내 가장 높은 생활비용이 필요한 10대 도시에서 편안한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소득을 조사한 결과 1위부터 3위까지 도시의 필요 소득이 20만 달러가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평균 가구 소득인 8만3730달러보다 2배 이상 높은 소득 차이다. 또 소득이 높은 만큼 가계의 가장 큰 지출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용 지출도 높아 해당 지역의 높은 주택 가격이 가계지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안하게 생활하기 위해 가장 많은 가계 소득이 필요한 10개 도시의 1위는 가주 샌호세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152만9160달러에 달했으며,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13만2473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26만4946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2위는 샌프란시스코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141만552달러였으며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12만5699달러였고,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25만1398달러가 필요했다. 3위 역시 가주 샌디에이고로 평균 단독주택 가 격은 114만127달러였으며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10만3176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20만6353달러였다. 4위는 LA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102만5128달러였으며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9만7460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9만4920달러가 필요해,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가주 지역이 차지했다. 5위는 뉴욕으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84만6342달러,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 9만2210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8만4420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6위는 다시 가주 롱비치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91만9269달러였으며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8만9679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7만9359달러였다. 7위는 워싱턴 시애틀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94만1803달러,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 8만9260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7만8520달러가 필요했다. 8위는 보스턴으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83만9566달러,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8만4578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6만9155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9위 역시 가주 오클랜드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79만7148달러,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은 8만1779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6만3559달러였다. 마지막으로 10위는 워싱턴DC로 평균 단독주택 가격은 74만9377달러, 필수품 구매에 필요한 소득 7만8980달러, 편안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은 15만7960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10곳의 도시 중 6곳이 가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에서 내 집을 장만한다는 것은 높은 집값과 생활 비용을 동시에 부담해야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의: (213)500-5589 전홍철 / WIN Realty & Properties에이전트 노트 비현실 장만 지역 소득 가계 소득 필수품 구매
2025.11.11. 17:00
신앙 생활은 어려움 속에서 희망을 찾고 불안에서 긍정으로의 힘을 얻는 것이다. 단, 때로는 이러한 무한 긍정이 비현실적인 긍정이 되면 자칫 자기 성찰이 안 되어 자기 발전과 노력이 없어지게 되고 기도와 열심으로 신에게 때를 쓰는 신앙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잘못이 없는데 기도가 부족해서 라는 식의 치료만 되풀이될 수 있다. 현실을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비현실적 긍정성’은 현실을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만큼이나 위험하다. 조엘 오스틴 목사님의 ‘긍정의 힘’과 최근 베스트셀러가 된 론다 번의 ‘시크릿’이 대표적이다. 물론 고난 속에서 희망의 줄기를 찾고 주문처럼 되내이는 것도 힘이 될 때가 있다. 그러나 삶의 영역에서 주술 외우듯이 모든 것을 비현실적으로 긍정할 때 종교는 미신이 된다. 연세대 심리학과 김영훈 교수는 ‘어떤 태도를 가진 사람이 성공할까’라는 주제로 실험을 해 보았다. 미국 대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이들은 10문제의 수학 시험을 치른 후 두 가지 질문을 받았다. 지금 치른 수학 시험에서 몇 개를 맞혔는지와 학점이 어떻게 되는지이다. 시험을 채점한 결과, 실제 성적과 보고된 성적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이 차이를 통해 세 부류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부류는 자기 자신을 현실보다 더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 (비현실적 긍정형), 두 번째 부류는 자기 자신을 현실보다 더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 (비현실적 부정형), 그리고 세 번째 부류는 자기 자신을 현실에 맞게 보는 사람들(현실적 긍정형)이다. 이 중에 가장 성적과 학점이 좋은 부류가 세 번째 부류이다. ‘비현실적 긍정형’ 학생들은 자기 자신을 너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성적이 낮아진다. 실력을 과대평가하여 노력을 게을리하기 때문이다. 현실의 상태가 좋다고 믿기 때문에 실제로 노력하지 않는다. 반면, ‘현실적 긍정형’ 학생들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며, 그 결과 성적이 높다. 현실을 직시할 때 적절한 노력을 기울이고 실제로 성과를 낸다. 즉,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는 사람이 가장 높은 성적을 얻는다. 반대로 ‘비현실적 부정형’도 문제다. 이들 역시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며, 매사가 부정적이어서 주변에서 싫어하게 된다. 더 중요한 문제는 이런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노력을 하지 않고 쉽게 포기하게 되어 무기력해진다. 결론적으로, 자기 자신을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성과를 높일 수 있다고 한다. 개인이나 교회나 어느 조직이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줄 아는 ‘현실적 긍정형’이 되어야 한다. 터무니없이 기도와 은혜로 현실을 외면하고 자신의 문제를 못 보는 ‘비현실적 긍정’이 개인과 교회를 망친다. 최근 한국에서 동성애 반대집회를 한다며 백만 교인이 모여 반대집회를 했다. 오늘날 교회의 문제들은 외면한 채 동성애 반대 집회를 연 것은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의문이 든다. [email protected] 이종찬 / J&B 푸드 컨설팅 대표종교와 트렌드 비현실 비현실적 부정형 비현실적 긍정 동성애 반대집회
2024.11.18. 17:52
4차 백신 접종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모더나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도 6일 “올가을 이후 더 많은 사람에게 (추가)부스터샷이 필요할지도 모른다”며 4차 접종론에 불을 지폈다. 공화당 소속인 짐 저스티스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도 6일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들에게 백신 4차 접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승인해달라고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7일 보도했다. 저스티스 주지사는 4차 백신을 50세 이상 성인과 필수 노동자들에게 먼저 맞히고 싶다며 이 경우 웨스트버지니아주가 4차 접종을 시작하는 첫 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탠퍼드 병원의 조지 설리너스 박사는 “오미크론 유행병의 한복판에서 데이터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며 “만약 그 데이터가 설득력이 있다면 4차 접종이 특정 인구 집단에는 합리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그러나 7일 부스터샷을 더 많은 사람에게 맞히는 데 우선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NYT는 또 최근 인터뷰한 10여 명의 과학자들이 몇 달마다 한 번씩 전체 인구를 상대로 부스터샷을 맞히는 것은 현실적이지도 않고 과학적 타당성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접종론 비현실 백신 접종론 비현실적 비판론 저스티스 웨스트버지니아
2022.01.07. 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