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민자 대상 사기 급증…“불법 단속 빙자, 돈 요구 주의”

가주 정부가 최근 불법 이민 단속을 빙자한 사기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며 주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롭 본타 가주 검찰총장은 18일 일부 사기범들이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을 사칭해 불법 체류자들을 대상으로 돈을 요구하거나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본타 총장은 가주 이민자들이 자신의 권리를 알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주검찰 웹사이트(oag.ca.gov/immigrant/resources)에서 한국어를 포함해 여러 언어로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단 당국은 ICE 요원이라며 접근할 경우 반드시 신분증을 요구할 것과 전화, 문자, 이메일을 통해 이민 문제 해결을 명목으로 돈이나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문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어떤 서류에도 서명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불분명하고 불확실한 내용의 서류라면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대처할 것으로 권했다. 또한 컨설턴트, 법무 보조원 등은 법적 대리인이 아니다며 반드시 변호사나 공인된 이민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라고 조언했다.     온라인에서는 정부기관이라고 주장하며 사이트 이름이 ‘.com’ 또는 ‘.net’으로 끝나면 정부 공식 사이트(.gov)가 아니라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당국은 필요한 경우 합법적인 법률 지원 서비스 또는 저소득층을 위한 무료 이민 법률 지원 기관을 찾으려면 안내 사이트(lawhelpca.org)에서 확인할 것을 권했다.     본타 총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정책과 인종차별적 발언이 불러온 공포와 불확실성을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연방 요원을 사칭하는 것은 중범죄"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이민 사기 범죄자들은 반드시 처벌받을 것”이라며 “가주 검찰은 법을 엄격히 집행하고, 이민자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불법이민 개인정보 불법이민 단속 개인정보 탈취 사기 기승

2025.03.19. 22:07

썸네일

전기회사 직원 사칭 사기 기승…"공급 중단하겠다"며 돈 요구

유틸리티 직원을 사칭해 전기나 가스 공급을 차단하겠다며 돈을 요구하는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19일 남가주에디슨사(SCE)는 유틸리티 회사 직원을 사칭하는 사기 수법이 더 교묘해졌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SCE에 따르면 최근 사기꾼들이 사전에 유틸리티 회사 부서, 직원 이름, 대표 전화번호 등을 숙지한 뒤, 불특정 주민에게 전화를 걸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주민이 전화를 받으면 유틸리티 회사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은 ▶전기 또는 가스 보수 작업 진행 ▶설치된 계량기 제거 ▶밀린 요금을 납부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압박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사기범은 대표 문의 번호를 남긴 뒤 자동응답 서비스 등으로 의심을 피한다. 결국 사기범은 해당 서비스를 유지하고 싶으면 개인정보 제공 또는 송금을 요구하며 금전적 이득을 취하고 있다.   실제 SCE는 올해 들어서만 약 1300건의 직원 사칭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SCE 고객의 관련 피해액만 17만 달러로, 1인당 평균 170달러를 사기범들에게 송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SCE 측은 “누군가 전화로 우리 회사 직원을 사칭해 전기 요금 등 납부를 압박하면 즉시 끊어 달라”며 “SCE는 전화로 개인정보나 요금 납부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SCE 측은 직원 사칭 사기 관련 피해 사례를 웹사이트(cloud.sce.com/Fraud_Form)로 접수하고 있다. 김형재 기자전기회사 직원 전기회사 직원 직원 사칭 사기 기승

2024.09.19. 22:17

"결함 있다며 헐값에 구매" 중고차 개인거래 사기 기승

캘리포니아주에서 중고차를 판매하려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북가주 네바다카운티 셰리프국은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나 크레이크리스트 등 온라인을 통해 중고차를 판매하려는 주민들의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지난 22일 SNS를 통해 주의를 당부했다.     당국에 따르면 이들은 구매자인 척 가장해 판매자에게 연락한 뒤 차량검사 및 시운전 날짜를 잡는다.     그리고 당일 1~2명을 더 데려와 한 명이 판매자의 주의를 돌릴 동안 나머지는 시운전하거나 차량을 확인하는 척하면서 차량을 조작한다고 전했다.     당국은 “그들은 차량이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끔 조작한 뒤 판매자에게 차량에 기계적 결함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보여주면 판매자는 충격을 받고 당황한다”며 “그러면 그들은 실제 가치보다 수천 달러가 낮은 터무니없는 가격을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 당황한 판매자가 헐값에 멀쩡한 차를 팔아버리기에 십상이란 것이다.     경찰은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잠재적 구매자와 마켓 주차장 등 사람들의 시선이 많은 공공장소에서 만나고 ▶혼자보다는 친구나 가족과 함께 약속 장소에 나가고 ▶잠재적 구매자에게 차량을 홀로 두지 말고 ▶기계적 결함을 주장하며 제시하는 낮은 가격에 압도되지 말고 믿을만한 정비공에게 검사를 받아본 다음 결정하고 ▶차량 거래 시 필요한 모든 DMV 서류를 작성할 것 등을 조언했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개인거래 중고차 구매 중고차 사기 기승 잠재적 구매자

2024.01.25. 22:59

뉴욕주 카드 스키밍 사기 기승

뉴욕주에서 현금인출기(ATM)에서 불법으로 카드정보를 복사해가는 ‘스키밍’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2200여 명의 푸드스탬프(SNAP) EBT 카드 내 현금 혜택이 갈취된 것으로 파악돼 주의가 요구된다.   5일 지역매체 더 시티(The City)의 보도에 따르면 법률 지원 비영리단체 리걸에이드소사이어티 등은 올해 첫 8개월간 이 같은 피해를 입은 주민이 2200명에 달한다며 지난 1일 뉴욕주 빈곤가정·장애지원국(OTDA)에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보도에 따르면 사기꾼들은 ATM 리더기에 몰래 장치를 설치하고 ATM에 꽂는 카드의 숫자와 PIN넘버를 도용하는 수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정보로 새 카드를 파기도 하면서 계좌에 있는 돈을 옮겨간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사기 피해 대부분은 뉴욕시에서 발생했으며, 피해 금액은 73만 달러에 달했다. 리걸에이드소사이어티는 신고 접수되지 않은 피해자가 더 많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피해자들이 정부기관들로부터 적법한 조치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푸드스탬프를 관할하는 농무부와 OTDA는 도난당한 혜택에 대해 보상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피해 보상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피해자들과 리걸에이드소사이어티 변호사들은 이 같은 유형의 사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현존 EBT 카드를 업그레이드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마저도 쉽진 않을 전망이라고 더 시티는 전했다.뉴욕주 스키밍 뉴욕주 카드 사기 기승 뉴욕주 빈곤가정

2022.12.05. 19:5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