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러튼에 거주하는 올해 49세의 박모 씨는 그동안 미뤄왔던 생명보험 가입을 결심하고, 30년 만기형 생명보험 플랜을 알아보았다. 보장금액 50만 달러를 기준으로 여러 보험사의 보험료를 비교한 결과, 건강 상태가 양호한 경우 대략 월 130달러 내외의 보험료가 산출됐다. 이 플랜은 30년 동안 보험 혜택이 유지되며, 만기 이후에는 보장이 종료되는 전형적인 기간형(term) 생명보험이다. 그런데 한 보험사의 플랜이 눈에 띄었다. 월 보험료가 144.50달러로 조금 더 비싸긴 했지만 말기 질환이나 불구 상태는 물론이고 롱텀케어(Long-Term Care)에 대한 보장도 포함된다는 점이 특별했다. 생명보험은 일반적으로 가입자가 사망해야 보험금이 지급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박 씨는, 살아 있는 동안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에 큰 매력을 느꼈다. 가까운 친척이 간병인의 도움을 받느라 평생 모은 재산을 거의 다 써버리는 것을 지켜본 경험이 있었기에 박 씨는 결국 이 플랜을 선택했다. 생명보험을 선택하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험료 차이가 크지 않다면 생존 시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플랜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박 씨가 가입한 이 보험플랜은 과연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 걸까. 보험료 차이는 크지 않은데, 다른 보험보다 더 많은 혜택을 준다니 의심이 들 수도 있다. 알고 보면 이 플랜은 ADB(Accelerated Death Benefit, 사망보험금 선지급 조항)이 강화된 생명보험이다. 대부분의 생명보험에는 기본적인 ADB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가입자가 향후 1~2년 이내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말기 질환에 걸린 경우, 보험금의 일부(절반 혹은 회사 기준에 따른 한도)를 사망 전에 미리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이다. 그러나 박 씨가 선택한 보험은 이보다 한 단계 더 진화된 형태다. ADB 혜택을 말기 질환에 국한하지 않고, 중증 질환이나 만성 질환의 경우에도 일정 비율의 보험금을 선지급받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 박 씨가 선택한 A사의 보험을 예로 들면, 이 회사는 기간형(term)과 종신형(whole life) 보험 모두에 이런 생전 혜택(Living Benefit)을 제공하고 있다. 보장 대상 질병은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말기 질환(Terminal Illness)은 전문의로부터 24개월 이내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을 받은 경우로, 말기암이나 백혈병 등 치명적인 질환이 이에 해당한다. 중증 질환(Critical Illness)은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질환으로, 대표적으로 심장마비, 장기 이식 수술이 필요한 상태, 뇌졸중, 시력 상실, 말기 신부전, 루게릭병(ALS) 등이 포함된다. 만성 질환(Chronic Illness)은 목욕, 옷 갈아입기, 배변, 이동, 배설 조절, 식사 등 일상생활의 기본적인 기능 중 두 가지 이상을 스스로 수행하지 못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롱텀케어(Long-Term Care) 상황에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입자의 신청에 따라 보험사가 생명보험금의 일부를 생전에 선지급하게 되며, 지급되는 금액은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캘리포니아의 평균 롱텀케어 비용은 월 4000달러에 달하며, 10년 후에는 최소 5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주류사회에서는 은퇴 후 장기 요양비로 인해 재산을 소진할 것을 우려해, 별도의 롱텀케어 보험을 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반 생명보험에 조금의 보험료만 추가하면 롱텀케어 혜택까지 포함된 생전혜택형 플랜을 선택할 수 있다면, 더 경제적이고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생명보험은 본래 가족을 위한 것이지만, 이제는 자신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시대다. ▶문의: (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생명보험 사망보험금 생명보험 가입 만기형 생명보험 말기 질환
2025.06.25. 19:00
유니버설 생명보험에 가입할 때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할 사항이 있다. 사망보험금(death benefit)과 현금 가치(cash value)는 다르다는 점이다. 사망보험금은 말 그대로 피보험자가 사망 시 수혜자에게 지급되는 보험금이며, 이 금액을 계약하기에 따라 평생 일정액을 유지할 수도 있고, 점차 자라게 설계할 수도 있다. 현금 가치는 중도해약금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불입하는 보험료 중 일부는 사망 적립금 및 관리비로 사용이 되고 남는 금액을 투자하여 수익을 내면 그 수익액까지 내 계좌에 쌓여서 중도에 해약할 경우 보험사에서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이 두 가지 다른 가치액이 함께 운영되니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투자수익이 많이 쌓여 현금 가치가 사망보험금보다 커지면 사망보험금 자체가 늘어난다. 늘려주지 않는다면 가입자는 그 시점에 보험을 해약해 중도해약금을 수령해 가는 것이 더 이익이니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선 당연히 보험금을 늘려줄 수밖에 없다. 반면 꾸준히 늘어나던 현금 가치가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줄어들 수 있다. 왜 그럴까? 같은 상품에 가입했다가 일찍 사망하는 가입자를 위해 사망 적립금을 쌓아두고 그 외에 자금으로 투자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가입 후 조기에 사망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으므로 사망적립금이 쌓이게 되지만 시간이 갈수록 많은 사망 보험금이 지급이 되다 보니 계속 불입하는 보험료와 새로운 투자 수익을 합해도 늘어나는 보험금 지급 때문에 현금 가치가 오히려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때에도 계약한 내 사망보험금은 계속 유지가 된다. 하지만, 현금 가치가 0이 되면 내가 받을 사망 보험금도 없어진다. 쉽게 말해 내가 가입했던 생명보험이 파산하는 것이다. 그 상황이 되면 기존 보험료의 몇 배에 달하는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데 그렇게 보험료를 추가 불입하며 보험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상황은 근본적으로 보험을 시작할 때 월 불입하는 보험료를 너무 적게 잡아서 그렇다. 적게 내고 보험금은 많이 타는 조건으로 보험을 설계해도 유니버설 보험의 특성상 가입은 가능하다. 하지만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를 불입해 왔다면 그런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상식적인 선에서 보험료와 보험금을 정해 보험설계를 받아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보험사에서 투자수익을 계속 많이 내 현금 가치가 예상보다 크게 많이 쌓였다면 평생 그런 상황이 안 올 수도 있지만, 그런 것을 기대하기보다는 근본적으로 적절한 보험료 납입이 더 중요하다. 전에 설명했듯이 영구성 생명보험의 경우는 처음부터 모든 것이 사전에 정해져 가입하므로 현금 가치가 0이 되는 상황에 대해서는 걱정을 안 해도 된다. 기간성 생명보험의 경우는 아예 현금 가치라는 것이 없다. 계약 기간 내에 사망할 경우 보험금 수령만 있을 뿐, 중도 해약 시 해약금은 없다. 이러한 개념을 확실히 이해한 후에 보험가입을 해야 한다. 실력 있고, 신뢰할만한 보험 전문가의 안내를 받는 것을 권한다. ▶문의: (213)387-5000 [email protected] 진철희 / 캘코보험 대표보험 상식 생명보험 사망보험금 사망보험금 자체 유니버설 생명보험 기간성 생명보험
2024.03.10.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