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사퇴 압박 슬리와 “끝까지 선거 참여”

뉴욕시장 경선을 포기하라는 '반 맘다니' 측의 압박에도, 공화당 후보로 나선 커티스 슬리와가 절대로 중도 포기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중도 성향의 정치인과 대기업, 사업가들은 슬리와 후보가 시장 출마를 포기하면 비교적 온건한 민주당 성향 후보로 꼽히는 앤드류 쿠오모(무소속)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커진다며 슬리와 후보에게 사퇴를 압박해 왔다. 중도 성향의 기업과 정치인들은 젊은 사회주의자, 무슬림 후보인 조란 맘다니(민주) 후보는 지나치게 극단적이라며 쿠오모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슬리와 후보는 21일 "분명히 말씀드리자면, 저는 어떤 상황에서도 선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선거에 계속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선거를 포기하면 돈을 주겠다는 제안도 이미 받았지만 거절했다"며 "뉴욕시장 선거가 2주 남았고, 남은 시간 동안 가능한 모든 것을 쏟아부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는 슬리와 후보가 포기하면 맘다니와 쿠오모 후보가 박빙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이후 슬리와 후보는 거센 사퇴 압박을 받았다. 〈본지 10월 21일자 A-3면〉 쿠오모 후보는 노골적으로 "슬리와가 선거를 방해하고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뉴욕의 사업가 그룹은 최근 며칠간 새로운 슈퍼PAC(특별정치활동위원회)을 구성해 3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하기도 했다. 이 슈퍼PAC은 맘다니를 공격하는 광고, 쿠오모 지지 전단 광고 제작에 사용됐다. 데일리뉴스는 "맘다니 후보가 무상 보육 확대, 백만장자와 기업에 대한 세금 인상을 공언하자 재계가 '반 맘다니' 펀드에 동참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현재 43% 수준의 지지율을 보이는 맘다니 후보는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다. 그는 "쿠오모 후보는 본인이 차기 뉴욕시장이 돼야 하는 이유를 시민들에게 설명하는 것보다, 다른 후보에게 사퇴하라고 압박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며 비난했다. 이어 그는 뉴욕시장 후보가 2명이든, 3명이든 본인이 승리할 것이라는 자신감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맘다니와 쿠오모, 슬리와 후보는 오늘 오후 7시부터 진행되는 후보 토론에서 다시 맞붙는다. 쿠오모 후보는 슬리와 후보를 압박하고, 맘다니 후보는 극단적인 사회주의자라며 공격할 것으로 보인다. 맘다니 후보는 온건층을 흡수하는 것보다는 저소득층 지원과 렌트 동결, 물가 잡기 등 중저소득층 뉴요커 민심 다지기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선거 사퇴 사퇴 압박 뉴욕시장 선거 뉴욕시장 후보

2025.10.21. 21:18

"LA 치유하려면 드레온 사임해야"…배스, 인터뷰서 사퇴 압박

캐런 배스(사진) LA 시장이 인종차별 발언 녹취록 사건에 연루된 케빈 드레온 시의원의 사퇴를 압박했다.   배스 시장은 최근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인종차별 스캔들로 상처받은 LA가 치유될 수 있는 길은 드레온 시의원이 사퇴하거나 리콜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취임 3일 만에 대혼란에 빠진 시의회를 직접 목격한 배스 시장은 단호했다. 그는 “드레온 시의원의 사임을 요구하는 시위대로 회의가 수차례 중단되는 대혼란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어 배스 시장은 본인이 취임 일성으로 터뜨린 홈리스 비상사태 선포안이 시의회를 통과한 점에도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LA시가 치유될 수 있도록 내가 집중하는 것은 4만 명의 집 없는 이들”이라며 “홈리스 문제는 드레온이 초래한 상황보다 한층 더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또 배스 시장은 홈리스 수용을 막는 장애물을 파악하기 위해 시청 담당자들과 회의를 가졌다며 놀랄만한 원인을 발견했다고도 털어놨다.   그는 “시청 내에 이렇게 공석이 많은 줄 몰랐다”며 “시민들은 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지 궁금해할 텐데 한 부서에 900개가 넘는 공석인 경우도 있다”고 한탄했다.   김예진 기자인터뷰 치유 배스 인터뷰 사퇴 압박 배스 시장

2022.12.15. 21:57

썸네일

거센 퇴진 압력에도 “사퇴는 없다”

“미안하지만 해야 할 일이 많아서 아직 사퇴할 수 없다.”     인종 비하 발언으로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케빈 드레온(14지구.사진) LA시의원은 “나는 사퇴하지 않는다. 아직 해결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있다”고 19일 주장했다. 그는 지역 유니비전 등 지역 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전방위적인 사퇴 요구를 전면 거부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드레온은 “나의 발언으로 상처받은 분들에게 다시 한번 죄송하다”고 거듭 사죄의 뜻을 밝혔다.     하지만 시의회에서 상임 위원회 권리 권한이 박탈된 지 하루 만에 나온 그의 발표는 사퇴 요구를 더욱 거세게 만들었다. 이날 열린 시의회에서 미치 오페럴 시의원은 세디요, 드레온 두 시의원의 사퇴를 다시 한번 촉구하고 나섰다.     드레온의 이글락 자택 앞에서는 4일째 지역 시민들과 블랙라이브스매터(BLM) 등 단체들의 사퇴 요구 시위가 이어졌다.     길 세디요(1지구) 시의원은 아직 사퇴 압박에 대해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그의 한인 수석보좌관, 데비 김씨가 최근 사임한 것으로 이날 알려졌다. 김 보좌관은 2018년 세디요의 비서실장에서 수석보좌관으로 승진하면서 당시 28살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수석보좌관 기록을 세운 바 있다.   한편 드레온에 대한 과거 어두운 행적이 연이어 터져 나오며 그의 입지를 줄이고 있다. 이날 오전 지역 매체인 ‘LA매거진’은 드레온이 아르메니안 폭력조직으로부터 자금을 받았다고 폭로했다.   매체는 펀드레이저인 에드가 사라시안(Edgar Sargsyan)이 2014년부터 총 40만 달러의 정치자금을 민주당 쪽에 기부했으며 드레온도 기부의 혜택을 받은 정치인 중의 한 명이라고 언급했다.   해당 자금의 출처는 폭력조직이라고 매체는 보도했고 사라시안은 최근 LA 연방 지법에서 연방수사국(FBI)과 관련된 부패혐의 재판에서 법정 구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인성 기자사퇴 폭력조직 사퇴 요구 사퇴 압박 사퇴 압력

2022.10.19. 20:5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