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전철 범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일부 상습 범죄자들은 여전히 거리를 활보하며 시민들의 불안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뉴욕시 전철에서 5000건 이상의 체포 기록을 가진 상습 범죄자는 63명이지만 현재 수감된 이는 단 5명에 불과하다. 대부분은 2019년 뉴욕주 형사 사법 개혁으로 보석 없이 석방된 뒤 재범을 반복하고 있다. 이 개혁으로 절도·소규모 마약·무임승차 등 비폭력 범죄자는 재판 전 대부분 보석 없이 석방되도록 바뀌었으며, 일부 경범죄에 대한 기소와 구속도 줄어들었다. 대표적인 상습 범죄자 중 한 명인 ‘마이클 윌슨’은 198회의 체포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중 190회가 전철 관련 범죄로 올해에만 36회 체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윌슨은 메트로카드 단말기 조작 혐의 등으로 여러 차례 체포된 전력이 있다. 또 ‘케니 미첼’은 149회의 체포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데, 최근 5개월 동안 절도와 위조 혐의로 18회 체포된 것으로 파악됐다. 미첼은 지난 6월 크랙 바이알(소량의 크랙 코카인을 담은 작은 유리병)을 소지한 채 전철 플랫폼에 누워 있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뉴욕시 전철 범죄율이 감소세를 보임에도 일부 상습 범죄자들의 활동으로 시민들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뉴욕시경(NYPD) 통계에 따르면 5개 보로 대중교통 범죄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올해 첫 8개월 동안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범죄율이 3.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법 집행 기관 관계자들은 “전철 범죄는 줄었으나, 소수의 상습범들의 활동을 제한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가 부족해 여전히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상습범들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 보석 제도 재검토와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상습범 석방 전철 범죄 상습 범죄자 비폭력 범죄자
2025.09.08. 20:20
#. 민주당을 꾸준히 지지해 온 박 모씨(44)는 최근 공화당 정치인들의 공약도 눈여겨보고 있다. 그는 “이민·총기 이슈 때문에 무조건 민주당을 지지해왔는데, 범죄율을 보면 민주당도 그닥 의지가 없는 것 같아 답답할 따름”이라며 “뉴욕주지사 선거에선 범죄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맨해튼에 거주하는 김 모씨(51)는 아시안 혐오범죄가 극에 달했던 작년 뉴욕시장 선거 당시 커티스 슬리와 공화당 후보에게 표를 줬다. 그는 “내가 공화당 후보를 찍을 줄은 상상도 못 했었다”며 “지금은 루돌프 줄리아니 같은 사람이 필요한 시점 같다”고 밝혔다. 세 달 앞으로 다가온 뉴욕주지사 선거의 핵심 쟁점이 ‘치안’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팬데믹 이후 사법 절차가 느슨해지고, 경찰 인력도 부족해 범죄율은 크게 올랐는데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아서다. 퀸즈 플러싱 등에서도 강도·절도 사건이 늘면서 한인들의 불안감도 커졌다. CBS방송은 5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와 리 젤딘 공화당 후보가 맞붙을 때 최대 쟁점은 ‘치안’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방송 인터뷰에 응한 이들도 “범죄 문제에 대해선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주지사를 보고 싶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 3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보석개혁법 때문에 재범자가 넘쳐난다며 비판하자, 치안문제는 더욱 정치화됐다. 보석개혁법은 성범죄·가정폭력 등 일부 범죄를 제외하고는 범죄자들에게 보석 판결을 내리지 않고 불구속 수사를 하도록 한 법이다. 뉴욕시경(NYPD)에 따르면 빈집털이 혐의로 체포된 1494명 중 25%가 60일 내 또 범죄를 일으켰다. 올해 총기 범죄에 연루돼 체포된 2386명 중 1921명(80.5%)도 구금되지 않고 거리로 풀려났다. 뉴욕시에선 상습 범죄자 구금은 허용해야 한다고 주의회 등에 압박을 가하고 있지만,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인 만큼 호컬 주지사는 선거 전까진 최대한 발언을 아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전날 기자회견에서도 “일부 현금보석 제도를 허용하고 판사에게 보석금 설정 재량권을 주는 식으로 개정한 보석개혁법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먼저 보겠다”고만 말했다. 민주당 주류 정치인들은 보석개혁법 덕분에 부자들만 구금을 피해가는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주지사 범죄 뉴욕주지사 선거 상습 범죄자 아시안 혐오범죄
2022.08.05. 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