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가장 상징적인 콜로라도주의 노래는?

 콜로라도는 지난 2007년 존 덴버(John Denver)의 ‘록키 마운틴 하이’(Rocky Mountain High)’를 두 번째 공식 주가로 지정했다. 하지만 이미 1915년부터 지정돼 있던 첫 번째 주가 ‘콜럼바인 꽃이 피는 곳에서’(Where the Columbines Grow)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그렇다면 콜로라도를 가장 잘 대표하는 노래는 과연 무엇일까? 지역 밴드 ‘스트링 치즈 인시던트’(The String Cheese Incident), ‘더 레일벤더스’(The Railbenders), ‘빅 헤드 토드 & 더 몬스터즈’(Big Head Todd and the Monsters) 등은 주의 자연미와 여유로운 분위기를 찬양한다. 또한 ‘윌리 넬슨’(Willie Nelson), ‘머를 해거드’(Merle Haggard), ‘타운스 밴 잰트’(Townes Van Zandt) 같은 포크와 컨트리의 전설들도 콜로라도를 노래했다. 비록 현재 공식 주가는 두 곡이지만, 내년 콜로라도주의 150주년(미국 건국 250주년과 같은 해)을 앞두고 이를 기념할 새로운 주가를 추가로 지정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덴버 포스트는 전했다.   ■‘록키 마운틴 하이’(Rocky Mountain High)’ - 존 덴버(John Denver) 콜로라도 출신 포크 가수 존 덴버의 대표곡으로 1972년 발표 이후 지금까지 주의 음악적 유산을 대표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가사 중 “캠프파이어 주위에 친구들, 모두들 하이”(friends around the campfire, everybody’s high)라는 문구가 마리화나를 암시한다는 논란도 있었으나 덴버는 이에 대해 부인했다. 2007년 주의회에서 공식 주가로 채택될 당시, 공화당 소속 데비 스태퍼드(Debbie Stafford) 주하원의원은 해당 문구가 해발 고도를 뜻한다고 명확히 하자는 수정안을 제출했지만 부결됐다. 같은 당의 데이브 슐타이스(Dave Schultheis) 주상원의원은 “기존 주가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폐기하고 교체해야 한다”며 두 곡을 동시에 주가로 유지하는데 반대하기도 했다. 그는 당시 “원래 주가의 가사조차 모른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그러나 덴버의 부드러운 음성과 멜로디가 돋보이는 이 곡은 시간이 지나면서 포크·소프트 록 장르를 넘어 콜로라도 주민 다수의 지지를 얻었다.   ■‘콜럼바인 꽃이 피는 곳에서’(Where the Columbines Grow) - 아서 J. 핀(Arthur J. Fynn) 콜로라도의 첫 번째 주가를 작곡한 아서 핀은 뉴욕 태생의 작가이자 학자였다. 그는 유럽 여행 후 귀국하는 배 안에서 1911년경 이 곡의 멜로디를 작곡했으며 이후 콜로라도 센트럴 시티로 이주해 교사로 활동했다. 1915년 콜로라도 주의회는 이 곡을 공식 주가로 채택했다. 가사 중 “달빛에 눈 덮인 봉우리가 반짝이는 곳”과 같은 구절은 고산지대의 장엄한 풍경을 묘사하며, “우리가 사랑하는 개척자의 땅”이라는 표현은 개척 정신을 드러낸다.    ■그 외 주목할 만한 콜로라도 관련 노래들   ▲‘마일 하이 인 덴버’(A Mile High in Denver) - 지미 버핏(Jimmy Buffett): 해변 이미지로 유명한 가수지만, 1970년 발표한 이 곡에서는 덴버의 고도와 매력을 포크 스타일로 표현했다. ▲‘볼더 투 버밍햄’(Boulder to Birmingham) - 에밀루 해리스(Emmylou Harris): 전 파트너였던 그램 파슨스(Gram Parsons)를 추모하며 부른 곡으로, “볼더에서 버밍햄까지 걸어갈 수 있다면 당신을 다시 볼 수 있을 텐데”라는 가사가 인상적이다. ▲‘겟 아웃 오브 덴버’(Get Out of Denver) - 밥 시거(Bob Seger): 1974년 발표된 이 곡은 덴버에서 경찰을 피해 도주하는 내용을 담은 록 음악으로 척 베리의 ‘Johnny B. Goode’를 연상케 한다. ▲‘샌 루이스’(San Luis) - 그레고리 앨런 이사코프(Gregory Alan Isakov): 콜로라도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인 샌 루이스를 배경으로 한 이 곡은 잔잔하면서도 감성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주 상징 내년 콜로라도주 공식 주가 콜로라도 출신

2025.09.09. 15:38

썸네일

수십 년간 LAX 상징 표지판 철거

수십 년간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을 상징해온 대형 ‘LAX’ 표지판이 철거된다. 공항 측은 목요일 밤부터 마지막 글자 ‘X’ 철거 작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 작업은 도로 현대화와 교통 혼잡 해소를 목표로 하는 LAWA(로스앤젤레스 월드 에어포트)의 대규모 현대화 계획의 일환이다.   마이클 크리스텐슨 LAWA 최고 개발 책임자는 “LAX 표지판이 잠시 자리를 비우는 동안, 우리는 장기적으로 직원과 여행객, 지역사회를 위한 세계적 수준의 공항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철거는 약 일주일간 진행되며, 순서는 ‘X’ → ‘A’ → ‘L’ 순으로 진행된다.   공항 측은 “기존 표지판은 단순히 철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로 설계와 호환되도록 재배치·재설치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공사는 활주로·터미널 현대화 프로그램(ATMP)의 일부로, 전체 완공은 2030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LAX는 2026년 FIFA 월드컵과 2028년 올림픽·패럴림픽 기간 동안 주요 시설이 정상 운영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AI 생성 기사표지판 상징 lax 표지판 lax 상징 기존 표지판

2025.09.06. 7:00

썸네일

“상징 통해 영혼과 삶 전달” 폴 아트 이 작가 개인전 개최

폴 아트 이 작가가 EK갤러리(관장 유니스 김)에서 9번째 개인전을 개최한다.     오는 26일부터 11월 16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회 주제는 ‘생명의 빛-그 사랑 이야기’이다.     이 작가는 캘리포니아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며 목사다. ‘생명의 빛’이라는 주제 아래 예술과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에서 발견되는 자유와 평화와 사랑에 대한 개인적인 탐구를 해왔다.     EK갤러리는 “작가는 상징을 통해 영혼과 삶의 이야기를 전달한다”며 “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묘사하기 이전에 덧칠해 나간 단순하고 깊은 색상과 탁월하게 분할되고 계산된 조형적인 화면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 작가는 1984년 제2회 서울국제전에서 특별상을 받은 이후 약 39년 만에 국제전시회에 출품해 제29회 아트 노스 인터내셔널에서 우수상과 특별상을 받았다.     플로리다에서 열린 제14회 국제 비엔날레에서도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개인전을 앞두고 프랑스 파리 루브루박물관에서 진행하는 아트 페어에 참석했다. 2023~2024 LA아트쇼 참가에 이어 내년에 EK갤러리 메인 작가로 LA아트쇼에 참여할 예정이다.     EK 갤러리는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이 LA에서 영감을 받고 그들의 꿈을 추구하며 재능을 표현하고 관객과 소통하는 예술 공간이다.     예술가와 큐레이터들과 함께 미술 전시회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문화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오프닝 리셉션은 오는 26일 오후 6시에 열린다.       ▶주소: 1125 Crenshaw Blvd. LA     ▶문의: (323)272-3399 이은영 기자개인전 상징 la아트쇼 참가 작가 개인전 이번 개인전

2024.10.20.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