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거스름돈 없어요"…1센트 동전이 사라졌다

‘1센트(페니)’ 동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초 높은 주조 비용을 이유로 페니 생산을 중단〈본지 2월 11일자 A-1면〉한 이후, 현금 거래 시 잔돈을 맞춰줄 1센트짜리 동전이 시중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어서다.   관련기사 트럼프, “페니 생산 중단 지시”... 비용 절감 조치 최근 맥도널드 매장에서 ‘99센트’짜리 커피를 주문한 김정준(가명) 씨는 직원으로부터 “바꿔줄 잔돈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     김씨는 “텍스까지 포함된 커피 가격이 1달러 8센트여서 현금(1달러 10센트)을 냈는데, 직원이 거스름돈을 받을 거냐고 묻더라”며 “1센트짜리가 없어 거스름돈을 줄 수 없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은행권에서도 이미 ‘페니 불균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 산하 170개 동전 유통센터 중 약 3분의 1이 페니 입출금 업무를 중단하면서 1센트 부족 현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주한미식품상협회(KAGRO) 김중칠 회장은 “앞으로는 가격 끝자리를 1센트 단위가 아닌 5센트 단위로 정해야 할 것”이라며 “예를 들어 23센트짜리 제품을 20센트로 내리면 업주는 손해를 보고, 올리면 소비자 불만이 생긴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금 거래가 많은 업소뿐 아니라 저소득층의 경우 잔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는 불편이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LA지역 한남체인 관계자 역시 “현금 거래 비중이 높은 업종은 앞으로 반올림 정책에 맞춰 가격을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며 “손님이 돈을 냈는데 잔돈을 주지 못하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KTLA도 지난달 31일 맥도널드를 비롯한 주요 소매업체들이 ‘1센트 부족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맥도널드 본사 측은 성명을 통해 “전국적으로 1센트 동전 생산이 중단되면서 일부 매장에서 정확한 거스름돈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며 “모든 고객에게 공정하고 간단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연방정부와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페니 부족이 본격화되면서 매장마다 대응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편의점 체인 러브스(Love’s)와 퀵트립(Kwik Trip)은 잔돈 부족으로 현금 거래를 5센트 단위로 내림 계산을 하고있다. 또 다른 편의점 체인인 시츠(Sheetz)는 “페니 100개를 가져오면 무료 음료를 제공한다”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LA 한인타운 상권도 긴장하고 있다. 아이스크림 가게를 운영하는 도리스 김 대표는 “요즘은 카드 결제가 많아 아직 큰 영향은 없지만, 현금 손님이 많은 업종은 앞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방정부 차원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점도 혼란을 키우고 있다. USA투데이는 최근 일부 주에서는 결제 금액을 반올림하는 행위가 불법으로 규정돼 있어, 많은 매장이 손실을 감수하며 내림 계산을 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연방의회는 지난 4월 현금 결제 금액을 5센트 단위로 조정하는 ‘커먼 센츠 법안(Common Cents Act)’을 발의해 논의 중이다.   한편 재무부는 지난 5월 마지막 구리·아연 원판(플랜쳇)을 발주한 뒤 6월에 1센트 동전 생산을 종료했다. 8월까지 배포된 물량이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마지막 페니들이다. 강한길 기자거스름돈 전국 생산 중단 동전 생산 트럼프 대통령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1센트 동전 페니

2025.11.03. 20:53

썸네일

트럼프, “페니 생산 중단 지시”... 비용 절감 조치

트럼프 대통령이 1센트 동전(페니)의 생산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발표했다. 그는 페니 한 개의 생산 비용이 2센트 이상으로 증가한 점을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하며, 예산 낭비를 줄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슈퍼볼 경기 후 워싱턴으로 돌아오며 SNS에 “미국은 너무 오랫동안 1센트 동전을 만들어 왔고, 이는 낭비 그 자체다. 미 재무부 장관에게 페니 생산을 중단하도록 지시했다. 우리나라 예산에서 낭비를 제거하자, 비록 한 푼씩이라도!”라고 밝혔다.   페니 폐지 논란은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으며, 최근에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 효율성 부서'가 X(구 트위터)에 해당 문제를 지적하며 논란이 커졌다.조폐국에 따르면 2023년 약 41억 개의 페니가 유통되었으며, 2024 회계연도 기준 페니 한 개를 제조하고 유통하는 데 평균 3.7센트가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로, 구리와 아연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조폐국에 따르면 2023년 약 41억 개의 페니가 유통되었으며, 2024 회계연도 기준 페니 한 개를 제조하고 유통하는 데 평균 3.7센트가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로, 구리와 아연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AI 생성트럼프 생산 생산 중단 생산 비용 비용 절감

2025.02.10. 14:0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