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전국서 한인 선출직 공직자 110명 맹활약

전국에서 활동중인 한인 선출직 공직자가 11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가 지난해 11월 선거 결과를 기반으로 집계한 숫자다.     KAGC는 연방 및 주의회 의원, 로컬 정부 시의원 등에 선출된 한인들의 명단을 정리해 이들의 지역구와 정치 성향 등을 목록으로 만든 데이터를 지난 7일 공개했다. 〈그래픽 참조〉   KAGC 측은 “2025년은 최초의 한국계 미국인 연방 상원의원이 탄생한 역사적인 해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한인 연방 하원의원의 당선과 더불어 여러 지역에서 한인이 선출되며 한인 사회의 정치적 위상이 더욱 높아진 해”라고 밝혔다. 이어 “이렇게 당선된 이들이 국가를 위해 헌신하며 한인 사회의 목소리도 대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연방 의회에는 앤디 김 상원의원(민주·뉴저지)을 비롯해 영 김(공화·가주), 데이브 민(민주·가주), 매릴린 스트릭랜드(민주·워싱턴) 하원의원 등 총 4명이 포진해 있다. 실비아 루크와 제이미 스털링이 각각 하와이주 부지사, 메릴랜드주 세인트메리 카운티 검사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4면 표 참조〉   또 최석호(공화·가주), 패티 김(민주·펜실베이니아), 도나 메르카도 김(민주·하와이) 등 3명의 주의회 상원의원도 배출했다. 전국적으로 주의회 하원의원이 9명, 시장은 7명, 시장 대행도 1명이 있다. 10년 전 비해 큰 폭 늘어 2명이 카운티 및 시의회 의장을 맡고 있으며, 부의장 1명, 시의원은 21명이다. 판사도 찰스 정 LA 카운티 수퍼리어 법원 판사를 비롯해 총 10명이다. 이밖에 20명이 교육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총 110명 중 89명이 로컬 정부 선출직이다.     한인 선출직 공무원이 많은 곳은 뉴저지(42명)주가 압도적이다. 가주(32명)와 워싱턴(6명), 뉴욕(5명)이 뒤를 이었다. 한인 인구가 8000여 명에 불과한 오클라호마에서도 주 하원의원으로 당선(2018년)된 대니얼 배 의원이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선출직 중 소속 정당은 민주당 28명, 공화당은 14명이었다.   한인 선출직 공직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스티브 강 LA 공공사업위 커미셔너는 “한인 정치력 신장을 실감할 수 있는 자료”라고 평가했다.  강 커미셔너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완전히 다른 상황”이라며 “연방 하원에 이어 연방 상원에도 한인이 진출하게 된 것은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이어 강 커미셔너는 “(한인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조지아주에서도 한인 연방 의원이 탄생하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며 “결혼을 해서 성이 바뀌었거나 소도시에서 활동하는 선출직 한인은 집계에서 누락됐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 한인 선출직 공직사 수는 더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상원의원 선출직 선출직 한인 상원의원 탄생 주의회 상원의원직

2025.03.09. 18:57

썸네일

‘한인 당선인’ 10년<2014~2024> 새 80% 급증

  비영리재단인 코리안 아메리칸 인스티튜트(KAI·회장 마크 김)가 최근 발표한 미주한인정치연감〈본지 10월 21일자 A-1면〉을 분석한 결과, 한인 선출직 정치인의 수는 2000년대 이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년대 초와 2020년대 초를 비교하면, 약 10년 새 한인 선출직 정치인은 80% 가까이 늘어났다.     먼저, 한인 선출직 정치인의 역사는 필립 민(하와이주 하원의원), 로버트 원배 장(하와이주 하원의원) 등이 배출되었던 1950년대부터 시작됐다. 이어 1960년대와 70년대, 80년대에 각 한 명씩 당선됐다.   한인 선출직 정치인은 1990년대 21명, 2000년대에는 38명으로 수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때 한인 정치력의 비약이 상당 부문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2010년대에는 96명이 선출됐다. 이를 5년 주기로 나눠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39명,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7명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한인 사회의 정치력이 신장된 시기로 평가된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총 71명이 선출됐다. 현재 한인 1.5세, 2세들의 정계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010년대의 수를 쉽게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 보면,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뉴욕·뉴저지 지역(110명)에서 가장 많은 한인 정치인이 배출됐고 캘리포니아(54명)가 뒤를 이었다. 워싱턴·오리건(21명) 등에서도 많은 한인 선출직 정치인이 배출됐다.지난 70년간 선출된 한인 정치인(총 231명) 중 약 70%가 한인 다수 거주 지역인 뉴저지와 캘리포니아 등에서 나온 셈이다.   흥미로운 점은 비교적 한인 인구가 적은 위스콘신(프란체스카 홍·주 하원의원), 미시간(훈영 호프굿·주 상원의원), 노스캐롤라이나(마리오 베너벤트·시의원), 코네티컷(킴벌리 피오레요·주 하원의원), 몬태나(이호 포메로이·커미셔너), 네바다(프란시스 앨런-팔렌스키·시의원), 오클라호마(대니얼 배·주 하원의원) 등에서도 한인 정치인이 한 명씩 선출됐다는 점이다. 미주리주(존 패터슨·에밀리 수 웨버·주 하원의원)에서도 두 명의 한인이 선출된 바 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남성 128명, 여성 103명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 LA시 공공사업위원회 커미셔너로 내정된 스티브 강은 “한인 이민 역사가 늘어가며 한인들의 정치력 신장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1.5세와 2세가 정치에 참여하는 나이가 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당선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오클라호마를 비롯한 비교적 시골인 지역에서도 한인들이 당선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한인의 수는 적어도 백인이 많은 지역에서 한인들이 당선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로컬 정부뿐만 아니라 시정부, 주정부, 연방의회 등 다양한 위치에 한인들이 선출되고 있고, 이는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KAI 자료에 따르면, 첫 한인 연방 하원의원은 김창준 의원(1993-1999)이다. 약 20년 후인 2019년에는 앤디 김 하원의원이 의정활동을 시작했다. 여성인 미셸 스틸, 영 김, 메릴린 스트릭랜드 하원의원 역시 2021년부터 의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앤디 김 의원은 올해 11월 선거에서 한인 최초로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하고 있다.   여성으로 처음 선출된 한인 정치인은 엘레노어 김 차우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몬테벨로 교육위원회에서 1970년부터 1993년까지 위원으로 활동했다. 하와이의 도나 메르카도 김은 1982년부터 1984년까지 주 하원의원, 1986년부터 2000년까지 호놀룰루 시의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주 상원의원을 지냈다.   한인 최초로 주정부 고위직에 오른 인물은 2022년 하와이 부지사직을 시작한 실비아 정 루크다. 가장 처음 시장직에 오른 사람은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뉴욕주 사라토가 스프링스 시장을 지낸 로널드 김이다.   관련기사 한인 주류정치 진출 70년…231명 선출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선출직 가주가 한인 선출직 가주가 압도적 한인 정치인

2024.10.21. 20:48

썸네일

KAI, 한인 선출직 역사 담은 연감 공개…최초 당선은 1954년

한인사회를 연구하는 미국 비영리단체가 한인 선출직의 기록을 정리해 화제가 되고 있다.     ‘코리안 아메리칸 인스티튜트(KAI)’는 최근 미주한인정치연감을 만들어 인터넷에 공개했다. 이는 1954년 미국에서 한인 정치인부터 현재까지 231명의 선출직 정치인들의 정보를 취합한 내용이다. 처음 선출된 필립 민부터 가장 최근인 팰리세이드파크보로 의원 원윤유봉까지가 총망라돼 있다.      필립 민은 1954년 하와이가 준주(准州)일 당시 주의회 의원으로 선출됐다. 하와이는 1959년 주로 승격됐다. 필립 민은 1966년에 사망했는데, 그해까지 주의원으로 활동했다.     1960년에는 알프레드 호연 송이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파크의 시의원으로 당선됐다. 그는 본토에서 선출된 첫 한인 정치인이었다. 그는 이후 캘리포니아 주의회 하원의원 및 상원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첫 연방하원의원은 1993년부터 1999년까지 활동한 김창준 전 의원이었다.     KAI는 이후 225명 이상의 한인이 지방 정부부터 연방 정부까지의 다양한 선출직에 올랐고 당선된 주와 정치 성향도 다양했다고 분석했다.     연감에 따르면 뉴욕 지역 한인 선출직이 1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캘리포니아 지역이 50여 명으로 뒤를 이었고 북서부인 워싱턴과 오레건주에서도 20여 명이 배출됐다.     현재 KAI의 연감은 지역별 한인 선출직의 수를 보여주는 지도와 선출직들의 이름과 지역, 직책, 기간 등이 소개된 표로 구성돼 있다. KAI 측은 한인 선출직들의 약력과 활동 내용 등을 추가로 취합하고 있으며 관련된 영상 등도 추후 게재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한 임명된 한인 판사들 역시 따로 취합할 계획이라고 한다.     KAI의 회장을 맡고 있는 버지니아 주의회 7선 하원의원 출신 마크 김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선출직들끼리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며 연감을 제작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그는 “이들은 한인회와 민주평통 등 모임에서 축사를 전하고 가끔 상을 받고 끝나는 경우가 많다”며 “같이 대화하고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KAI의 연감을 통해 전국의 한인 정치인들이 함께 생산적인 일을 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 것이다.   한편 KAI는 2022년 워싱턴 D.C.에서 출범한 비영리단체로 아직 정식 한국어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마크 김 회장은 올해 초부터 회장직을 맡아 앞으로 이를 싱크탱크 형식으로 키우고 한인들이 두루 공감하고, 필요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다른 한인 단체와 협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당선시기 선출직 한인 선출직들 한인 정치인들 선출직 정치인들

2024.10.18. 15:53

썸네일

"범죄 미온적인 민주당, 선출직에 악영향"

에릭 애덤스 뉴욕 시장(62, 민주)이 범죄에 미온적이고 범죄자에게 관대한 민주당의 태도가 민주당 선출직 공무원들의 정치 생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6일 시카고 언론과 CNN,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애덤스 시장은 전날 CNN의 '스테이트 오브 디 유니언'에 출연, "로리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60, 민주)의 재선 실패는 미국에 대한 경고 신호"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CNN은 애덤스 시장이 '민주당 소속의 미국 대도시 시장들에 대한 경고 신호'를 '미국에 대한 경고 신호'로 뭉뚱그려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애덤스 시장은 "나는 범죄 현장에 나가곤 한다. 그리고 뉴욕 주민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도 안다"며 "다른 도시들도 마찬가지다. 공공안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모두가 안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애덤스는 2021년 뉴욕 시장 선거에서 공공안전과 범죄퇴치에 초점을 맞춘 캠페인을 벌여 당선됐다. 지난해에는 뉴욕 지하철에 경찰력을 추가 배치하고 순찰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범죄 예방에 나서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2019년 미국 대도시 최초의 성소수자 흑인 여성 시장 기록을 세우며 화려하게 등장한 라이트풋 시장은 시카고가 범죄율 급증 등으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지난주 실시된 선거에서 득표율 16.9%로 3위에 그쳐 결선 진출권 조차 따내지 못하고 4년 만에 자리에서 내려오게 됐다.   이번 시카고 시장 선거에서는 전원 민주당 소속인 9명의 후보 가운데 폴 발라스(69) 전 시카고 교육청장이 1위(33.2%), 브랜든 존슨(47) 쿡 카운티 위원이 2위(21.1%)를 차지했다.   발라스 전 교육청장은 후보 가운데 중도 성향이 가장 짙은 인사로, 선거 기간 '공공안전 강화', '경찰 지원 확대'를 핵심 공약으로 앞세웠다.   미국 3대 도시 시카고의 시장 선거는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유권자들의 범죄와 치안에 대한 입장과 태도를 가늠해보는 시험대가 됐다고 CNN은 분석했다.   애덤스 시장은 "공공안전은 도시 번영의 전제 조건"이라며 "시카고와 마찬가지로 뉴욕을 포함한 모든 대도시의 시민들도 안전하기를 원한다. 공공안전에 중점을 두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애덤스 시장은 범죄와 공공안전에 대한 그의 발언이 민주당에 흠집을 내고 외려 공화당을 돕는다는 당내 비판에 대해 "분명한 여론조사 결과가 있다. 뉴욕 시민들은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고 관련 통계들도 그들이 안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시민들의 고충을 무시하려 하는 이들을 어쩔 수는 없다. 다만 나는 지하철을 타고 거리를 걷고 노동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그들이 안전에 대해 염려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뿐"이라고 부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범죄와 관련해 민주당 내부에 분열이 있다"며 "중도파 의원들은 급진파의 사법개혁, 경찰 예산 삭감 등의 주장에 반대한다"고 전했다.   민주당 주도의 미국 수도 워싱턴DC는 지난해 범죄 처벌 수위를 낮추는 내용의 사법개혁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공화당 주도의 연방 하원이 지난달 이 개혁안을 무효화 하기 위한 법안을 승인해 상원에 이관했고 조 바이든 대통령도 이 법안에 서명할 계획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이 같은 움직임은 민주당 주도의 사법개혁이 필연적으로 지역사회를 더 위험하게 만든다는 공화당 측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급진 성향 민주당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며 공공안전이 2024 대선에서도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민주당 선출직 민주당 선출직 전원 민주당 민주당 소속

2023.03.07. 14:16

썸네일

새 출범 LA시정부 최우선 과제는 홈리스 해결

중간선거가 끝나고 가주 내 각급 정부 조직이 새로운 리더십 아래 출범하면서 보다 선명성 있는 정책과 신속한 집행을 선보일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첫날부터 ‘홈리스 비상사태’를 선포하게 될 캐런 배스 LA시장 당선인의 11일 취임에는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이 참석한다.   배스 진영이 취임 선서를 위해 그에게 참석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배경에는 ‘첫 여성 시장 또는 첫 동남아시아 출신 부통령'이라는 상징성에 대한 공감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방 상하원에서 가주 지역을 대표한 것이 큰 공통분모지만 두 사람은 가까운 관계는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해리스 부통령은 취임 선서만을 돕고 연설은 따로 하지 않을 예정이다.   배스 당선인은 이런 취임식 분위기를 기반으로 12일부터 홈리스 해결과 길거리 치안 확보를 위한 강공 드라이브에 나설 계획이다.   배스는 역대 LA시장 선거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했으며 상대 후보인 릭 카루소와의 표 차이도 10%포인트로 벌어졌다.   재선된 개빈 뉴섬 주지사와 주의회는 개스값과 전쟁을 벌인다는 구상이다.     주지사 측은 오일업계가 의도적으로 개솔린 가격을 올리면서 주정부가 펼쳐온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 줄이기'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만약 오일업계가 부당하게 높은 가격으로 개솔린을 팔아 과다 이익을 취했다면 법적으로 벌금을 부과한다는 각오다.   관련 법규는 5일 시작된 주 상하원의 특별 회기를 통해 검토될 예정이며 투표에 부쳐질 계획이다. 하지만 관련 규정이 통과되지 않도록 로비해온 오일 업계가 버티고 있어 의원들의 투표 참여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요 미디어들은 뉴섬의 '오일 전쟁' 성공 여부가 그의 이번 임기의 핵심이자 차기 행보에 초석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압도적인 격차로 현직을 물리친 로버트 루나 셰리프 국장은 2일 LA 다운타운 카운티 빌딩에서 취임식을 갖고 '부패 근절'과 '올바른 경찰력 집행'을 강조했다. 35년 동안 근무한 롱비치에서 경찰국장까지 역임한 그는 문제 해결 방식에 있어서 경직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을 동원할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취임식에서 명예, 책임, 협력을 가장 큰 리더십의 핵심으로 제시했다. 특히 조직 내부에서 암적인 존재인 사조직을 없애고, 대민 서비스 일환으로 구치소 시설과 서비스 개선에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2일 취임식에는 4명의 카운티 수퍼바이저와 롱비치 시장 및 경찰국장 등이 참석해 그의 성공을 기원했다. LA 셰리프국은 전체 직원이 1만8000여 명이나 되고, 시에 편입되지 않은 총 141개 관할구역을 갖고 있으며 42개 시와는 치안 관리 계약을 맺고 있다. 그는 5일부터 공식 업무에 돌입했다.   최인성 기자선출직 각급 취임식 분위기 각급 정부 해리스 부통령

2022.12.05. 21:08

‘선출직 임기 제한’ 찬성여론 높아

11·8 선거에서 주민 투표에 회부된 시의원, 교육위원 등 선출직 공무원 임기 제한 발의안이 다수 유권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4년 임기를 2회 연속 수행한 시의원은 최소 2년을 쉬어야 다시 출마할 수 있도록 하자는 알리소비에호 발의안 I는 84.7%에 달하는 압도적 찬성률을 기록 중이다.   4년 임기 시의원은 3회, 2년 임기 시장은 4회 등 시의회에서 일할 수 있는 기간을 총 20년으로 제한하자는 샌타애나 발의안 X도 74.6%의 지지를 받고 있어 통과가 확실시 된다.   샌타애나 유권자들은 통합교육구 교육위원이 4년 임기를 3회 수행하면 그 다음 선거에 출마할 수 없게 제한하자는 발의안 H에 대해서도 86.8%의 지지를 보냈다.   2개 도시의 숙박세 관련 발의안은 모두 가결될 전망이다.   온라인 여행사가 예약을 받을 때, 시에 납부할 숙박세를 걷도록 하자는 애너하임 발의안 J는 58.9%, 시내 호텔, 모텔, 단기 임대 주택 등의 숙박세를 1박당 현행 8%에서 12%로 인상하자는 라팔마 발의안 P는 70.9%의 찬성을 얻고 있다.   향후 마리화나 관련 비즈니스 영업을 허가할 경우, 해당 업체에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선제적 발의안 2개도 찬성 여론이 우세하다.   헌팅턴비치 발의안 O는 54.2%, 라구나우즈 발의안 T는 61.9%의 지지를 받고 있다.   호텔 직원에게 18달러의 시간당 최저임금을 지불하고 일일 업무량을 제한하자는 내용의 라구나비치 발의안 S는 68.8%의 유권자가 반대, 부결이 확실시 된다. 임상환 기자찬성여론 선출직 임기 시의원 제한 발의안 임기 시장

2022.11.16. 16:5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