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한인타운 도심 도로가 한밤중 갑자기 내려앉았다. 17일 새벽 2시30분쯤, 세인트앤드루스 플레이스와 4가 교차로 도로가 함몰되며 싱크홀이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인근 지하의 노후 상수관이 파열돼 지반이 침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로 차량 한 대가 파손되고 도로는 진흙과 흙탕물로 뒤덮였지만,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시는 즉시 복구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사고는 LA 전역의 노후 수도 인프라가 안고 있는 구조적 위험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LA수도전력국(LADWP)에 따르면, LA 시내 상수관의 30% 이상이 80년이 넘은 노후 배관으로 지진이나 수압 변화, 토양 침식에 취약하다. 지난 7일 베니스 지역에서도 상수관 파열로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30여 가구가 단수 피해를 봤다. 전문가들은 “노후된 지하 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그 물이 토양과 지반을 약화시켜 도로 붕괴로 이어지는 ‘싱크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A시에서는 매년 약 300건의 상수관 누수가 보고되고 있어 향후 싱크홀 발생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다. 문제는 예방보다 복구 중심의 대응 구조다. LA시는 상수관 교체 예산을 매년 확대하고 있지만, 교체 속도는 전체 관망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문가들은 “교체가 늦어질수록 피해 복구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고 강조했다. 송영채 기자한복판 싱크홀 수도관 파열 수도관 교체 노후 수도관
2025.10.19. 20:19
뉴저지 패터슨에서 또 노후화한 대형 수도관이 파열돼는 사고가 발생했다. 퍼세익밸리수자원위원회(PVWC)는 24일 오전 패터슨 N 1스트리트와 아치스트리트 교차점에 위치한 42인치 수도관이 파열돼 작업대원들이 수도 공급 밸브를 잠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패터슨 리버사이드 지역의 기업과 주거민들에게 공급되는 물이 감소하거나, 압력이 낮아졌다.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1만8000명의 주민들은 단수 현상을 겪고 있다. 짐 뮐러 PVWC 수석국장은 “이 파이프들이 120~140년이나 된 만큼 물 공급을 갑자기 중단하고 고칠 방법이 많지 않다”며 “현재 파이프를 재연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언제 수리를 완료하고 수압을 복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예상 기한은 발표하지 않았다. 패터슨에서는 이달 중순에도 수도관이 파열되면서 18만5000명의 주민이 불편을 겪었다. 당시 패터슨, 프로스펙트파크, 헤일던, 노스헤일던 등 4개 지역에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패터슨 내 프로스펙트파크, 헬레돈 등 일부 지역에서 보건당국은 식수나 조리, 양치, 식기 세척 등에 사용할 물은 최소 1분간 끓여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공립교 화장실을 개방하고 샤워 트레일러를 설치했으며, 피해 지역 곳곳에서 무료 생수를 배포 중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패터슨 수도관 수도관 파열 패터슨 리버사이드 뉴저지 패터슨
2025.08.25.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