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부동산 이야기] 저축하는 습관 기르기

예상치 못한 갑작스러운 지출에 대비해 비상 시 자신의 월수입의 6개월 정도 비축한 미국인은 25% 미만에 불과하다고 한다. 75% 이상은 아예 저축이 안 되어있고 나머지는 어느 정도 저축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즉, 월수입이 5000달러라면 3만 달러 저축이 있는 사람이 25%에 불과하고 나머지 75%에 해당하는 사람이 거의 없거나 약간 정도 저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실직이나 질병 등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할 때 6개월 이상을 견딜 수 없는 사람이 거의 75%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비상자금뿐만 아니라 은퇴 후의 삶도 대비해두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신의 12개월 수입의 한 달에 해당하는 금액은 저축해 두길 바란다. 매월 수입의 10%를 떼어 저축해두는 것이 좋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은퇴 이후의 미래까지도 지금부터 대비해 두는 자세가 필요하다.     요즘 우리는 소비주의에 흠뻑 젖은 문화권에 살고 있다. 기업들이 매년 수조 달러 이상의 광고 비용을 쏟아부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품판매를 유혹하고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광고는 훨씬 더 많다. 그들 광고의 대부분은 물건을 사고 소유하는 것이 행복과 만족 그리고 성취감을 가져다준다고 선전하고 있다. 청소년이나 어른들까지도 쉽게 ‘선 구매 후 지불’의 간편한 지급방법에 현혹당하여 채무의 유혹에 쉽게 빠져들고 있다. 편리함에 이끌려 삶의 신중함이 압도당하며 마침내 나중에 후회할 걱정을 하면서 사는 것이 대부분의 우려다. 돈을 다루는 방법은 그 사람의 가치관을 잘 나타낸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중요하다고 가치를 두고 있는 곳에 돈을 쓰고 싶어 하지만 이런 물건들이 또다시 빚을 지게 한다. 재정문제를 야기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물질주의에 애착을 느끼는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다. 현재 필요하지도 않으면서 자신의 허상을 남에게 커버하기 위해 과도한 지출을 하며 브랜드 제품을 사는 것이다. 쓰지 않아도 되는 돈을 낭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의 하나가 지혜롭지 못한 재정 결정의 원인이 되는 충동구매다. 물건이 필요해서 충분히 생각한 후에 사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원하기 때문에 사는 행위다.     크레딧카드는 사용한 게 찔끔찔끔 쌓여 월말 결산 때 부채가 늘어나게 하는 주범이다. 크레딧카드의 포인트 베네핏을 활용하고 매월 일시불로 갚는 방법이 아닌 경우, 연체는 이자가 붙어서 점점 더 큰 빚을 지게 한다. 어쩌면 우리 주머니 안에 있는 카드가 가정의 행복과 평화를 파괴할 가능성을 가진 시한폭탄과 같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재정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선 반드시 재정 계획을 세워야 한다. 돈을 관리하기 위한 청사진이 없으면 재정을 통제하기가 매우 어렵다. 잘못된 재정 결정은 고통스러운 결과를 감수해야 한다. 재정 관리 원칙은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천이다. 지금부터라도 행동하면 안정적인 생활패턴으로 자리잡혀 가게 될 것이다.     (필자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해 가필이나 수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문의:(213)380-3700 이지락 샬롬센터소장부동산 이야기 저축 습관 재정 결정 재정 문제 재정 계획

2025.05.13. 23:48

[골프칼럼] <2264> 습관은 제2의 천성

골프를 시작해서 스윙의 메커니즘을 알만하면 첫 번째로 닥치는 것이 슬라이스(slice)라는 골프병이다. 그리고 핸드캡이 90대를 넘나들 때 즈음, 슬라이스라는 중증에 시달리기 시작한다.   골프를 하는 동안은 감기 걸리듯 주기적으로 훅과 슬라이스가 생기게 마련이다. 골프코스를 나가기 시작하면 연습은 ‘뚝’, 하루에 36홀, 54홀도 ‘OK’로 변하는 게 골퍼의 속성이다. 여기저기서 게임에 지면 누더기로 변한 스윙을 고치려고 연습장을 찾지만 악습이란 악습이 암세포처럼 퍼진 상태에서 스윙을 고치기는 쉽지 않다.     건강할 때 몸을 아끼듯, 골프도 악습(bad habit)에 물들기 전, 정기적으로 연습장에서 점검과 클리닉을 게을리 말아야 한다. 누구나 처음에 슬라이스를 해결하면 다음은 훅(hook), 다시 슬라이스가 거듭된다. 스윙은 볼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갖는 원(circle)운동이므로 그 원 궤도의 한 지점에서 깎아 치면 볼은 우측으로 회전, 앞으로 나갈 때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슬라이스 구질이 발생한다.   슬라이스 방지를 위해서는 원인을 알아야 한다. 원인은 스윙궤도, 몸의 움직임, 스탠스 등 다양하지만 무엇보다 클럽 타면이 볼에 닿을 때 타면 각도의 변화가 주범이다.   클럽 타면의 스윗스팟(sweet spot), 포인트를 세 가지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럽 타면의 힐(hill)에 맞는 경우. 둘째, 다운스윙부터 임팩트 순간까지 타면이 열리면 궤도가 볼에 똑바로 향했더라도 구질은 슬라이스로 변한다. 셋째, 다운스윙시 클럽 타면이 볼 목표선의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해 깎아 쳐 내리는 소위 ‘아웃사이드 인(outside in)’ 궤도이다.   볼의 방향은 클럽 헤드가 만들어 내는 스윙궤도에 의해 변한다. 최종적으로 이 궤도를 컨트롤하는 것은 양손과 몸의 방향이지만 스탠스의 역할도 중요하다.     가장 빈번한 실수는 3번째이다. 즉, 상당수 골퍼가 아웃사이드 인의 궤도로 볼을 치기 때문에 슬라이스를 유발한다. 이 구질은 볼 회전이 공기의 저항력으로 중간 지점에서 더욱 심하게 오른쪽으로 돌기(sidespin) 때문에 힘이 떨어지며 휘기도 하지만 단타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것은 다운스윙 때 오른쪽 어깨가 먼저 앞쪽으로 나가면서 임팩트 순간 왼팔을 자신의 몸쪽으로 끌어들이며 볼을 쳐, 생기는 결과이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임팩트시 오른쪽 어깨가 목표 방향으로 덮어지지 않도록, 순간 고정과 함께 임팩트 순간의 클럽 헤드를 왼손에 의해 목표선의 바깥쪽으로 과감하게 뿌려줘야 한다. 이것이 바로 팔로스루(follow through), 따라서 정상적인 팔로스루가 연속되면서 오른쪽 어깨가 자연히 목표선으로 따라 돌며 피니시로 단계로 들어선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 잘못하는 108가지 스윙 오류의 악습을 천성으로 만들지 말아야 한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습관 천성 다운스윙시 클럽 슬라이스 구질 슬라이스 방지

2025.03.13. 19:48

썸네일

지역사회를 깨끗하고 아름답게 유지하는 새로운 습관으로 설날을 축하하세요

음력설, 설날, 뗏을 준비하는 많은 분처럼 저도 집에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어렸을 때 저는 부모님이 설날이 시작되기 전에 지난해의 나쁜 액운을 쓸어내고 새해의 행운과 번영, 풍요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집 안을 청소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자랐습니다. 이 전통은 저에게 깊이 새겨져 있어 새해뿐만 아니라 매일 이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동네를 깨끗하고 쓰레기가 없는 곳으로 유지하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아름답고 따뜻한 공간이 만들어집니다. 새해를 시작하면서, 크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은 변화를 통해 우리 이웃과 지역사회를 깨끗하고 아름답게 유지하는 데 동참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의미 있는 변화는 거창할 필요는 없으며,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친구나 가족과 함께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경우, 아마도 눈 덮인 산으로 향하는 경우, 안전하고 아름다운 캘리포니아를 지키기 위한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   · 여행을 위한 차량 준비를 하세요. 차량에 주유를 가득 채우고, 필요한 경우 타이어체인을 챙기며, 배터리 케이블과 응급 구호 상자와 같은 필수품을 챙겨 여행을 시작하세요. 출발하기 전에 도로 상황을 확인하고 간식이나 식사는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종이봉투 대신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사용해 미리 포장하세요.   · 여행 중에는 짐을 안전하게 고정하세요. 트럭 적재함이나 루프 랙에 있는 물품은 방수포를 씌우고 묶어 적절히 고정하세요. 이렇게 하면 물품이 도로의 위험 요소가 되거나 도중에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아무것도 남기지 마세요. 출발하기 전에 차 안에 쓰레기봉투와 재활용 봉투를 준비하세요. 이렇게 하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는 편리한 장소가 마련됩니다. 목적지에 도착하면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적절히 처리하세요.   · 여행 후에는 차량을 세차하세요. 눈길의 소금, 모래 및 기타 이물질이 차량 하단에 달라붙어 녹과 각종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장거리 여행, 특히 눈길 주행 후 세차를 하면 이러한 부식성 물질이 제거되고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차량이 유지되고 독성 액체가 도로에 쌓여 빗물을 오염시키고 위험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거주 지역에서 축하하는 분들을 위해 집뿐만 아니라 동네 전체에 행운을 맞이할 기회가 있습니다. RefuseRefuseSF.org를 방문하여 지역 사회 청소에 참여하거나 CleanCA.com을 방문하여 집에서 가장 가까운 청소 장소를 찾아보세요. 위의 팁과 같은 작은 실천을 통해 지역사회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leanCA.com에서 더 유용한 팁을 찾아보세요.   Vince Yuen, 커뮤니티 조직자 및 Refuse Refuse 창립자 Vince Yuen은 미래 세대를 위해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데 관심이 많은 평범한 캘리포니아 주민입니다. 그는 두 딸과 함께 자신의 동네를 청소하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지역 청소 활동을 통해 그는 같은 생각을 가지고 쓰레기를 줍는 다른 사람들을 발견했습니다. 소문은 도시 전역의 이웃들에게 퍼졌습니다. 그들은 함께 모여 도시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Refuse Refuse 운동에 동참했습니다. Yuen은 샌프란시스코를 깨끗하게 하는 것이 자신의 가장 큰 열정 중 하나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2021년 3월에 Refuse Refuse를 설립하고 1,500회 이상의 지역사회 청소를 주도했습니다. 10,000명의 자원 봉사자로 구성된 커뮤니티 중심의 공동 노력을 통해 Refuse Refuse는 425,000갤런 이상의 쓰레기를 수거했습니다. Vince Yuen과 Refuse Refuse의 활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refuserefusesf.org를 방문하세요.   Clean California에 대하여: 개빈 뉴섬 주지사의 Clean California 이니셔티브는 Caltrans가 주도하는 12억 달러 규모의 다년간에 걸친 대대적인 정화 활동으로, 쓰레기를 제거하고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주 전역의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공공 공간을 재생, 개조하며 미화하는 것입니다. 2021년 7월 Clean California를 시작한 이후 Caltrans와 지역 파트너는 샌디에고에서 캐나다 국경까지 5번 프리웨이 9개 차선을 덮을 수 있는 약 300만 입방 야드의 쓰레기를 수거했습니다. Caltrans는 주 전역의 지역사회에서 500회 이상의 무료 덤프 데이를 개최하여 12,000개 이상의 매트리스와 50,000개 이상의 타이어를 수거했습니다. 이 이니셔티브는 약 60,000명의 지역사회 청소 자원봉사자가 참여했으며, 한때 수감되었거나 보호 관찰 중이거나 현재 주거가 불안정한 사람들을 위한 일자리를 포함하여 1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CleanCA.com에서 확인하세요.지역사회 습관 refuse refuse 음력설 설날 장거리 여행

2025.01.31. 17:42

썸네일

[삶과 믿음] 습관 고치기: 반조의 주요성

20세기 초 미국은 금주령 시대였습니다. 어느 날 저녁, 대학생 두 명이 기숙사를 빠져나와 어떤 술집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길에 있는 포스터를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인근 교회에서 열리는 부흥사 무디(D. L. Moody)의 집회였습니다. 한 명은 무디 목사의 집회는 항상 있는 것이 아니고 귀한 기회니 집회에 참석해 보자고 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 명은 술 마시러 기왕 나왔으니 주말을 바에서 즐기자고 했습니다. 그 날 저녁 한 명은 교회에서, 다른 한 명은 바에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 후 46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 날 부흥회에 참석한 청년은 어떤 각성이 있어서 인생 방향을 새로 정립하고 열심히 공부하여 결국 미국 23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회고록에 “그 날 저녁 그 집회에 가지 않았다면 내가 대통령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 날 술집에 간 그 청년은 과거 룸메이트였던 자기 친구가 대통령이 되었다는 사실을 보스턴의 어느 감옥에서 신문을 보고 알게 됩니다.   우리 운명은 순간순간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우리의 배우자, 직업 등의 선택이 우리 인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생각해 보면 이를 알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사람들의 선택 70%는 그냥 습관에 따르는 것이라 합니다.  부지런한 것, 게으른 것, 일찍 일어나는 것, 늦게 일어나는 것, 말을 많이 하는 것, 적게 하는 것, 남을 비판적으로 말하는 것, 무엇을 미루는 것 등 우리 행동의 태반은 습관입니다.   습관의 사전적인 정의는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이 바로 우리 모습이다. 탁월함이란 어떤 행위라기보다 습관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습관은 길들이기 어렵고 나쁜 습관은 쉽게 길듭니다.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다음과 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사람의 성품은 원래 선악이 없는 것이나 습관에 따라 선악의 인품이 있어지나니 습관은 곧 당인의 처음 생각이 좌우의 모든 인연에 응하고 또 응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것이라…좌우의 인연을 따라 습관 되는 이치가 선과 악이 서로 다르지 아니하나, 선한 일에는 습관 되기가 어렵고 악한 일에는 습관 되기가 쉬우며, 또는 선한 습관을 들이기 위하여 공부하는 중에도 조금만 방심하면 알지 못하는 가운데 악한 경계에 흘러가서 처음 목적한 바와는 반대로 되기 쉽나니 이 점에 늘 주의하여야 착한 인품을 이루게 되리라.”   습관은 그것이 ‘반복’되는 것이기에 하찮은 것일지라도 우리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줍니다. 처마 밑에 떨어지는 물이 결국 아래에 있는 바위에 구멍을 내듯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사람들의 버릇이 실제 여든까지 가는 것이 아니라 다음 생까지 유전되기에 십상입니다. 전생의 습관과 성격이 금생 혹은 다음 생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교의 대성(大聖) 증자님께서는 ‘하루에 자기를 세 번 돌아보는 것(一日三省)’을 당신 수행 기조로 삼았다고 합니다. 개구리가 멀리 뛰려면 일단 움츠려야 하듯 ‘반조(反照)’ 없이 우리 인생을 변화시키고 진보시키기란 쉽지 않습니다.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당신의 친저‘원불교 정전’에서 매일 모든 수행자가 ‘반조’ 공부를 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에 실행이 되었는가 못 되었는가를 대조하기를 주의할 것이니라.”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주요성 습관 습관 되기 소태산 대종사 인생 방향

2025.01.16. 19:35

[삶과 믿음] 습관 고치기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 늦게 일어나는 것, 부지런한 것, 게으른 것, 남을 흉보는 것, 말을 많이 하거나 빨리하는 것 등 우리 행동의 태반은 습관입니다. 습관의 사전적 정의는 “오랫동안 되풀이하여 행해져서 규칙처럼 되어 있는 일 혹은 고정화된 행동 양식” 입니다. 좋은 습관은 길들이기가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반면 좋지 않은 습관은 금방 길듭니다.   원불교 5대 종법사이셨던 경산 상사님께서는 “어떤 일에 성공할 것인가 혹은 내가 성불을 할 것인가를 알려면 너 습관을 봐라.” 말씀하셨습니다. 좋은 습관이 나의 수행과 인생을 성공으로 이끌고, 나쁜 습관이 내 인생을 망친다는 것을 알지만 나쁜 습관 고치기가 쉽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나쁜 습관을 고칠 수 있을까요?   필자는 우선 좌선, 명상을 규칙적으로 하라고 권합니다. 원불교 경전을 보면 ‘좌선의 공덕’이 다음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좌선을 오래 하여 그 힘을 얻고 보면 아래와 같은 열 가지 이익이 있나니… ①인내력이 생겨나는 것이요 ②착심이 없어지는 것이요 ③사심이 정심으로 변하는 것이요 ④자성의 혜광이 나타나는 것이요…”   좌선 혹은 각종 명상을 하게 되면 마음이 깨끗해져서 유혹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마음의 힘을 얻어 여러 욕심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육신은 쓸수록 강해지지만 생각을 과도하게 하는 현대인에게는 마음은 멈출수록 그 힘이 강해집니다.   좌선은 ‘마음의 힘’을 얻는 최고의 방법의 하나입니다.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님께서는 “모든 부처 모든 성인과 일체 위인이 다 이 선법으로써 그만한 심력을 얻었느니라.” 말씀하셨습니다.   좌선 수행으로 우리 본성이 드러나면  욕심, 착심, 사심이 차차 없어지고 자성의 혜광이 비추어져서 모든 생각이 바르게 됩니다. 심리학자들도 어떤 유혹이 생기면 일단 갈등하지 말고 호흡을 고르게 하며 잠시 가만히 앉아 있으라고 권합니다. 그러면 마음이 안정되어서 자연스럽게 지혜가 나오고 유혹의 생각도 사라져서 바른 판단과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근무하는 뉴욕주 원달마센터에서는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배추를 기를 때 거름을 잘 주면, 설사 배추에 벌레가 있어도 배추는 건강하고 싱싱하게 자랍니다. 명상과 선은 우리 마음 땅에 거름을 주는 것과 같이 우리 마음과 인생에 힘과 활력을 줍니다. 배추를 키울 때 거름을 줄 뿐 아니라 배추에 붙은 벌레도 함께 잡아주면 배추가 더 잘 자랍니다. 규칙적으로 하는 선과 명상이 우리 마음 밭에 거름을 주는 것이라면, 현실 가운데서 하나하나 나쁜 습관을 고치는 유무념 공부는 배추에서 벌레를 잡는 것 같습니다. 하루아침에 좋지 않은 습관을 바꾸고 자신을 갑자기 바꿀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나쁜 습관을 하나하나 고치는 것을 유무념 조항을 잡고 현실적 공부를 꾸준하면 이가 자기 인생을 바꾸는 큰 역할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급한 마음, 욕속심, 남을 판단하는 마음, 악한 말 안 하기, 자비심과 이해심을 기르기 등을 유무념 조항으로 잡고 마음공부 하고 있습니다. 이가 유무념 조항으로 되어 있으면 현실 경계에 당할 때 즉 어떤 현실 상황에서 습관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 마음을 멈추고 생각하게 되어 좋지 않은 습관을 바꾸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습관을 고치고 바른 취사 혹은 정의를 실현할 때 대종사께서는 “기어이 취하고 불의어든 기어이 버려라”고 말씀하십니다.   ‘기어이’의 사전적인 의미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꼭, 마침내, 기어코’입니다.   알렉산더 대왕 혹은 나폴레옹이 단기간에 세계를 제패한 이유가 그들의 훌륭한 전략 전술에도 있지만, 무엇보다 그들에게는 어떤 사람과도 비교될 수 없는 ‘기어이’ 하고자 하는 용심, 분심이 있었습니다.   알렉산더는 왕의 신분으로도 많은 전쟁에 직접 참전해서 결정적 순간에 최전방에서 싸웠습니다. 왕이 최전선에서 싸우니 당연히 주변에 있던 장군, 장교, 일반 군인들도 최선을 다해 싸웠을 것입니다. 이가 승리의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입니다. 나폴레옹이 옆으로 길게 된 큰 모자를 쓴 이유도 전쟁에서 부하들에게 “나는 뒤에서 작전만 지휘하는 사람이 아니라, 너희들과 함께 직접 싸우고 있다”는 것을 병사들에게 보여주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나폴레옹은 많은 전투에서 최전선에서 부하들과 함께 싸우며 지휘했기에 허벅지에 포탄 파편으로 인한 많은 흉터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들에게는 ‘기어이’ 승리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기에 수많은 전쟁을 승리로 이끈 것입니다. 우리 마음공부 혹은 신앙 수행은 마음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쟁입니다. 이 세상 전쟁 중에서 마음 나라의 일어나는 전쟁이 가장 큰 전쟁이고 근본되는 전쟁이라고 대종사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습관 습관 고치기 우리 마음 좌선 명상

2024.10.17. 18:13

썸네일

[미국에서 의대 보내기] 오늘 할 일, 오늘 끝내는 습관은 레지던시 매칭까지 이어져

Q: 성공적인 의대 생활을 위한 생활습관은.   A: 오늘은 불안하기만 한 프리메드 시절을 자신 있게 보내는 비결일 뿐 아니라 많이 바쁜 의대 시절도 효율적으로 보내서 궁극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꼭 지켜야 할 생활습관을 소개하고자 한다. 단순히 좋은 습관을 소개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습관을 잘 지켜낼 요령까지도 소개하고자 하니 이 글을 읽고 듣는 모든 가정의 학생들이 이 요령을 활용하여 모두 원하는 결과를 얻기 바란다.   지도하는 의대생들과 만나 새로운 마음가짐을 다지는 반복적인 미팅을 하다 보면 거의 모든 의대생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 이번 학기에는 오늘 해야 할 일들을 내일로 미루지 않고 마무리하며 지내겠다는 것이다. 역시 똑똑한 학생들이니 바쁜 의대 생활에서 좋은 학점을 유지하고 다양한 특별활동을 즐기며 관심 분야의 연구 또한 열심히 하면서도 친구들과 더불어 세상을 즐겁게 살아가는 요령을 잘 파악한 것이다.     이럴 때 필자가 의대생들에게 주는 조언은 학생마다 달라 보이지만 실은 같은 것이라는 점이 오늘 전달하고자 하는 주된 내용이다. A라는 의대생은 아이비리그 의대 2학년생으로 학교공부가 전혀 부담스럽지 않으므로 조금 더 많은 시간을 다양한 학업 외적인 활동에 할애하도록 조언을 주고 있다 보니 일반적으로 다른 의대생들에게는 한곳의 무료 진료소 봉사를 권하는 데 반해 이 학생에게는 기존의 일반 환자들을 위한 무료 진료소 봉사 외에도 AIDS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무료 진료소 봉사도 추가하기를 권했다. 그 학생은 이미 세 명의 지도교수님들과 각기 다른 주제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열 가지 이상의 교내 특별활동에도 참여해 왔고 개인적으로 다양한 운동과 취미활동을 즐기고 있는데 그중에는 학부생들과 함께 하는 오케스트라도 포함되어 있다.     그에 반해 중위권 의대 1학년생인 B라는 의대생은 아직 연구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지만 여섯 가지의 공식적인 교내 특별활동과 더불어 개인적인 관심 분야도 충실히 즐기려고 노력하며 지내고 있는데 아직 의대 공부에 완전히 적응한 상황은 아니므로 더는 특별활동을 늘리는 것은 추천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며 연구에 참여할 기회만 확보하라고 조언을 했다.     이 두 학생에게 다른 조언을 한 듯싶지만 같은 맥락의 조언을 준 상황인데 그 이유는 두 학생 모두 스스로가 의대 생활을 조금 하고 나서 얻은 결론이 오늘 해야 할 일은 오늘 해버려야 하겠다는 마음가짐이었고 그 마음이 실질적으로 생활화 되게 돕기 위해 각자에게 적당한 선에서 해야 할 일을 정해준 것이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않기 위해서는 오늘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정확히 판단하고 정해야 하기 때문이고 이 기준만 잘 찾게 도왔던 의대생들이 모두 본인이 원하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매칭이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학생지도를 여러 가정에 소개하고 있다.   의대생들을 지도하는 요령을 밝힌 이유 중에는 프리메드 학생들을 지도할 때에도 이 방법은 효험이 있기 때문인데 아무리 바쁜 프리메드 생활도 의대생들과 비교하면 덜 바쁘므로 조금 더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다. 나만의 독보적인 비결이라는 것은 절대로 아니고 이미 이런 생활습관을 익히고 있는 학생들이 하버드나 MIT 등 학점관리가 매우 어려운 대학에서 완벽한 학점을 유지하며 MCAT도 한 번에 만점을 받기 때문에 이는 충분히 검증된 좋은 습관이라고 판단되어 주저 없이 소개하고 있다.     뛰어난 학습능력을 갖춘 학생들을 지도하는 필자의 입장에서 각 학생별로 한계치를 찾아내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일인데 그 이유는 이미 짐작하고 있듯이 각 학생에게 어울리는 도전을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능력치 100을 가진 학생에게 90을 요구하면 그 학생은 집중이 흐트러지며 효율적이지 못한 시간을 보내게 되고 능력치 80을 가진 학생에게 90을 요구하면 그 학생은 힘겨워 쓰러질 수도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의대 진학지도나 의대생들의 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각 학생의 한계치를 찾아내어 각자에게 적합한 한계에 도전시키는 일이다.     각 가정에서도 해야 할 일을 미루지 말고 그때그때 해내라고 하는 좋은 덕담을 해줄 때는 거기에 그치지 말고 자녀의 한계치를 함께 고민하며 도전할 수준을 정하도록 해보면 훨씬 더 효율적이고도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전혀 새로운 내용이 아닐 수도 있지만 오랫동안 학습능력이 특별히 뛰어난 학생들을 지도해온 행운을 누리는 입장에서 그 뛰어난 학생들에게 존경받으며 그들이 원하는 목표를 이루도록 도울 수 있었던 경험을 나누고자 하는 것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제대로 된 분석을 토대로 세운 올바른 계획 없이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201-983-2851, [email protected] 남경윤 의대 진학 전문 멘토미국에서 의대 보내기 습관 매칭 의대 진학지도 교내 특별활동 학생 모두

2024.06.28. 22:24

[삶과 믿음] 미루는 습관 고치기

통계에 따르면 세상 사람 중 93%가 미루는 습관이 있다고 합니다. 20% 정도에는 이가 고질적 습관이라 합니다. 미루는 습관은 동서고금으로 만연합니다. 이가 열매 맺는 삶의 주된 적이기에, 과거 BC 1750년 함무라비법전에도 ‘게으름 방지법’이 있었습니다. 함무라비법 53조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자기 댐을 잘 관리를 하지 않아서 그 댐이 터져 벌판에 물난리가 나면, 그 사람은 팔리고 그 돈은 피해받은 사람에게 곡식으로 바뀌어서지급된다.”   미루는 이유는 다양한데 어떤 경우는 정신적으로 육신적으로 너무 피곤해서 해야 할 일을 종종 미루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미루는 것이 문제 되지 않고, 우선 휴식을 잘 취하는 것이 주요합니다. 개구리가 멀리 뛰기 전 움츠려야 합니다. 유대교, 기독교에서 안식일에 일체 정신적 육신적 활동을 금하는 것도 다음 주 더 큰 집중으로 전진하기 위함입니다.   제주도 해녀들은 수영에 익숙하고 바다 경험이 풍부한 분들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가끔 바다에서 사망한다고 합니다. 해녀들은 보통 수심 10~15m 정도의 바다 밑에 있는 전복, 조개 등 해산물을 채취하기 위해 숨을 참고 일하다 숨을 내쉬기 위해 수면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수면으로 나오는 도중 바다 밑에 있는 전복 등이 눈에 띄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합니다. 어떤 해녀는 이를 채취하기 위해 다시 바다 밑으로 잠수한다고 합니다. 수면 위에서 숨을 쉬고 다시 바다에 들어가면 전복이 보이지 않거나 혹은 전복이 도망가 버리기 때문입니다. 전복은 흡착력이 좋아 바위에 강하게 붙어 있어 이를 채취하려면 시간이 걸리기에 다시 한번 숨을 참고 일하는 동안 혹은 채취 후 수면으로 나오는 동안 물 안에서 기절을 해서 죽기도 한다고 합니다.     어떤 목표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도 좋지만 때론 모든 것을 놓고 쉴 줄 아는 중도의 지혜와 용기가 필요합니다. 항상 무엇에 쫓기는 마음으로 불안하게 산다면 설사 어떤 목표를 이룬다 해도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온 천하를 얻어도 목숨을 잃으면 무슨 유익이 있으리오?” (마가복음 8:36)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미루는 습관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의 통계에 따르면 오늘날 시대에 미루는 습관이 점차 강화되었다고 합니다. 내가 게으른 성향 때문에 심하게 미루는 경향이 있다고 대답한 사람이 1970년대에는 10%가 되지 않았지만, 오늘날에는 30% 이상이 그렇다고 대답한다고 합니다. 학자들은 미루는 습관이 증가한 이유가 사회적 환경 변화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공부, 운동, 어떤 일 등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미룰 때 과거에는 TV를 보거나 방에서 빈둥거림으로써 할 일을 미루곤 했는데, 오늘에는 각종 오락과 유튜버의 영상, 온라인 쇼핑 등 우리를 자극하고 달콤하게 유혹하는 것들이 바로 코앞에 있기에 유혹이 너무 강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도박을 끊으려고 하는 사람이 과거에는 라스베이거스에 가지 않는 것이 목표였다면, 오늘날에는 온라인 도박이 있기에 유혹이 바로 내 방 안에 있는 것입니다. 할 일을 하지 않고 미룰 때 재미있게 해 주는 보상이 항상 주변에 있고 그 감각적 보상이 너무 크기에 미루는 습관이 오늘날 점점 강화된다는 것입니다. 유튜브 영상을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유튜브에서 어떤 영상을 보면 구글 알고리즘은 자동으로 우리 성향을 파악해서 우리가 좋아할 만한 영상을 바로 추천해 줍니다. 상업주의 사회 자체가 우리가 감각적 자극 혹은 게으름을 벗어나지 못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런 사회를 우리가 바꿀 수는 없습니다. 나태하고 미루는 습관이 있다면 자기 자신을 유혹이 적은 환경에 자기를 놓아야 합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습관 전복 조개 온라인 도박 사회적 환경

2024.04.18. 20:43

[기고] 부자들의 7가지 습관

동일한 행동이 여러 번 반복되면 자신도 모르게 습관이 된다. 그리고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습관의 힘에 쉽게 젖어버린다. 이것이 삶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는 어떤 상황에서도 누구에게나 적용된다.   미국의 저술가이자 강연가인 톰 콜리(Tom Corley)는 그의 저서에서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습관을 비교, 분석해 주목을 받았다. 콜리는 자신의 노력으로 모은 자산이 320만 달러 이상이고 연 소득 16만 달러 이상을 부자로 정의했다. 반면 연소득 3만 달러 미만을 가난한 사람으로 분류했다.   그에 따르면 부자들에게서는 동일한 생활 습관이 발견된다. 부자가 된 것이 그저 운이 좋아서가 아니라는 것이다. 일과를 어떻게 보내고, 어떤 일에 역점을 두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따라서 올바르지 못한 재정적 습관도 제자리로 돌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콜리가 많은 부자의 생활습관을 관찰해 발견한 공통점을 소개한다.       첫째, 일찍 일어난다(Early  Rise). 부자들은 이른 아침에 일어나 아침 시간을 충분히 활용한다. 콜리에 따르면 관찰한 부자의 44%가 일과 시작 3시간 전에 잠자리에서 일어났다. 이들은 독서와 뉴스 확인, 운동 등으로 아침 시간을 활용했다.   둘째, 점심은 챙긴다(Lunch Yes, Break no). 관찰 대상 부자의 55%가 점심시간은 짧게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를 위해서다. 하지만 사무실 책상에서라도 점심은 먹는다.     셋째. 음식은 칼로리를 생각한다(Being  Calorie-Conscious). 부자들은 칼로리(열량)를 생각하며 음식을 먹는다. 가능한 과음과 정크푸드는 피한다. 간식도 하루 300칼로리 이내로 한다. 이처럼 음식에 신경을 쓰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경제활동에도 유리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넷째, 게으름이 없다(No  Slacking).  부자들은  쉬지 않고 계속 움직이며 활동한다. 그리고 시간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사무실 도착 시각, 일할 장소 등 일과를 미리 계획하고 준비한다. 또한 장기적인 목표도 미리 세워 둔다.   다섯째, 험담은 하지 않는다(No Gossiping). 재미있는 이야기나 유익한 정보는 동료 직원이나 친구, 지인들에게 알리지만 남에 대한 험담은 자제한다. 어떤 말을 하기 전에 충분히 생각하는 것이다.  한 조사에 따르면 부자들 가운데는 6%만이 남에 대해 험담을 하는 반면,  소득이 낮은 계층에서는 75%가 험담을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터넷 사용을 자제한다(Limited  Internet).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는 업무가 끝난 후에도 한 시간 이상 인터넷을 서핑하는 습관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인터넷 서핑 시간이 저소득층이 부자들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부자들은 인터넷을 오락적 목적이나 기분전환용으로 사용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사업적 도구로  활용하는 것에 더 관심을 가진 것이다.     일곱째, 많이 벌고 적게 쓴다(Earn  More, Spend  Less). 부자들은 소득이 늘어날수록 저축을 하는 성향이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상시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도 더 적극적이었다. 반면, 저소득층은 저축에 대한 의지나 경제적 비상시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기천 / LA카운티 중소기업자문관기고 부자 습관 부자들 가운데 재정적 습관 생활 습관

2023.05.12. 19:13

썸네일

[문장으로 읽는 책] 예술하는 습관

『작은 아씨들』의 작가 올콧은 창의적 에너지를 격렬하게 쏟아내면서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글을 썼다. 식사도 건너뛰고, 잠도 거의 자지 않고, 어찌나 맹렬하게 글을 썼는지 결국에는 오른손에 쥐가 나서 왼손으로 쓰는 법을 익혀야 했다. 그런 발작 증세가 너무 강해서 한번 시작됐다 하면 2주 동안 거의 먹지도, 자지도, 움직이지도 못한 채 전속력으로 돌아가는 생각 기계처럼 글만 썼다. 올콧의 이러한 ‘폭필’습관은 『작은 아씨들』에서 자세하게 엿볼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 조 마치는 자신의 창조자와 마찬가지로 어린 나이에 집필광이 되었다.   메이슨 커리 『예술하는 습관』   똑같이 24시간을 사는데, 왜 어떤 이는 위대한 성취를 이루는가. 위대한 창작자의 ‘하루’에 관심 많은 작가가 130여 여성 예술가들의 창조성의 근원을 탐구했다. 답은 무시무시한 자발성과 몰입, 강박에 가까운 반복성과 엄격한 루틴. 일상의 단조로운 반복에서 위대한 예술적 성취가 나온다는 결론이다.   평생 매일 아침 10시부터 밤 10시까지 글을 쓴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 자신을 극단으로 몰아붙일 때 최상의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믿은 평론가 수잔 손택, 똑같은 식사 메뉴와 의상으로 시간을 아낀 설치미술가 페타 코인. ‘물방울 패턴’으로 유명한 쿠사마 야요이는 제 발로 도쿄 정신병원에 입원한 후 매일 병원과 병원 앞 스튜디오를 오가며 작업한다. “시간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한 사람의 얼굴을 바꿔놓듯이 습관은 인생의 얼굴을 점차적으로 바꿔놓는다.” 첫 장에 인용한 버지니아 울프의 말이다. 양성희 /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문장으로 읽는 책 예술 습관 예술적 성취 소설가 버지니아 도쿄 정신병원

2022.10.18. 18:32

어릴적 책읽는 습관이 장래 직업 결정한다

신나는 여름방학을 게임과 유튜브 시청으로 낭비하는 자녀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에 학부모들의 마음이 편치 않다. 그냥 내버려둬도 스스로 알아서 책을 읽고 공부하는 자녀를 갖는 경우는 전생에 나라를 구한 경우 뿐이라는 우스개 소리가 있을 정도다. 이번 여름방학은 자녀들의 독서 습관을 길러 주는 기회가 되면 좋겠다. 책을 읽는 부모 옆에 항상 책을 읽는 자녀가 있다는 점도 잊지 말자.   책 읽기는 아무리 강조를 해도 지나치지 않은 '공부 잘하기'의 왕도다. 심지어는 인생 성공의 지름길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 자녀들에게는 책 읽기 보다 더 재미있는 비디오 게임과 유튜브 시청이 있다. 당장의 시각을 통한 자극적인 정보는 재미도 있고 즐겁지만 책 속 문자를 통해서 머리 속에 그려지는 혹은 머리 속에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가 훨씬 좋은 정보다. 다만 이런 사실을 알 수 있을 정도의 독서 능력을 갖기까지는 독서 시간이 꽤 필요하다는 것이 가장 큰 아쉬움이다.   자녀에게 책을 읽히는 습관을 길러 주는 몇 가지 팁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읽을 책을 자녀가 고르게 하자. 물론 처음에는 그림만이 가득 찬 그림책을 고를 테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그림 한 장 없지만 자신의 취향이 묻어 있는 책을 고르게 마련이다. 어려서 책을 많이 읽은 자녀들은 나중에 대학 전공 선택은 물론, 직업 선택에도 주체성을 갖게 된다.     둘째, 책이 많아야 읽는다. 자녀가 읽을 만한 책이 가득 차있는 책꽂이는 자녀의 독서 습관을 유도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단 서점에 가서 자녀의 책을 사는 투자를 해보자. 전문가들은 300달러를 투자하면 교재들에 비해서 저렴한 여러가지 책을 구입할 수 있다.   셋째, 자기 책보다 도서관 책이 더 독서 습관을 제대로 키울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또한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이다. 도서관 책은 선택의 폭이 매우 넓고 수량 제한 없이 빌려 올 수 있으므로 책이 끌리지 않으면 안 읽고 반납하면 그만이다. 또한 대출 기간이 있으므로 제 시간에 계획을 세워서 책을 읽을 수 있어 이 또한 나중에 대학 공부나 직장 생활을 할 때 유용하다. 참고로 LA의 카운티 도서관과 시립 도서관은 합쳐서 120곳이 된다. 이들의 서고에 있는 책들은 온라인으로 어디서 든 대출이 가능하다.   넷째, 시간 관리를 배울 수 있다. 자녀들도 하루가 24시간 뿐이라서 TV시청, 비디오 게임, 아이패드나 스마트폰으로 낭비하면 책을 읽을 시간이 부족해 진다. 이런 유해 요소를 물리치고 책을 읽히는 것이 승패의 관건이다.   다섯째, 종이 책 이외의 읽을 거리도 고려해야 한다. 종이 책 말고도 오디오북, 킨들, 아이패드, 누크, 이북을 통한 독서도 유용하다.   여섯째, 책을 제대로 읽었는지 관리할 필요가 있다. 자녀가 책 읽기를 마치면 시간을 내서 책의 내용에 대해서 함께 얘기해보는 시간을 갖자. 만약 학부모가 읽지 않은 책이라면, 책을 읽거나 요약본을 참고해서 몇 가지 질문을 나눠보자. 반드시 자녀가 이해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자녀가 책을 읽을 수 있는 실제 환경을 만들어 주자. 베개가 필요하거나 램프, 책, 독서용 램프 등과 책을 읽을 공간도 확보해 주도록 하자.   여덟째, 책 읽기 있어서 또한 중요한 것은 자녀가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 마련 만큼 시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충분한 휴식과 편한 책 읽기가 가능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   전문가 추천 도서 목록     다음은 교육 블로거인 멜리사 테일러가 운영하는 이미지네이션수프닷넷에서 선정한 연령대별 추천도서 목록이다. (괄호안은 저자)   8학년 (13세 이상)   ▶판타지/사이파이=Woven In Moonlight(by Isabel Ibanez) Legendborn(by Tracy Deonn) Akata Witch(by Nnedi Okorafor) The Hazel Wood(by Melissa Albert) The Court of Miracles(by Kester Grant) A Curse So Dark and Lonely(by Brigid Kemmerer) Cinderella is Dead(by Kalynn Bayron) The Hundredth Queen(by Emily R. King) Renegades(by Marissa Meyer) Dread Nation(by Justina Ireland) Red Rising(by Pierce Brown) Children of Blood and Bone(by Tomi Adeyemi)   ▶역사소설=Rebel Spy(by Veronica Rossi) The Fountains of Silence(by Ruta Sepetys) Stalking Jack the Ripper(by Kerri Maniscalo) Prisoner B-3087(by Alan Gatz) Undefeated: Jim Thorpe and the Carlisle Indian School Football Team(by Steve Sheinkin) A Night Divided(by Jennifer A. Nielsen) Code Talker(by Joseph Bruchac) Between Shades of Gray(by Ruta Sepetys) Bonnie and Clyde: The Making of a Legend(by Karen Blumenthal)   ▶리얼리스틱=Stamped(by Jason Reynolds and Ibram X. Kendi) The Poet X(by Elizabeth Acevedo) Monday's Not Coming(by Tiffany D. Jackson) Home Home(by Lisa Allen-Agostini) 180 Seconds(by Jessica Park) On the Come Up(by Angie Thomas) The Beginning of Everything(by Robyn Schneider) Dear Martin(by Nic Stone) A Long Way Down(by Jason Reynolds) The Serpent King(by Jeff Zentner) Turtles All the Way Down(by John Green) Almost American Girl(by Robin Ha)   7학년   ▶판타지/사이파이=Bloom(by Kenneth Oppel) The Wizenard Series: Training Camp(by Wesley King) The Last Cuentista(by Donna Barba Higuera) Steelheart(by Brandon Sanderson) Cinder(by Marissa Meyer) House of Scorpions(by Nancy Farmer) Kelcie Murphy and the Academy for the Unbreakable Arts(by Erika Lewis)   ▶리얼리스틱=Pippa Park Raises Her Game(by Erin Yun) Gone to the Woods(by Gary Paulsen) Starfish(by Lisa Fipps) Across the Desert(by Dusti Bowling) Boy, Everywhere(by A.M. Dassu) The Chance to Fly(by Ali Stroker and Stacy Davidowitz)   ▶논픽션=Rise Up: Ordinary Kids With Extraordinary Stories(by Amanda Li) History Comics: The Roanoke Colony: America's First Mystery(by Chris Schweizer) Anne Frank's Diary: The Graphic Adaptation(adapted by Ari Folman) Accidental Archeologists: True Stories of Unexpected Discoveries(by Sarah Albee) Unforgotten The Wild Life of Dian Fossey and Her Relentless Quest to Save Mountain Gorillas(by Anita Silvey)   6학년   ▶미스테리/어드벤처=The Van Gogh Deception(by Deron Hicks) 96 Miles(by J.L. Esplin) Framed! A T.O.A.S.T. Mystery(by James Ponti) The Canyon's Edge(by Dusti Bowling) City Spies(by James Ponti) Charlie Thorne and the Last Equation(by Stuart Gibb) The Unforgettable Logan Foster(by Shawn Peters) Ali Cross(by James Patterson)   ▶논픽션=Awesome Achievers in Technology(by Alan Katz) Making a Difference: Using Your Talents and Passions to Change the World (American Girl)(by Melissa Seymour) The Boy Who Became a Dragon: A Bruce Lee Story(by Jim Di Bartolo) The Mayflower (History Smashers)(by Kate Messner) The Superpower Field Guide Eels(by Rachel Poliquin) Wild Outside Around the World with Survivorman(by Les Stroud)   ▶리얼리스틱=Isaiah Dunn Is My Hero(by Kelly J. Baptist) Starfish(by Lisa Fipps) From the Desk of Zoe Washington(by Janae Marks) Before the Ever After(by Jacqueline Woodson) Insignificant Events in the Life of a Cactus(by Dusti Bowling) Unsettled( by Reem Faruqi) Omar Rising(by Aisha Saeed)   ▶역사소설=Allies(by Alan Gratz) Becoming Muhammad Ali(by James Patterson and Kwame Alexander) Show Me a Sign(by Ann Clare LeZotte) A Place to Hang the Moon(by Kate Albus) Indian No More(by Charlene Willing McManis and Traci Sorell) Voyage of the Sparrowhawk(by Natasha Farrant) Traitors Among Us(by Marsha Forchuk Skrypuch) 장병희 기자습관 직업 독서 습관 일곱째 자녀 독서 시간

2022.06.19. 13:12

[글마당] 묵언 습관

“존재감을 좀 드러내야지. 왜 그렇게 말이 없어요.”   지인이 나에게 말했다. 들어낼 존재감도 없거니와 그냥 입 벌리기가 싫다. 그런데 왜 존재감도 없는 내가 예전엔 그리 떠들었을까?     언젠가부터 입 벌리기 귀찮아졌다. 게다가 묵언 수행까지 하려고 폼 잡고 있다. 묵언 수행이라기보다는 묵언 준비, 묵언 연습, 묵언 번뇌라고 말하는 것이 더 낫겠다. 팬더믹이 끝나 사람들과 만나기 전에 묵언 습관을 들이고 싶어서다.     오래전, 뉴욕시에서 3시간가량 알바니 가는 곳에서 며칠 묵고 왔던 원 달마센터가 생각났다. 그곳 규칙에 따라 첫날부터 ‘노블 사일런스(noble silence)’를 시작했다. 입을 다물자 눈이 활짝 트이고 멀리 녹음이 우거진 숲이 가까이 와 있었다. 귀가 열리며 풀벌레들의 울음소리가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악기 연주처럼 들렸다.     유튜브에 ‘묵언 수행’을 찾았다.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말을 줄이고 귀를 열어 상대방 이야기에 경청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나는 일단 입을 다무는 습관부터 들여야 할 것 같다. 그렇지 않아도 몇 년 전부터 말이 줄긴 줄었다. 줄이려고 했다기보다 말을 많이 하면 목이 아프다가 감기에 걸려 벌을 받은 듯 며칠 앓았기 때문이다. 말수는 조금 줄었지만, 귀는 여전히 열리지 않았다.     남자 대학 동기에게 전화가 왔다.     “내가 누군지 기억나?”     이름은 기억나지 않지만, 목소리는 금방 기억났다. 너무 반가워 나의 긴 수다가 펼쳐지려는 순간     “우리 만나서 얘기하면 안 될까?”     “왜? 지금 전화로 조금만 더 얘기하고 싶은데요.”   “좀 그래서.”     마음 편히 오랜 시간 이야기하고 싶었다. 우리 집으로 다음날 오라고 했다. 부인과 함께 나타났다. 인생에서 너무도 짧은 만남이었건만 서로의 형편을 다 알기라도 하는 듯 반가웠다.   복학생이라 나보다 서너 살은 많았지만, 귀가 잘 들리지 않아서 전화 통화가 불가능했단다. 내가 소리높여 이야기해도 듣지 못했는지 부인이 통역하듯 그에게 속삭였다. 몸이 좋지 않아 술도 못 마신단다. 이가 성치 않아 고기 씹기도 쉽지 않다고 했다. 기억이 희미해져 친구들 이름이 가물가물 생각나지 않아 대화가 잘 이어지지 않았다. 만나기 전 기대감이 슬금슬금 빠지면서 맥이 풀렸다. 서글펐다.     그 대학 동기가 생각날 때마다 수다도 건강할 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변명하며 계속 그냥 수다 떨까? 지난 2년 남짓 팬데믹이 우리 일상에 가져다준 삶의 변화로 사람과의 대면과 대화가 사라지는 사회적 몽환 상태에서 굳이 묵언이 필요할까? 생각하다가 그래도 그건 아니지. 묵언 수행까지는 아니더라도 묵언 습관은 들이자며 나 자신을 다독인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묵언 습관 묵언 습관 묵언 수행 연습 묵언

2022.05.06. 17:24

[종교 칼럼] 하루를 예습하는 습관

 이른 새벽 하루의 생활을 '예습(preview)' 하는 습관을 가진지 20년이 넘었다.     우연한 기회에 가톨릭 신부와 저녁식사를 하며 하루를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끝맺음을 해야 하는지에 관해 대화를 나눈 것이 예습하는 습관을 갖게 된 동기가 됐다.     그전에는 잠자리에 들기 전 하루의 생활을 되돌아보며 좋았던 점들과 고쳐야 할 점들을 '복습(review)'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데 신부님이 하루의 생활을 복습하는 것도 좋지만 새벽 시간에 하루의 생활을 예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란 조언을 하셨다. 처음엔 언뜻 이해를 하지 못해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하루를 어떻게 예습할 수 있느냐고 여쭈었다.     그러자 신부님은 이른 새벽 묵상의 시간에 조용히 눈을 감고 오늘 하루 동안 해야 할 일을 하나씩 짚어보라고 하셨다. 그리고 오늘 내가 해야 할 일은 어떤 것들이며 어떤 준비를 해야하고 누구를 만나서 어떤 대화를 나눠야 하고 어떻게 일을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조용히 자신과 대화를 하라고 하셨다. 그러면 알찬 하루를 위해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일종의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도 된다는 것이었다.     그날부터 새벽 묵상 시간에 하루의 생활을 예습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정말 놀라운 일들이 일어났다. 어떤 회의 석상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여유있는 나 자신을 볼 수 있었다. 매일 하루의 생활을 예습하는 습관이 엄청난 효과를 가져왔다. 언젠가 오전 회의를 마치고 사무실로 가는데 한 동료가 다가와서 조심스레 말을 걸었다. 매일 아침 대부분의 사람은 허겁지겁 회의실에 들어와서 지시 사항을 듣느라 정신이 없는데 어떻게 항상 준비된 발언을 하느냐는 것이었다. 그 동료는 지난 몇 달 동안 나를 유심히 관찰하면서 무척 궁금해 했다고 한다.   그와 함께 빈 회의실로 들어가서 하루의 생활을 예습하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했다. 그런데 나의 방법이 기대했던 것보다 너무 간단했던지 고개를 갸우뚱했다. 그러면서도 한번 실천해 보겠다고 약속을 했다.     나의 새벽 묵상과 침묵의 시간은 어머니의 강요로 30대 중반에 시작했던 새벽 기도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머니는 새벽 기도를 '기적 창출의 시간'으로 믿으셨고 새벽의 묵상을 통해 하나님과 영혼의 대화를 나누셨다. 몇 년 동안 힘든 훈련 과정을 거친 후에서야 새벽 기도와 묵상의 시간이 나에게도 가장 중요한 일과가 되었다.     침묵의 영역과 기도의 영역은 하나를 이루고 있기에 침묵이라는 기반 위에서 기도의 초자연성이 실현된다. 기도는 우리의 말들을 침묵 속으로 쏟아붓는다. 그러면 우리는 침묵의 영성을 통해 하나님과 깊은 영혼의 대화를 나누게 된다.     특히 대화 중에서도 말 없는 대화가 가장 심오한 편이며 많은 신뢰를 필요로 하고 가장 신중한 자세를 요구한다. 말 없는 대화는 시끄러운 마음을 평온하고 고요하게 잠재우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침묵의 바다 속에 깊이 가라앉아 분해되어 침묵의 일부가 되는 것은 하나님의 침묵과 결합하기 위해서다. 이러한 침묵을 통한 결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우리는 침묵 속에서 하나님과 직접 대화하며 하나님을 경험하는 삶을 살게 된다.     하나님의 침묵은 우리를 향한 무한한 사랑과 용서를 나타내는 표시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 속에는 말보다 오히려 침묵이 더 많으며 하나님의 침묵 속에는 엄청난 도움의 힘이 깃들어 있다. 특히 하나님께 등을 돌린 우리가 하나님께로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침묵으로 길을 열어주신다. 왜냐하면 사랑과 용서를 위한 토대가 곧 침묵이기 때문이다. 손국락 / 보잉사 시스템공학 박사ㆍ라번대학 겸임교수종교 칼럼 예습 습관 새벽 묵상과 새벽 시간 새벽 기도

2022.03.14. 17:58

[한마디] “처음에는 사람이 습관을 만들지만 나중에는 습관이 사람을 만든다.”

“처음에는 사람이 습관을 만들지만 나중에는 습관이 사람을 만든다.”   존 드라이든·영국 시인 한마디 습관

2022.03.11. 18:5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