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시카고 내년에 또 재산세 인상 추진

내년도 시카고 예산안에 재산세 인상 가능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시의원들도 많아 최종 통과 여부는 불확실하다.     최근 시카고 시청 질 자워스키 최고재정담당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2026년 예산안에 재산세 인상도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예산안에 들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시의 재정을 책임지는 고위 관료가 재산세가 또 다시 인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한 것이다.     하지만 자워스키는 재산세 인상이 시의회에서 통과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고 예산 적자를 메꾸기 위해 재산세 인상안도 추진될 수 있다는 입장만 밝혔다.     아울러 균형있는 예산안을 위해 시청의 지출도 줄일 수 있지만 가능한 서비스 감축은 피하겠다는 입장이다.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브랜든 존슨 시카고 시장측의 입장은 지금까지 줄곧 고소득자들이 수입에 걸맞는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재산세 인상은 하지 않겠다는 공약으로 당선된 존슨 시장은 작년 예산 적자 10억달러에 직면했다. 존슨 시장은 작년 이를 뒤집고 재산세 인상도 시도했으나 시의원들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대신 남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금과 전년도에 이월된 예산으로 부족분을 채울 수밖에 없었다.     존슨 시장은 일리노이 주의회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연금법 개정이 통과된다면 연간 6000만달러 이상의 추가 재정이 필요하다며 통과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JB 프리츠커 주지사는 연금법 개정에 대한 지지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입장 표명은 자제한 채 시카고 시청의 재정 상황과 은퇴한 경찰과 소방관 등에 대한 대우 역시 합리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존슨 시장은 다음달 시 재정 상황을 공개한 뒤 내년도 예산안을 준비하는 기본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예산 적자 상황이 어느 정도 수준이냐에 따라 재산세 인상 추진 등의 대책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재산세 재산세 인상안 내년도 시카고 시카고 내년

2025.07.28. 14:18

썸네일

시카고 내년 예산안 173억달러 통과

내년도 시카고 시 예산안이 시의회에서 통과됐다.     시의회는 16일 전체회의를 열고 173억달러 규모의 예산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해 찬성 27표, 반대 23표로 통과시켰다.     예산안에는 브랜든 존슨 시카고 시장이 처음 제안했던 3억달러 규모의 재산세 인상은 물론 1차 수정안 1천5000만달러, 2차 수정안 6850만달러 규모의 재산세 인상안이 빠져 있다.     대신 시청이 지불해야 할 대출 납부금을 미루고 시장실 인력을 줄이는 등의 감축안을 담고 있다. 또 스트리밍 서비스와 클라우드 서비스 세금을 인상하는 등 부족한 세수를 메우기 위한 세금과 수수료 인상을 통해 1억6000만달러 이상을 확보하는 안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입장료를 판매하는 콘서트에 경찰 인력이 들어갈 경우 이 비용을 주최측에 납부토록 해 시청 수입으로 잡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슨 시장의 수정안이 불과 4표 차이로 통과한 것은 시의원들이 보다 적극적인 긴축 재정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일부 의원들은 월말까지 예산이 통과되지 않으면 시정이 1월부터 전면 중단됨에도 불구하고 시장으로 하여금 예산을 더 큰 폭으로 삭감할 것을 요구했다.     무엇보다 시장 선거 과정에서 천명했던 재산세 인상 계획을 철회하고 수정안에서도 재산세 인상 규모가 큰 폭으로 왔다 갔다 하는 존슨 시장의 행태에 많은 시의원들이 불만을 품고 있었음이 이번 예산안 통과 과정에서 불거졌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리더십과 협력이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시의회 전쟁이 재발했다고 논평하기도 했다.     특히 19명으로 구성된 진보 코커스 소속 시의원들은 보통 시장의 정책이나 입장에 찬성하는 굳건한 지지층이었으나 이번 예산안 처리 과정에서는 시장과 정면으로 대결해 향후 시장의 시의회 리더십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내년 재산세 인상안 내년도 시카고 시카고 내년

2024.12.17. 13:5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