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푸드 뱅크 의존하는 시카고 지역 주민 증가

시카고 지역 주민의 약 1/3은 물가 인상으로 인한 영향으로 생활고에 시달리며 음식물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수로 따지면 약 140만 가구다.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와 노던 일리노이 푸드 뱅크, 노스웨스트 인디애나 푸드 뱅크 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시카고 인근 16개 카운티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의 36%는 식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시카고 주민들은 지난 2000년부터 2025년 사이 식품값은 20%, 렌트비는 27%가 오르면서 생활고를 겪고 있었다.     문제는 내년부터 저소득층 주민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식품보조프로그램(SNAP)이 대폭 삭감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일리노이 주민 47만명이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일부 혹은 전부 상실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시카고 지역에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음식물 보조를 받고 있는 주민은 총 150만명이다.     더 큰 문제는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고 있는 시카고 주민들이 본인들의 혜택이 축소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지역 푸드 뱅크의 주민 지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푸드 뱅크의 지원 역량은 SNAP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지역 푸드 뱅크가 주민 1명을 지원할 때 SNAP은 9명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지난 5년 사이 지역 푸드 뱅크를 통해 식품 공급을 받은 일리노이 주민들의 숫자는 48%가 증가했다. 작년 기준 일리노이 주민 470만명이 푸드 뱅크를 찾거나 무료 식품 공급 프로그램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푸드 일리노이 주민들 시카고 푸드 시카고 주민들

2025.09.17. 14:26

썸네일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 밀키트 공급 호평

쿡카운티 거주 노인과 저소득층 주민들을 위한 음식 배달 서비스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신선한 음식을 찾는 주민들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새로 도입된 서비스로 소외 계층의 먹거리 문제가 일부 해결되고 있는 것이다.     비영리단체인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는 지난 2월부터 쿡카운티 지역을 대상으로 밀 키트(meal kit)를 배달하고 있다.     밀 키트는 1회 먹을 분량으로 포장된 음식으로 집에서 간단하게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으면 된다. 이 음식들은 영양분을 고려해 만들어졌으며 특히 성인병 예방 등을 위해 100개의 조리법으로 매일 다른 메뉴로 채워지고 있다.     현재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는 매일 3000인분의 밀 키트를 만든 뒤 각 가정에 배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는 쿡카운티 남부 지역에 밀 키트 전용 키친을 확보한 바 있다.     밀 키트 제작과 배달이 약 6개월이 지난 현재 이를 수령하고 있는 주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다.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는 이전까지는 캔에 든 음식이나 신선 식품을 시카고 지역 식품 보급소에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여기에 더해 금방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집까지 배달하는 서비스를 시작하자 신선한 음식을 제 때 구입하기 힘든 노약자나 저소득층, 시간 부족으로 가족들에게 음식을 조리할 수 없는 주민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는 밀 키트 제작과 공급을 하루 1만명으로 확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쿡카운티에는 2030년까지 10만명 이상의 저소득층 노인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보여 이들에 대한 충분한 영양분 공급이 절실한 상태다.     밀 키트 공급을 위해서 일부 식자재는 수경재배를 통해 시카고 푸드 디파짓토리가 직접 재배하고 있으며 자체 인력 확보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입장이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밀키트 밀키트 공급 시카고 푸드 시카고 지역

2024.11.26. 13:3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