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카운티 주민 4가구 가운데 1가구(약 83만 2000가구)는 끼니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 USC 경제·사회 연구센터가 내놓은 보고서의 핵심 내용이다. 생활고로 인해 먹는 문제조차 고민해야 하는 저소득층이 많다는 의미다. LA한인타운에도 이런 실태를 엿볼 수 있는 곳들이 있다. 그 중 한 곳이 윌셔가에 있는 임마누엘 장로교회다.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오전이면 이 교회 앞에는 수 백명이 길게 줄을 선다. 푸드 뱅크에서 무료로 나눠주는 식료품을 받으려는 주민들이다. 기자가 교회를 찾은 지난 달 29일 오전 8시에도 많은 사람이 모여 있었다. 푸드뱅크의 식료품 배급이 시작되려면 아직 한 시간이나 남았지만 줄은 이미 200명은 넘어 보였다. 한인을 비롯해 히스패닉, 흑인 등 인종도 다양했다. 맨 앞에 있던 리차 리카르도씨는 “오전 5시부터 줄을 섰다”고 말했다. 이 교회는 LA지역 비영리 단체인 푸드뱅크와 함께 식료품 배급 사역을 진행한 지 40년째다. 니암비 렌돈 임마누엘 교회 운영 매니저는 “항상 나눠줄 식료품이 부족하다”며 “너무 빨리 소진돼 문을 일찍 닫아야 할 때도 많다”고 말했다. 렌돈 매니저는 “하루 평균 500명이 온다”며 “보험료 인상, 물가 상승 등이 겹치면서 주민들의 삶이 더 벼랑 끝으로 몰리다 보니 결식의 위기로 내몰리는 주민이 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은 수박, 메론, 토마토, 샐러리, 콩 통조림 등을 나눠줬다. 오전 10시가 되자 수박과 메론 같은 과일은 벌써 동이 났다. 뒤늦게 도착한 사람들은 과일은 구경도 해보지 못했다. 크리스 강(74)씨는 “이곳에 식료품을 받으러 종종 온다”며 “요즘 식료품 물가가 너무 올라서 나 같은 시니어에게는 현실적으로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줄을 서 있던 재클린 키토와는 “최근 실직으로 수입이 끊겨 두 달 전부터 이곳에 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 와서 식료품을 받으면 보통 3~4일 정도 버틴다”며 “이런 도움이 없다면 두 딸을 먹여 살리는 게 힘들다”고 토로했다. 노동통계국(BLS)이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7월 기준)에 따르면 식료품 가격은 지난 1년 새 3.4%가량 올랐다. USC 경제·사회 연구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LA카운티 내 저소득층 가구 중 41%는 끼니걱정을 해야 할 판이다. 연방 빈곤선(FPL)은 2025년 기준 4인 가족 연소득 3만2150달러 이하다. 이는 팬데믹 초기인 지난 2020년(42%)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날 자원봉사자로 나선 안젤라 레비(64)씨는 “이웃을 돕는 일이 보람 있지만, 매번 이렇게 많은 사람이 줄을 서는 걸 보면 마음이 아프다”며 “특히 요즘은 줄이 더 길어지고 있는데 그만큼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황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원 빅 뷰티풀 빌(OBBBA)’에는 사상 최대 규모의 저소득층 식품 보조 프로그램(SNAP) 예산 삭감도 포함됐기 때문이다. 가주에서는 약 300만 가구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가주 푸드뱅크 협회 측은 최근 성명을 통해 “푸드뱅크는 결코 SNAP을 대체할 수 없으며 이번 삭감은 감당할 수 없는 공백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수백만 가구가 굶주림에 내몰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임마누엘 장로교회 측은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오전 9시~12시에 식료품 배급 사역을 진행하고 있다. 수요일에는 ‘푸드 포워드(Food Forward)’에서 가져온 신선 농산물이, 금요일에는 LA 리저널 푸드뱅크(LA Regional Food Bank)에서 공급하는 통조림 같은 장기 보관 식품을 나눈다. 식료품을 받으려면 이름, 가족 수, 우편번호 등만 적으면 된다. 신분에 상관없이 누구나 받을 수 있다. 강한길 기자현장에서 불안정 식량 불안정 이날 푸드뱅크 임마누엘 장로교회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식료품 배급 저소득층
2025.09.01. 19:47
가주에서 저소득층 식비 지원 프로그램인 ‘캘프레시(Cal-Fresh)’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고 있지만, 혜택은 정작 줄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비영리언론재단 캘매터스는 지난 3월 캘프레시 팬데믹 추가 지원금이 끊기면서 가주 지역에서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식량 불안정(food insecurity)’ 상태가 심화하고 있다고 8일 보도했다. 캘매터스에 따르면 팬데믹 기간 동안 가주에서는 캘프레시 추가 지원금으로 인해 가주민 1인당 월 214달러를 받았다. 반면, 추가 지원금 종료 이후 현재(5월 기준) 수혜 금액은 179달러다. 혜택은 약 16% 감소했다. 문제는 캘프레시 혜택 축소가 식량 불안정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주소셜서비스국(CDSS)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가주에서는 총 278만4612명이 캘프레시 혜택을 받았다. 이는 2021년 5월(243만3633명), 2022년 5월(272만6408명)보다 늘어난 것으로 캘프레시 수요는 증가하는데 혜택은 되레 축소된 셈이다. 캘매터스는 “저소득층에게 식품을 무상 제공하는 푸드뱅크의 경우 지난 2019년에서 2023년 사이 이용자가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며 “푸드뱅크 협회에서는 올해 가주의 상태를 두고 ‘재앙적인 기아 위기’라고 경고까지 할 정도”라고 전했다. 가주푸드뱅크협회(CAFB)가 산정한 카운티별 식량 불안정 수치에 따르면 LA는 31%다. 가주 전체 평균(20%)보다 높다. LA카운티 주민 10명 중 3명이 식량 불안정 문제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LA카운티는 인근 오렌지카운티(22%), 리버사이드카운티(23%) 보다 식량 불안정 문제가 심각하다. 전문가들은 식량 불안정 상태를 막으려면 캘프레시 신청 절차를 간소화 또는 기준을 획일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매체는 “캘프레시는 각 카운티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지역마다 다양한 신청 절차가 존재한다”며 “또, 대학생부터 고령까지 저소득층 계층에 따라 추가 자격 규정 등이 있어 이미 복잡한 신청 절차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한인복지상담센터 최병수 소셜워커는 “주 전체로 보면 가주에서만 약 200만 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도 방법, 기준 등을 몰라 신청을 못 하고 있다”며 “한인들도 이 프로그램을 잘 몰라서 타민족보다 신청이 극히 미미하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카운티 식량난 la카운티 주민 혜택 축소 식량 불안정
2023.08.08. 20:27
아시안 뉴요커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식량 불안정’을 크게 우려했고, ‘언어 장벽’으로 불편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NYU 아시안건강연구센터가 한국계 105명을 포함해 총 1200명의 아시안 뉴요커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중 다수가 팬데믹 중 식량 조달에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으로 인해 식품 조달 방식이 바뀌었다”고 답한 아시안은 전체의 90%에 달했다. 또, “식품 조달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절반(51%)에 달했다. 팬데믹 초기에는 식품 사재기나 공급 불안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양상이 변해간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80%가 “아시안 증오범죄가 무서워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고 답한 것이다. 이는 대중교통과 식료품점을 피하는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같은 식량 불안정에는 ‘언어 장벽’으로 인한 지원 신청의 어려움도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자의 34%는 “팬데믹 기간 중 언어 장벽을 느꼈다”고 답했다. 전체에 비해서는 10%포인트 정도 낮지만 한국계 뉴요커 4명 중 1명(23%)이 언어 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한 한국계 응답자는 “씨티필드에서 백신 접종을 위해 3시간 넘게 대기하는 동안 한국어 지원을 받지 못했다”면서 “장시간 소외됐다는 기분을 느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저소득층·노인층 등 취약계층 아시안을 위해서 푸드뱅크와 식품 배달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푸드뱅크에서 지원되는 식료품의 경우 아시안이 선호하는 식품이 부족하다는 점도 언급됐다. 또, ‘언어 장벽’이 각종 조사나 신청을 영어로 해야 하는 상황에서 아시안의 어려움을 과소집계되도록 하는 요인이라는 점과 언어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장은주 기자아시안 불안정 식량 불안정 뉴욕 아시안 아시안 뉴요커들
2022.05.09.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