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보험 상식] 보험사 신용등급

Q. 요즘 보험 가입을 고려 중인데, ‘보험사 신용등급’이 중요하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보험사 신용등급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신용등급은 매우 중요합니다. 보험은 고객이 장기적으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는 신뢰를 기반으로 가입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그런데 만약 보험사가 재정적으로 불안정하다면, 막상 사고가 났을 때 보험금 지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위험을 줄이기 위해 우리는 보험사의 ‘신용등급’을 참고하게 됩니다.   이 신용등급을 누가 산정하느냐도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은 전문 평가기관이 매기며, 국제적으로 신뢰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보험사 신용평가기관으로는 에이엠베스트(AM Best)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무디스(Moody’s),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도 보험사를 평가합니다. 이들 기관은 연방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공인 통계평가기관(NRSRO)으로 지정되어 있어, 객관성과 전문성을 갖춘 평가를 제공합니다.   에이엠베스트의 신용등급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데 이 신용등급을 볼 때는 두 가지 기준이 중요합니다. 재정 건전도와 회사 규모입니다.   재정 건전도(Financial Strength Rating)는 A++부터 D까지 알파벳으로 표시됩니다. A++, A+, A, A-등은 '우량(Secure)’ 등급입니다. B부터 D까지는'불안정(Vulnerable)’ 등급으로 간주합니다. E는 청산 중, S는 평가가 일시 중단된 상태입니다.   재무 규모(Financial Size Category)는 로마 숫자로 I부터 XV까지 구분되며, 규모가 클수록 XV에 가까워집니다. 예를 들어, X 등급은 약 5억~7억5000만 달러, XV는 20억 달러 이상의 자기자본을 가진 보험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A등급의 재정건전도와 재무 규모 X 이상의 등급이라면 안심해도 됩니다. 신용등급이 A- 이상, 재무 규모가 X 이상이면 안정적인 보험사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보험사는 보험금 지급 능력이 높고, 갑작스러운 금융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재정 체력을 다지고 있습니다.   등급은 대부분의 보험 설계서나 견적서에 명시되어 있으며, 직접 웹사이트(ambest.com)에서도 무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회사명으로 검색하면 현재 등급뿐만 아니라 긍정적, 안정적, 부정적 등의 전망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급이 낮은 보험사와 계약을 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는 게 중요합니다. 신용등급이 낮다고 반드시 보험금 지급에 문제가 생긴다는 뜻은 아니지만,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특히 B 이하 등급의 보험사와 계약을 고려 중이라면, 보험 전문가나 설계사와 충분히 상담한 후 결정하셔야 합니다.   ▶문의 : (213)387-5000  진철희 / 캘코보험 대표보험 상식 신용등급 보험사 보험사 신용등급 보험사 신용평가기관 보험금 지급

2025.06.08. 19:00

국가 신용등급 하락…대출 부담 커진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Aaa)에서 한 단계 낮은 Aa1으로 강등하면서, 소비자 금융 시장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무디스는 지난 17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연방 재정 적자 확대를 주요 이유로 들며 등급 하향 조정 배경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2017년 단행한 감세 조치를 영구화하려는 움직임이 연방정부 부채를 수조 달러 더 늘릴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이다.     이로써 미국은 세계 3대 신용평가사 가운데 어느 곳에서도 최고 등급을 유지하지 못하게 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011년, 피치는 2023년에 각각 신용등급을 하향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무디스의 이번 조치에 대해 ‘예고된 수순’이라고 입을 모았다.     손성원(사진) 로욜라메리마운트대학 금융경제학 교수는 “국가 신용등급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국가 부채와 국내총생산(GDP) 간 비율인데, 부채가 너무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 비율이 위험 수준에 도달했다”고 지적했다.     현재 연간 재정적자는 약 2조 달러로, GDP의 6%에 해당한다. 무디스는 이 비율이 향후 10년 이내에 9%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용등급 하락은 소비자 금융에도 직격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가 신용이 낮아지면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고, 이는 모기지, 오토론, 크레딧카드 등 주요 소비자 대출 이자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브라이언 레링 웰스파고 투자전략연구소 글로벌 채권 전략 책임자는 “이번 하향 조정은 소비자 대출 전반에 광범위한 금리 인상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 시장은 반응하고 있다. 등급 하향 직후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5%를 돌파했고,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4.5%를 넘었다. 특히 10년물 국채에 연동하는 모기지 이자율은 조만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크레딧카드 대출, 오토론 등 단기·중기 대출 상품의 이자율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손 교수는 “국채 수익률이 오르면 모든 이자율이 결국 따라 오를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들도 앞으로 점진적으로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등급 강등을 정부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경고로 해석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미국이 국제 금융시장에서 신뢰를 회복하려면 감세 확대보다 재정 균형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조원희 기자신용등급 국가 국가 신용등급 신용등급 하락 소비자 대출

2025.05.19. 19:40

썸네일

신용등급 하락, 부채 증가…..해결책은 감세

지난 16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면서 국가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감세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2024년 말, 연방정부의 부채는 36조 달러에 이른다.     2000년대 초 5조 달러에 불과하던 부채는 25년 만에 일곱 배 넘게 늘었고, GDP 대비 부채 비율도 100%를 초과했다. 2020년 3450억 달러였던 연간 이자 비용은 2024년 8820억 달러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는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넘어서 5년새 세배 정도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부채 이자 상환비용은 전체 예산의 최대 14%로, 심지어 메디케어와 국방비 지출액보다 많다. 사상 최악의 부채에도 불구하고 올해 채권 발행 규모는 또다시 사상 최대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부터 2026년 3월까지 발행 예정 국채는 총 11조 달러로, 이 중 9.3조 달러는 만기 국채를 상환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환용이고, 2조 달러는 신규 대출이다.   만기 채권 기한이 짧아지면서 더 비싼 이자율의 채권으로 기존 채권을 차환하고 있다. 연방재무부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단기 채권 비중을 늘려 이자를 줄이려 했으나 평균 부채 만기가 약 6년으로 단축되면서 고금리 시기에 오히려 이자부담을 늘리고 있다. 올해 차환예정인 채권 9조 3000억 달러 대부분이1-2%대 이자율로 발행한 것인데, 이를 갚기 위해 4-5% 이자율로 채권을 발행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규모 감세안을 통해 낙수효과를 거둬 경제가 활성화되면 더 많은 세금을 거둬 국가부채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부자와 기업의 세금을 줄이면 투자와 고용이 늘고 그 혜택이 서민에게도 흘러간다는 것이다. 또한 관세수입으로 부족한 재정수입을 메울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신용등급 해결책 신용등급 하락 국가 신용등급 부채 이자

2025.05.19. 12:51

썸네일

뉴욕 연은, “학자금 대출자들 신용등급 하락 우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학자금 대출 상환유예 조치가 종료됨에 따라 연방 학자금 대출자들의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뉴욕 연방준비은행 경제학자들의 경고가 나왔다.     뉴욕 연준은 26일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올해 1분기 900만 명 넘는 학자금 대출자들의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팬데믹 발생 이후 2020년 3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학자금 대출 상환유예 조치를 시행했다. 교육부는 일반적으로 대출자가 대출금 상환을 90일 이상 연체하면 신용조사 기관에 연체자로 보고하지만,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된 2023년 10월 이후 첫 12개월(2023년 10월~2024년 9월) 동안 이러한 관행을 중단했다.     지난해 10월 이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이때부터 대출금 상환을 연체한 이들은 신용조사 기관에 연체자로 보고되기 시작했다.     뉴욕 연은 경제학자들은 “학자금 대출 미상환이 연체로 보고되기까지 최소 90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이 지난 올해 1분기부터 연체 사실이 대출자들의 신용 점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연은 경제학자들이 공식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그림자 연체율’을 추정한 결과, 지난해 4분기 학자금 대출 연체율은 15.6%로 팬데믹 이전인 2018년 2분기의 14.8%를 넘어설 것으로 분석됐다. 또 작년 4분기 970만 명의 대출자가 2500억 달러 부채를 보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는 26일부터 연방 학자금 대출자들을 위한 소득기반상환프로그램(IDR) 신청을 재개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연방학생지원국(FSA) 웹사이트에는 “연방법원이 ‘SAVE(Saving on a Valuable Education) 플랜’ 등 일부 IDR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못하도록 금지 명령을 내림에 따라 IDR 및 대출 통합 신청이 불가능한 상태”라는 배너가 떴다. 연방항소법원이 조 바이든 전 행정부의 연방 학자금 대출탕감 프로그램을 무산시키는 판결을 내린 이후 일부 학자금 대출 상환 계획이 동결됐으나, 한 달 만에 FSA 포털이 다시 열리는 것이다.     교육부는 “연방법원의 판결에 따라 IDR 프로그램 신청서를 대폭 수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며 “이제 학생들은 SAVE 플랜을 제외한 ▶소득기준상환(IBR·Income Based Repayment) ▶‘페이 애즈 유 언(PAYE·Pay AsYou Earn)’ 등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신용등급 학자금 학자금 대출탕감 학자금 대출자들 뉴욕 연방준비은행

2025.03.27. 21:23

크레딧 점수가 돈…차 살 때 1만불까지 차이

크레딧점수가 자동차를 저렴하게 구매하는데 가장 큰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점수평가회사 익스피리언에 따르면 구매자의 크레딧점수에 따라 오토론 이자율이 2~3배 차이가 나며 이로 인해 지급 이자도 크게 불어나 결국 차를 비싸게 구매하게 된다.   오토론 신청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용도 시스템은 FICO스코어로 점수 범위는 300~850점이다.     FICO스코어는 5개 등급으로 나뉘는데 781~850점이면 가장 좋은 수퍼프라임, 661~780점이 프라임에 해당한다. 601~660점은 논프라임이며 501~600점이 서브프라임, 300~500점은 딥서브프라임으로 좋지 않은 신용 등급으로 평가된다.   올해 2분기 신차 구매자의 평균 크레딧점수는 753점, 중고차 구매자는 689점이었으며 전체 구매자의 80%가 프라임 또는 수퍼 프라임 등급에 해당됐다.   지난 2019년과 비교하면 신차는 평균 737점, 중고차 655점으로 팬데믹을 거치며 구매자의 크레딧점수가 향상됐다.   신용등급에 따른 오토론 이자율 차이를 비교해 보면 신차의 경우 수퍼프라임이 5.25%인데 반해 딥서브프라임은 15.77%로 3배나 더 높았다. 프라임과 서브프라임 간의 차이도 각각 6.87%, 13.18%로 거의 2배에 육박했다.   중고차 역시 수퍼프라임(7.31%)과 딥 서브프라임(21.55%) 간에 약 3배 차이가 났으며 프라임(9.36%)과 서브프라임(18.86%)도 2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다. CNBC 계산에 따르면 지난 9월 자료를 기준으로 4만 달러 오토론에 60개월 할부로 차를 구매했을 경우 크레딧점수가 720~850점인 구매자는 평균 이자율 7.45%를 적용받아 월할부금이 801달러로 지급 이자 총액은 8034달러였다.   반면 크레딧점수가 500~589점인 구매자의 이자율은 17.77%로 월할부금이 1011달러로 늘었으며 지급 이자 총액도 2만650달러에 달했다.   결국, 동일 차량을 동일 조건으로 구매하더라도 크레딧점수가 나쁠 경우 매달 210달러씩, 지급 이자 총액 1만2616달러로 157%를 더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차 구매 계획이 있다면 미리 크레딧점수 개선을 위해 힘쓰는 것이 절약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조언했다.   크레딧점수가 좋지 않을 경우 캐피털원 오토 파이낸스 등 여러 대출기관의 이자율과 수수료를 비교해 쇼핑하는 것이 유리하며 딜러나 은행을 통해 오토론 조달을 하지 못했다면 오토페이와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하지만 높은 이자율과 수수료가 붙을 가능성이 높다. 이외에도 보증인(co-signer) 옵션이 있다면 이자율을 낮출 수 있다.     크레딧점수 향상을 위해서는 각종 청구서를 정시에 납부하고 본인의 크레딧 가용률을 30%로 유지하는 것이 도움된다. 또한 가장 오래된 크레딧카드를 계속 유지하고 신규 계좌 개설은 피해야 한다.   FICO스코어는 myFICO 웹사이트(myfico.com)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크레딧 점수 크레딧점수 향상 크레딧점수 개선 평균 크레딧점수 신용등급 크레딧점수 FICO myFICO Auto News 오토론 이자율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11.01. 0:08

썸네일

무디스, NYCB 신용등급 ‘상향 검토’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난 8일 뉴욕커뮤니티뱅코프(NYCB)의 신용 등급 전망에 대한 방향을 ‘하향 검토’에서 ‘상향 검토’로 변경했다.   7일 NYCB가 보도자료를 통해 리버티 스트래터직 캐피털, 허드슨 베이 캐피털, 레버런스 캐피털 파트너스 등이 은행의 지분을 받고 10억 달러어치를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힌 이후 나온 조치다.   이중 리버티 스트래터직 캐피털은 스티븐 므누신 전 재무 장관의 투자 회사로 알려졌다. 므누신 전 재무장관은 이번 거래의 일환으로 NYCB 이사회에 새로운 4명의 이사 중 한명에 포함됐다.   한편, 다른 전문가들도 은행이 실패하더라도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예금자에게 최대 25만 달러까지 예금 전액이 보장된다며 심리를 달래고 있다.   쉴라 베어 전 FDIC 의장은 “10억 달러가 넘는 신규 자본이 투입되면 NYCB는 잠재적 은행 실패에 대한 ‘감시 목록’에서 제외될 수 있다”며 “소비자는 이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달 6일 상업용 부동산 대출과 뉴욕의 업무용·공동주택 대출과 관련한 예상치 못한 손실을 반영해 NYCB 신용등급을 Baa3에서 투기 등급인 Ba2로 두 단계 하향 조정한 바 있다.신용등급 무디스 상향 검토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하향 검토

2024.03.10. 20:45

일리노이 주 신용등급 ‘A’로 상향

일리노이 주의 신용등급이 'A' 등급으로 상향 조정됐다.     JB 프리츠커 일리노이 주지사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Fitch Ratings)가 금주 일리노이 주의 신용등급을 ‘A’로 올렸다고 밝혔다.   이로써 일리노이 주는 세계 3대 신용평가사 피치, 무디스(Moody's), 그리고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로부터 모두 A등급 평가를 받게 됐다.   피치의 신용등급은 최고 등급인 AAA에서부터 차례로 AA+, AA, AA-, A+, A, A-등으로 나눠지며 B-까지 평가된다.     지난 2년 사이 9차례의 A등급을 받은 일리노이 주에 대해 피치는 최근 몇 년 동안 쌓여있던 수십억 달러의 미지급 차입금을 갚기 위한 일리노이 주의 접근 방식이 개선됐다고 상향 조정 이유를 설명했다.     프리츠커는 "이전의 재정적인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평가 기관이 이를 인정해준 것 같아 매우 기쁘다"며 "신용 등급이 개선된 것은 일리노이 주가 수백만 달러를 절약하게 된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절감된 예산은 더 나은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리노이 주는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8차례에 걸쳐 신용등급 강등을 겪었고, 미지급 차입금이 170억 달러에 이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피치 보고서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 정부의 미지급 차입금 규모는 5억 달러 미만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연방정부의 코로나19 지원금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Kevin Rho 기자일리노이 신용등급 신용등급 강등 프리츠커 일리노이 일리노이 주가

2023.11.08. 14:40

썸네일

무디스 은행 신용등급 강등, 증시 하락…견조한 경기에 패닉 장세 피해

증시가 무디스의 은행들에 대한 신용 등급 강등으로 은행주가 하락하며 동반 약세를 보였다.   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8.64포인트(0.45%) 하락한 3만5314.49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9.06포인트(0.42%) 떨어진 4499.38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0.07포인트(0.79%) 밀린 1만3884.32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은행들의 신용 등급 강등 소식,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 발언, 기업 실적 등에 주목했다.   무디스는 이날 중견은행 10곳의 등급을 강등하고 대형은행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관계 기사 2면〉   이로 인해 스테이트스트리트와 BNY멜론은행, 노던트러스트 등 관련은행들의 주가가 1% 이상 하락했고,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주가는 2%가량 내렸다.   SPDR S&P 지역은행 ETF도 1% 이상 밀렸다.   지난 3월 금융 혼란 이후 진정됐던 금융권에 대한 우려가 무디스의 이번 등급 강등 소식에 재부상했다. 다만 연준의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는 데다 경기가 예상보다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과거와 같은 패닉 장세는 연출되지 않았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시각을 강화하는 당국자 발언도 나왔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9월 중순까지 놀라운 새로운 지표가 없다면 우리는 인내심을 갖고,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미 한 통화정책 조치가 작동하도록 둘 수 있는 시점에 있을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신용등급 무디스 무디스 은행 강등 증시 패닉 장세

2023.08.08. 23:13

신용등급 강등…“영향 제한적” vs “경계해야”

피치가 1일 국제 3대 신용평가사로는 12년 만에 미국 신용등급을 전격 강등한 데 대해 전문가들은 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반응과 함께 경고가 분명한 만큼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강등 발표 직후 달러는 주요 외화들에 대해 약세를 보였으며, S&P500 선물도 0.4% 하락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에드워드 존스의 수석 투자전략가인 안젤로 쿠르카파스는 강등 시점이 “분명히 놀랍다”면서도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못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쿠르카파스는 “(강등 발표 후) 시장이 매우 조용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일의 약간 하락에 대한 구실이 될지 궁금하다”며 2011년과는 사정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국제 3대 신용평가사인 S&P는 2011년 국가부채 상한 증액에 대한 정치권 협상 난항 등을 이유로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내려 시장에 큰 충격을 준 바 있다.   쿠르카파스는 “당시 시장에서 10%의 하락을 목격했다”면서도 “하지만 그때는 연방정부 부채 한도와 관련한 디폴트 예상일(X-데이트)이 매우 가까이 있었고, 지금은 그것을 지났다”고 짚었다.   그 당시에는 금융 위기 이후라 경제도 훨씬 더 불안정했다는 내용도 곁들였다.   더 이코노믹 아웃룩 그룹(The Economic OUTLOOK GROUP)의 최고 글로벌 이코노미스트인 버나드 보몰도 “전반적으로, 이것은 정부 부채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며 이미 2011년에 경험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 부채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계속 제기될 수 있는 문제인 만큼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크다.   ‘파, 밀러&워싱턴’의 최고경영자(CEO) 겸 설립자인 마이클 K. 파는 “이번 강등에 대해 시장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경고의 의미로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크레셋 웰스 어드바이저의 CIO인 잭 애블린은 “부채한도 또는 예산 협상 때마다 발생하는 문제”라며 “올가을에 또 다른 폐쇄를 준비하고 있고, 우리는 이것을 극복해야 한다”고 전했다.   LPL 파이낸셜의 수석 글로벌 전략가인 퀸시 크로스비는 “본질적으로 피치가 말하는 것은 일어날 것이고 달러는 희생자(casualty)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신용등급 강등 신용등급 강등 영향 제한적 강등 발표

2023.08.02. 20:07

썸네일

[재정칼럼] 신용등급(Credit)의 중요성

미국 5대 자동차 보험회사의 보험료는 개인의 신용등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용등급이 불량한 개인은 등급이 높은 사람에 비해서 자동차 보험료가 65%나 더 부과될 수 있다. 자동차사고 등이 전혀 없어도 신용등급에 따라 보험료를 두 배 이상 내는 경우도 있다.     신용등급에 관해서 일반인의 잘못된 생각과 신용등급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자. 신용등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은 당연히 정해진 날짜에 돈을 갚았는지를 볼 수 있는 신용기록(Credit History)이다. 신용등급을 꾸준히 올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늦지 않고 정해진 날짜에 청구서(Bill)를 갚는 것이다.   현대인은 바쁘게 산다. 살다 보면 깜박 잊을 수가 있다. 나이가 들면 이런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자동으로 갚는 방법(Automatic Payments)을 선택해서 정해진 날짜에 은행 개인 계좌에서 지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신용카드 한도액이 1만 달러이고 매달 사용액을 갚으면 신용등급에 아무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신용회사는 카드 한도액과 쓴 빚을 함께 계산한다. 한도액 1만 달러에 대해서 1000달러를 사용하면 10%이며, 2000달러를 사용하면 20%이다. 이것을 사용 비율(Utilization Ratio)이라고 하며 이 숫자가 적을수록 신용등급이 높아진다.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서 이 비율을 한 자리 숫자, 즉 10%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이자율이 높은 신용카드를 취소하면 신용등급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결과는 반대이다. 과거 좋았던 신용기록이 없어지고 장기간 보유했던 기록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자율이 높아서 사용하지 않는 카드는 넥프레스(Netflix) 등과 같이 매달 사용료를 자동으로 갚는 것으로 설정해 놓으면 신용기록이 장기간 보존될 수 있다.   특정 업소에서 고가의 물건을 살 때 그 업소의 신용카드를 만들면 몇 퍼센트 절약할 수 있다. 소비자는 물건을 산 다음 신용카드를 취소할 생각을 하지만 새로운 신용카드를 만들 때마다 신용등급에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일시적인 절약이 나중에 오히려 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모기지 융자를 위해서 여러 업체의 이자율을 비교하면 신용등급이 낮아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짧은 기간 내에 여러 대출회사를 확인(Shopping)해도 신용등급 확인 신청을 한 번 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짧은 기간 내에 여러 회사를 확인하는 것은 신용등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신용등급 보고서’도 사람이 하는 일이라 기록이 잘못될 수 있다. 빚(Debt)을 전부 갚았는데 빚이 남아 있다고 잘못 기재되면 신용등급에 불리하게 적용된다. 이점을 확인하고 기록이 잘못된 모든 회사와 접촉하여 정정해야 한다. 이것이 신용등급을 단기간 내에 올리는 방법이다.   빚이 부담스러워 현금으로 물건을 사는 사람도 있다. 건전한 사고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신용등급을 향상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신용등급 회사는 자그마한 돈이라도 제때 갚아나가고 있는 장기적인 기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보험은 물론 집 보험과 자동차 대출 등 여러 곳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신용 등급이 높으면 재정적인 모든 면에서 유리한다. 높은 신용등급으로 더 많은 돈을 절약(Save)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용카드(Credit Card)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검토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신용등급 credit 신용등급 확인 신용등급 회사 신용등급 보고

2023.06.07. 18:50

썸네일

[보험 상식] 보험회사의 신용등급

많은 분이 1997년 IMF 사태를 기억할 것이다. 대한민국이 국가부도 사태에 직면,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아 외환 위기를 넘겼던 힘들고 쓰라린 시기였다. 이때 들었던 말이 ‘국가 신용등급’이다.     전문 평가기관이라고는 하지만 일 개 민간 회사가 한 나라의 등급을 매기고, 그 등급이 떨어지면 국제적으로 차관이나 대충 얻기가 힘들어진다. 그만큼 평가기관의 신뢰도는 높다.   보험사도 마찬가지이다. 다들 자기 회사는 좋다고 하지 부실하다고 하는 곳은 없다. 그래서 보험회사를 평가해주는 전문 회사가 따로 있다. 대표적이 곳으로 ''에이 엠 베스트(AM Best Company)''사가 있다. 보험회사와 관련된 각종 시큐리티 및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이 회사는 유사한 기업 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 무디스등과 함께 국가적으로 인정받는 통계기관(Nationally Recognized Statistical Rating Organization.NRSRO)으로 지정되어 있다.     보험가입을 위해 받아 본 견적서에 해당 보험사의 등급이 나와 있기도 하며, 인터넷(ambest.com)에서 직접 무료로 찾아 볼 수도 있다.   이제, 평가 등급 읽는 법을 알아보자. AM Best Rating은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자본력)과 재무 건전성을 분석하여 알파벳과 로마숫자로 표기함으로써 보험회사를 선정하는 지표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재정 건전도(Financial Strength Rating)는 A++ 등급부터 E등급까지, 재정의 크기(Financial Size Category)는 1(I)등급부터 15(XV)등급까지 나누며, 각 보험사의 수년간 재정상태와 경영철학, 제3자의 평가, 기타 수집 가능한 모든 자료를 근거로 엄격한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한다.   재정 건전도 등급을 보면 A++, A+(Superior), A, A-(Excellent) 그리고 B++, B+(Good)까지가 안전한(Secure) 등급으로 분류된다. 불안한(Vulnerable) 등급은 B, B-(Fair)로 부터 D(Poor)가 있다. 그 외에 청산 중인 E등급과 평가가 정지된 S 등급이 있다.   건전도 등급은 현재의 경영상태를 나타내며, 금융시장이나 보험회사의 경영 추세에 따라 전망(Outlook) 항목에서 향후 변동 가능성을 표시하고 있다.     전망 항목은 상향조정 가능(Positive), 하향조정 가능(Negative), 그리고 변경되지 않을 항목(Stable)으로 구분하고 있다.   재정의 크기는 보험자의 자기자본 비율(Adjusted Policyholders'' Surplus)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놓은 기준치로서 숫자가 높을수록 안전하고 규모가 큰 보험회사로 볼 수 있다. 해당 금액이 백만달러 이하인 I등급부터 시작, 5억달러와 7억5000만달러 사이인 X등급, 그리고 20억달러를 초과하는 XV 등급까지 단계별로 구분한다.   A++, XV등급이 최고의 평가이며, 건전도로는 A-이상, 회사 규모로는 X등급 이상이면 안심하고 가입할 수 있는 보험회사로 보면 된다. 보험 가입 시 이 신용등급을 반드시 확인할 것을 권하며, 그 이하 등급일 경우에는 가입 전에 반드시 전문가와 협의를 거치기 바란다.   ▶문의 : (213)387-5000 진철희 / 캘코보험 대표보험 상식 보험회사 신용등급 국가 신용등급 건전도 등급 재정 건전도

2022.07.24. 13:11

일리노이 신용등급 또 한 등급 올랐다

일리노이 주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올랐다. 최근 1년 새 다섯번째 상승이다.     최근 신용평가사인 핏치사는 일리노이 주의 일반 채권 등급을 BBB-에서 BBB+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 판매세 채권 등급 역시 BBB+에서 A 등급으로 올렸다.   일반적으로 주정부의 신용등급이 올라가면 채권을 발행할 경우 이자율이 낮아지면서 주정부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일리노이 주의 신용등급은 2021년 이전까지 정크 본드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에 머물러왔다.     핏치사는 일리노이의 등급을 상향 조정하면서 "이번 업그레이드는 일리노이 정부의 재정 상황이 팬데믹 상황에서 빠져 나오고 있으며 근본적인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재정 상황도 탄탄하고 정상적인 재정 판단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일리노이 정부는 이번 신용등급 향상이 4년 연속 균형 재정을 이뤘고 채무 반환을 제 때 하고 있으며 팬데믹 관련 부채를 서둘러 되갚은 것이 제대로 평가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공무원 연금 재정에 더 많은 금액을 충당하고 10억 달러에 달하는 예비금을 마련해 건전한 재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리노이 주 공화당은 이 같은 신용등급 향상은 상당 부분 연방 정부의 코로나 지원금 160억 달러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핏치사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의 경제 상황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일자리의 경우 팬데믹 이전의 82%까지 회복됐지만 이는 전국 평균인 93%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수치가 개선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전국 평균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이다.     실업률 역시 전국 평균은 3.8%지만 일리노이 주는 4.7%다. 최근 개선 상황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최근 6개월동안 일자리 회복은 18%를 보였는데 이는 전국 평균 16%에 비하면 2% 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밖에 주 정부에 제출된 계산서를 갚는데 걸리는 시간은 18일로 집계돼 브루스 라우너 주지사 시절의 210일에 비하면 상당 수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핏치사와 함께 대표적인 신용평가 기관들도 일리노이 주의 신용등급을 올린 바 있다. 무디스사가 지난달 일리노이 주의 신용등급을 Baa2에서 한 단계 높은 Baa1으로 상향 조정했고 스탠다드앤푸어스사 역시 2021년 7월 BBB로 평가했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신용등급 일리노이 신용등급 재정 상황도 일리노이 정부

2022.05.09. 15:1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