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연봉을 받아도 캐나다의 어느 지역에 사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크게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통계청이 사상 처음으로 지역별 실질 생활 수준을 분석한 결과, BC주가 캐나다 13개 주와 준주를 통틀어 가장 살기 팍팍한 '꼴찌'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높은 소득은 살인적인 물가에 잠식당했고, 공공서비스 가치까지 고려하자 최하위로 추락한 것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지역별 구매력 평가' 보고서는 캐나다의 경제 지형도를 다시 쓰는 수준의 충격을 던졌다. 이번 연구는 단순히 가계의 명목 소득이 아닌, 지역별 물가(구매력)와 공공서비스 혜택까지 모두 반영해 '실질적인 삶의 질'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최초의 시도로 평가받는다. 보고서에 따르면, BC주는 온타리오, 앨버타와 함께 캐나다에서 물가가 가장 비싼 지역으로 나타났다. BC주에서 1달러를 쓸 때의 가치는 물가가 가장 저렴한 뉴브런즈윅주의 82센트와 동일한 수준이었다. 문제는 높은 소득이 이 살인적인 물가를 전혀 감당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물가를 반영해 실질 소득을 재계산하자, 명목 소득으로 전국 5위였던 BC주의 순위는 9위로 수직 추락했다. 4위였던 온타리오주 역시 8위로 미끄러졌다. 높은 연봉이 실제로는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했다는 의미다. 여기에 의료, 교육 등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가치를 더하자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온타리오주는 전국 12위로 밀려났고, BC주는 마침내 13개 주·준주 가운데 최하위인 '꼴찌'를 기록하는 수모를 당했다. 높은 세금과 생활비 부담으로 인해 주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복지 수준이 캐나다에서 가장 낮다는 사실이 공식 통계로 확인된 순간이다. 반면, 다른 지역들은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앨버타주는 높은 물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소득 수준으로 이를 상쇄하며 상위권을 지켰다. 가장 극적인 반전은 누나부트 준주에서 나왔다. 명목 소득은 최하위권이었지만,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가치가 월등히 높아 이를 반영하자 대부분의 주보다 높은 순위로 뛰어올랐다. 이번 통계청의 보고서는 "어디에 사느냐가 얼마나 버느냐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준다. 캐나다 최고의 도시라는 명성 뒤에 가려졌던 BC주의 고단한 현실이 드러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논의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밴쿠버 중앙일보소득 실질 실질 소득 소득 수준 명목 소득
2025.08.01. 12:15
대다수 소비자가 소득이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BS뉴스가 지난달 24~26일 성인 23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대다수 소비자는 소득이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으며,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저축과 추가 지출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경제 전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향후 경제 전망도 엇갈리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소득이 인플레이션을 따라가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23%에 불과한 반면, 77%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많은 소비자가 실질 소득 감소를 체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제적 압박 속에서 응답자의 거의 절반이 개인 재정 상황 평가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50%는 본인의 재정 상황이 좋다고 응답했으나, 42%는 나쁘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62%가 최근 몇 주 동안 물가가 상승했다고 답했으며, 33%는 물가가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응답했다. 반면, 물가가 하락했다고 답한 사람은 5%에 불과했다. 이는 생활비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으며, 경제적 불안감을 확산시키고 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재정 상황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보였다. 연 소득 5만 달러 미만의 응답자 중 60%가 재정 상황이 나쁘다고 응답했지만, 10만 달러 이상 소득자의 경우 80%가 재정 상황이 좋다고 답했다. 이는 소득 격차가 경제적 안정감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1년간의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의 의견이 분분했다. 34%는 경제가 성장하거나 호황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22%는 현 상태가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44%는 경제가 둔화되거나 경기 침체에 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식비 부담이 큰 응답자일수록 경제가 악화될 것이라고 보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다양한 경제적 부담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우려도 컸다. 응답자의 70%는 저축과 추가 지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으며, 55%는 부채 상환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53%는 주거비 지출이 걱정된다고 응답했으며, 같은 비율의 응답자가 식료품과 식비 지출에 대한 부담을 호소했다. 전반적인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49%가 경제가 나빠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24%만이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용 시장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응답자의 42%는 현재 고용 시장이 좋다고 답했지만, 같은 비율인 42%는 고용 시장이 나쁘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많은 소비자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경제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경우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은영 기자인플레 소득 전체 응답자 이상 소득자 실질 소득 박낙희 재정난 생활비
2025.03.03. 1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