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가장 건강에 해로운 패스트푸드점으로 웬디스가 선정됐다. 온라인 정보 포털 사이트인 월드아틀라스가 주요 패스트푸드점의 인기 메뉴를 분석해 칼로리, 포화지방, 나트륨 함량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다. 상위 톱10 리스트에 포함된 업체들은 대부분 한 끼 식사로 하루 권장 칼로리의 절반 이상을 초과하는 메뉴를 판매하고 있으며, 저렴한 가격과 24시간 영업, 아동 타깃 마케팅 등으로 소비를 조장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표 참조〉 1위로 선정된 웬디스는 ‘트리플 베이커네이터 세트’가 2160칼로리, 포화지방 54g, 나트륨 3400mg을 포함해 대부분 영양 권장량을 한 번에 초과했다. 이는 식품의약국(FDA)이 제시한 성인 하루 권장 칼로리(2000kcal)를 초과하는 수치다. 여기에 ‘프라이스티’ 디저트, 늦은 시간까지 운영되는 매장, 저가 할인 세트인 ‘비기백’ 시리즈는 소비자들의 반복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2위인 소닉 드라이브인은 1950년대풍의 자동차 매장에서 제공되는 식사로 향수를 자극하지만, 실제 메뉴는 고열량의 대명사다. 소닉의 치즈버거 세트와 체리라임에이드 음료는 1600칼로리 이상이며, 44온스 사이즈의 피넛버터 셰이크 하나로 1720칼로리를 섭취하게 된다. 해피아워 할인 시간에는 음료와 디저트를 반값에 제공해 더 많은 소비를 유도하고 있다. 3위 타코벨 역시 저가 메뉴 전략과 밤 시간대 광고로 야식 중독을 유발하는 브랜드다. ‘비프 5레이어 부리토’와 탄산음료 조합은 약 970칼로리, ‘크런치랩 슈프림 세트’는 1140칼로리가 넘는다. 5달러 크레이빙 박스와 ‘포스밀’ 마케팅은 특히 젊은 소비층을 겨냥하고 있다. 4위인 데어리퀸은 아이스크림 전문 이미지 뒤에 고열량 식사를 숨긴 대표적 사례다. ‘오레오 블리자드’는 1080칼로리에 44g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고 치킨 스트립 세트는 1300칼로리, 2400mg의 나트륨을 기록했다. 이어 KFC, 퀴즈노스, 맥도날드, 스매시버거, 리틀시저스(피자 1판), 칙필레(샌드위치 세트) 등이 상위 10개 순위에 올랐다. 보고서는 이들 기업이 건강한 이미지를 내세우면서도 실질적으로는 고지방·고당분 식단을 은밀히 판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칙필레는 무항생제 닭고기 이미지를 활용하지만, 대표 메뉴인 오리지널 치킨 샌드위치와 감자튀김 세트는 800칼로리, 750mg의 나트륨을 포함한다. 여기에 레모네이드나 밀크셰이크가 더해지면 칼로리는 1200을 훌쩍 넘긴다. 이 외 맥도날드는 ‘빅맥 세트’가 1300칼로리, KFC ‘3피스 세트’는 2900mg 이상의 나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리틀시저스는 단 5달러 피자 한 판으로 2140칼로리 4260mg의 나트륨을 섭취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일부 메뉴는 한 끼만으로도 하루 권장 열량과 나트륨 섭취 기준을 초과한다”며 “심장질환과 제2형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은영 기자패스트푸드점 심장질환 주요 패스트푸드점 칼로리 포화지방 고열량 식사 박낙희 패스트푸드 햄버거 건강 미국
2025.07.20. 19:00
스티브 박 심장내과 전문의는 “과거엔 심장질환은 50대, 60대가 지나면서 나타났는데 지금은 한창 건강해야 할 젊은 20대, 30대 환자들이 병원 문을 열고 들어선다”며 의사로서 안타깝다고 말한다. 더군다나 젊은이들은‘나는 건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평소 증상이 와도 무심코 지나차기 때문에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 젊은이들 심장에 왜 이상이 오나 K씨는 35세 미혼 남성. 직업은 세일즈 계통. 평소 건강에 자신있다고 생각했는데 이상하게 가슴 부위가 아픔을 느껴 의사를 찾게 됐다. 혈관 내벽이 이미 많이 헐어 있었다고 한다. 원인은 과도한 담배였다. 직업상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하루 2갑을 피웠다고 한다. 절대 금연해야 한다고 했지만 말을 듣지 않았다. 혈관이 막혀 심장마비를 일으켜 실려왔고 바이패스 수술(bypass surgery.막히지 않은 혈관끼리 이어주는 수술)을 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지만 담배를 피워 재발됐고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박 전문의는 "노년층은 오래동안 흡연을 해왔기 때문에 본인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아 의사의 지시를 잘 따르지만 젊은이들은 자신의 심장은 튼튼하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에서 20대~40대 심장질환의 주범이 바로 K씨처럼 과도한 흡연이다. 담배 속의 니코틴은 동맥 안쪽을 얇게 덮고 있는 보호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끼치기 때문이다. 손상된 막을 통해 혈액내의 불순물(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을 막아 이것이 심장마비가 된다. (술은 오히려 적당량을 마시면 심장에 도움을 주지만 담배는 치명타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은 식습관이다. 현대 의학에서 심장병의 다섯가지 요인으로 앞서 말한 흡연 외에 고혈압 당뇨 콜레스테롤과 집안 병력을 드는데 이중에서 혈압 당수치 콜레스테롤은 음식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심장에 위협을 주는 '3가지 맛'이 바로 짜고 달고 기름진 맛이다. 짠 음식은 혈압 단 음식은 당 기름진 음식은 우리가 잘 알듯이 콜레스테롤과 직결된다. 현대의 식생활은 위의 세가지 맛에 익숙하게 만들기 때문에 과거보다 요즘 젊은층에게 심장 이상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다. 마약도 심장병과 직결된다. 평소 건강하던 20대가 갑자기 심장마비를 일으켰을 때 많은 경우가 바로 마약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처음 한 두 번 했다고 심장마비가 오지는 않는다. 이미 오래 전부터 즉 중.고등학교 때부터 마약을 해온 경우다. 마약은 심장근육에 직격타라고 한다. 심장을 비정상적으로 뛰게 하기 때문에 장기 복용하게 되면 어떤 때는 감당못할 정도로 가슴이 빨리 뛰고 어느 순간에는 반대로 마치 심장이 멎어 버리듯 늦게 뛴다. 의학적 용어로 부동맥 증세가 와서 한순간에 심장근육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할리우드의 젊은 스타들이 갑자기 사망하는 것도 많은 경우 마약을 장기 복용했기 때문인데 한인 젊은이들도 예외는 아니라고 한다.
"증세 느끼면 이미 혈관 60~70% 막혀"
■자가진단
심장마비는 갑자기 큰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오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잘못 아는 것이다. 오래동안 혈관과 심장을 둘러싼 근육에 이상이 있는 것을 몰랐을 뿐이다. 심장질환이 무서운 이유는 증세가 느껴질 때 이미 혈관의 60~70%가 막힌 상태라는 점이다. 따라서 평소 증세를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한다.
▷가슴부위에 통증이 온다=젊은층의 심장질환자들은 소화불량으로 위가 아픈 줄 알았다고 한다. 심장과 위장이 구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위든 심장이든 그 부위가 아프면 일단 심장내과를 찾을 것을 권한다. (특히 고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흡연, 집안병력 중 한가지라도 해당될 경우)
▷부정맥 증세가 있다=갑자기 불편할 정도로 가슴이 뛴다거나 반대로 심장이 멈춘 듯한 느낌이 오는 것도 위험신호다.
▷숨이 차다=평소와 비교할 때 조금만 움직였는데도 숨이 가쁘면 즉시 의사를 찾아야 한다. 숨이 차다는 것은 이미 혈관이 상당부분 막혔기 때문이다. 괜찮겠지 하는 것은 금물.
▷다리가 붓는다=특별히 운동을 많이 하거나 걷지 않았는데도 자주 다리가 붓는 것도 적신호다. 붓는다는 것은 혈액순환이 안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달고 짜고 기름진 음식이 좋다=평소 식습관이 이렇다면 일단은 혈압을 비롯해 당과 콜레스테롤에 이상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검사를 해보는 것이 안전하다.
▷자주 어지럼증이 있다=앉았다가 갑자기 일어섰을 때 순간적으로 어찔 한 것은 정상이다. 여기서 말하는 어지러움은 가만히 앉아 있거나 아니면 운전 중에 갑자기 눈앞이 아련해지면서 아득함을 느낄 때다. 의학적으로는 1초 정도로 짧은 동안 정신을 잃은 상태인데 본인은 그대로 무시하기 쉽다.
▷흡연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간접 흡연자의 심장질환 발병률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흡연자와 항상 상대하고 있다면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예방법
-담배를 피울 때마다 혈관벽이 얼마나 손상될까 상상해 본다.
-적당량의 술은 심장의 보약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과음하면 혈관이 아니라 심장 근육에 영향을 줘서 수축을 못하게 만든다.
-젊었다고 방심하는 것이 가장 위험하다. 심장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예방책은 정기 검진이다. 특히 흡연자로서 가족 중에 심장질환자가 있을 때는 20대 후반부터 혈압,당뇨,콜레스테롤 수치를 정기적으로 첵업해야 한다.
-심장에 독이 되는 3대 음식은 되도록 멀리한다. 기름기, 짠 것, 달콤한 것. 심장 전문의들이 가장 피하라고 권하는 것이 돼지삼겹살, 햄버거, 치즈 버거, 오징어, 랍스터(새우도 포함), 계란이다.
-일주일에 5일은 적어도 30분 ‘약간 빠르다 싶을 정도’로 걷는다.
-과체중인 사람은 살을 빼야한다.
-에너지 드링크(예를 들면 RedBull) 역시 과도한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심장을 비정상적으로 뛰게 한다. 중·고등학교 때부터 시험시기에 잠오지 말라고 먹기 시작할 경우 20대에 갑자기 심장마비를 일으킬 위험성이 높다. 부모님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스티브 박 심장내과 전문의>
글= 김인순 기자, 사진= 백종춘 기자
2009.03.09. 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