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학년이 끝나고 12학년으로 들어가는 고교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히 대입 준비다. 대입지원서 제출은 빠르면 9월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여름방학부터 에세이를 준비하지 않으면 희망하는 대학에 시간이 부족해서 지원조차 못하거나 자신이 만족하지 못하는 에세이를 제출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특히 공통지원서를 제출하더라고 학교별 서플리먼트(추가서류) 에세이가 최고 3개까지 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자. 지금은 필요하다면 대입 컨설팅에 의뢰해서 준비하는 것도 가능한 시기다. 여름방학이 시작될 때마다 가을학기에 필요한 대입 지원서와 에세이를 미리 작성하라고 조언하는 이유는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누구나 처음 맞는 대학입시이고 대학입학 지원서 작성이다. 해마다 많은 학부모들이 대입 지원서 제출이 마감된 후에 후회하는 것이 자녀를 여름방학때 채근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방학에도 자녀가 노는 것은 아니므로 시간이 별로 없어보인다. 남들할 때 같이 하면 되지 하고 느긋할 수도 있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놓고 보면 조기전형에 신청하는 경우부터 여름방학에 대부분의 준비를 마친 경우까지 그 결과는 다양하다. 이제부터 며칠 밤 자고 나면, 바로 8월이고 원서를 써야할 것이다. 이것은 매년 12학년생들에게 닥친 일이다. 예외는 없다. 대입 지원 에세이는 UC계열 대학에 제출하는 2개의 에세이와 사립대학들이 채택하고 있는 공통 지원서 (Common Application)의 에세이를 말한다. 또한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은 서플리먼트(supplemente) 에세이로 더 많은 에세이를 요구한다. 에세이는 명문대 일수록 중요하다. 많은 우수한 지원자들의 학업성적과 SAT 점수 등으로는 변별력이 없으므로 에세이의 차별화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에세이는 자신을 잘 표현하는 최고의 기회로 생각하여 설득력 있게 자신을 소개해야 한다. 지원자 스스로 자신의 배경, 가정환경, 성격을 자유롭게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에세이다. 물론 착각하지 말아야 하는 것중 하나가 성적이 조금 밀리는데 에세이를 잘 써서 뒤집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쉽게 뒤집어 지지 않는다. 뒤집을 수 있는 경우는 아주 특별한 과외활동이나 수상 기록이 있어서 그것이 에세이를 통해 잘 설명될 때 뿐이다. ▶나만의 전략을 세워라= 자신의 창의적인 재능을 강조할 수 있고 중요한 과외 활동이나 취미를 내세울 수 있다. 특별하고 독특한 자신의 개성을 형성시킨 순간이나 사건을 삶의 한 측면으로 스토리텔링을 잘해야 한다. ▶인간적인 경험을 되새겨라= 자신의 경험을 시작부터 그대로 서술하는 것보다 경험이 자신에게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는 것이다. 마음 속의 이야기를 글로 표현하라는 것이다. 또한 인간적인 모습을 부여하며 자신이 어떻게 변화해서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했는가를 보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게 말과 달리 쉽지 않다. 그래서 방학부터 해야 한다는 것이다. ▶충분한 생각 위해 일찍 시작하라= 마음의 여유를 가질수록 에세이에 자기 자신을 더욱 진솔하게 보여줄 수 있다. 혼자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초고를 쓴 상태에서 교정볼 시간도 넉넉히 가지는 것이 좋다. 그래서 가급적 여름방학에 다 끝낸다고 생각하라. ▶부모, 주위와 상의하라= 가족, 부모의 지인, 교사와 머리를 맞대고 아이디어를 상의하라. 에세이는 지원서 중 가장 개인적인 부분이므로 건설적인 비판은 확실히 큰 도움이 된다. 주위에서 자신을 잘 아는 사람이 효과적인 조언과 의견을 줄 수 있다. ▶독창적 아이디어 제시하라= 에세이 자체의 주제 뿐 아니라 글 속에 담긴 이미지에도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스포츠활동으로 챔피언이 되었다는 소재들은 벌써 수천번 다뤄졌을 것이다. 승리의 기쁨이나 패배의 고통을 설명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잘못된 점은 없지만 더 독창적이어야 하며 기억에 남을 만한 이야기여야 한다. 그래서 어렵다. ▶조금은 기발한 접근이 성공할 수 있다= 일부 지원자는 기발한 접근으로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것을 하려면 아주 잘해야 한다. 에세이를 돋보이게 하려고 무언가를 보여주려는 시도는 자칫 건방져 보일 수 있다. 진심어린 목소리와 기지를 이용하여 세련되고 재치있게 접근해야 하고 어중간해서는 성공하지 못한다. ▶시작부터 강한 인상을 주라= 가장 중요한 부분은 첫 부분이다. 입학사정관은 학생이 어떤 인물인가를 파악하려고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에세이의 시작부터 독자의 관심을 사로 잡고 쉽게 시작하여 계속 읽고 싶게 만들어야 한다. ▶공감 이끌 결론이 중요하다= 마지막 문장에서 첫 문장의 강조점으로 돌아가는 것은 에세이 전체를 짜임새 있게 엮는 좋은 방법이다. 도입부가 에세이의 기초를 설명해 준다면 결론은 독자의 공감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 ▶제대로 아는 단어만 사용하라= 의미도 제대로 모르는, 너무 어려운 단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현란한 단어 실력을 자랑할 곳은 SAT같은 시험이다. 에세이에는 짧은 단어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는게 더 나을 수 있다. ▶기본 취지에 집중하라= 입학 사정관이 에세이를 읽는데는 몇 분도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야기의 규모를 적당히 유지해야 한다. 요지를 증명하기 위해 적절하고 구체적인 예화를 사용하고 반복이거나 기능을 못하는 문장은 다듬어야 한다. 친구의 죽음이 의미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이야기를 500단어도 안되는 지면에 표현하겠다는 것은 욕심이다. 에세이의 범위를 분량에 적절하게 맞춰야 한다. ▶유머는 세련되게= 세련된 유머라면 입학사정관을 미소짓게 할 것이며 손해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다른 사람을 조롱하는 스타일이라면 위험하다. 유머도 유머나름이다. ▶긴장을 풀고 천천히= 여름방학에 에세이를 작성하고 있다면 어쩌면 상당히 앞서 있는 것인지 모른다. 의외로 개학하고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여유를 갖고 너무 긴장하지 않고 천천히 작성하라. ▶여러번 교정하라= 에세이는 물론 모든 글은 교정을 많이 봐야 한다. 주의깊게 봐라. 그리고 또 교정을 보고 다시 한번 교정을 보라. 다행인 것은 아직 시간이 있다는 것이다. ━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흔한 잘못? (1). 이력서를 반복하지 마라 에세이에 벌써 지원서에 기재된 성적과 활동 상황 등 모든 필요한 것이 모두 나열되어 있는데 자신을 좀 더 알린다고 다시 한번 반복 나열하는 듯한 이력서 같은 에세이는 피해야 한다.? (2) 미사여구는 금물이다 필요없는 미사여구와 사족은 절대 피해야 한다. 에세이는 단어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 명료하면서 자연스럽게 물 흐르는 듯 흘리며 감명을 줘야 한다.? (3)동정심을 유발하지 마라 입학사정관에게 동정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내용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많은 지원자가 좋지 않은 성적에 대해서 너무 상세하게 설명하는 경우다. (4)흔한 주제는 피하라 남들도 많이 쓰는 흔한 주제는 피해야 한다. 한인 학생의 에세이에 많이 등장하는 이민 가정의 갈등, 교회봉사활동, 스포츠경기중 부상을 당해 뛰지 못하고 지켜만 보았다는 등의 소재, 가족여행, 경기에 이긴 순간, 지원자의 가정 등의 주제는 개인에게는 특이하지만 에세이 주제로는 너무나 흔해서 식상하다. (5)기본을 지켜라 철자법과 문법 등 어휘가 맞지 않는 에세이는 소재와 주제에 상관없이 기본이 되어 있지 않은 에세이로 취급받는다. 몇 번에 걸친 교정작업으로 문법, 어휘, 철자 등의 실수가 있는지 꼭 확인해 봐야 한다.? (6)이치에 맞아야 한다 추천서 등을 통해서 이미 전달된 상태인데 이런 지원자를 평가할 수 있는 많은 요소와 너무나 이치에 맞지 않는 에세이는 역효과다. 에세이 주제는 누가봐도 신빙성이 있어야 한다. 장병희 기자아이디어 설득력 에세이 전체 에세이 자체 대입지원서 제출
2024.07.07. 18:00
봄을 지나 여름을 향해 달려가는 길목에서 집안 꾸미기에 관심 많은 이들은 뒷마당이나 패티오 업그레이드를 고민하게 된다. 특히 친구나 가족들과 홈파티를 자주 여는 이들이라면 야외 주방을 제대로 꾸며보고 싶게 마련. 최근 한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71%가 야외 생활 공간 중 가장 투자하고 싶은 항목으로 야외 주방을 꼽았다. 특히 사계절 내내 날씨 좋은 남가주에서 야외 주방 투자는 사용 시간만 놓고 보자면 전국에서 가장 남는 장사일 것이다. 그러나 야외 주방 개조를 위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도 막막하거니와 예산까지 생각하다보면 야외 주방 꾸미는 것이 골치아프게 느껴지기도 한다. 야외 주방 개조를 고민하는 이들을 위해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야외 주방을 위한 모든 것을 알아봤다. ▶고려사항 시작 전 집주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파티 시 어떤 메뉴를 주로 요리하는지부터 따져봐야 한다. 무조건 보기에 좋고 화려한 야외용 주방가전을 들여놓는다고 활용도가 높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초대 손님이 주로 5명인지 아니면 10명이 넘는지부터 따져본 다음, 파티 메뉴가 주로 바비큐 위주인지, 칵테일이나 와인을 위한 콜드 파스타와 치즈 플레이터 위주인지, 아니면 찌개와 불고기 등 한식 상차림인지 등도 살펴봐야 한다. 그래야만 요즘 피자 화덕이 유행이라고 무조건 설치한 뒤 이후 사용하지 않는 낭패를 막을 수 있다. 만약 그릴을 설치할 예정이라면 싱크대도 함께 설치하면 여러모로 편리하므로 전문업체와 논의해 설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예산 주택 리모델링 네트워크 플랫폼 엔지(angi.com)에 따르면 패티오용 작은 규모부터 맞춤형 주방까지 야외 주방 개조를 위한 비용은 전국 평균 최소 6000달러에서 2만5000달러까지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예를 들어 300평방피트 규모의 야외 주방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평균 비용은 1만3000~1만6000달러 정도로 나타났는데 가전제품이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요되는 비용은 주로 어떤 자재를 선택할 것인지, 혹은 어떤 야외 주방가전을 구입하는지에 달려 있다고 한다. ▶배관·배선 무조건 냉장고와 그릴을 구입할 예산만 확보됐다고 야외 주방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싱크대와 식기세척기, 제빙기 등을 설치하려고 한다면 설치하려는 곳에 수도를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냉장고, 전기스토브, 믹서기 등을 설치하고 싶다면 전기 배선 역시 필수. 이를 위해서는 배관, 배선 전문업체를 고용해야 한다. 이때 배관, 배선이 지역 건축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자격증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다. 전기배선 전문가들은 "특히 야외에서 전기를 쓰기 위해서는 외부 콘센트 커버는 필수"라며 "또 야외 주방에 필요한 전력량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위한 정확한 콘센트 선택을 할 수 있는 전문가를 고용해야 나중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조언한다. ▶제품 선택 야외 주방은 실내 주방보다 친환경 자재나 제품을 사용하기 용이하다. 전기 그릴, 태양열 조명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인데 전문가들은 "스테이크 조명부터 뒷마당 조명 등 다양한 야외 조명을 태양광 조명으로 사용하면 전기료 절약은 물론 환경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싱크대나 조리대의 경우 스테인레스스틸 소재는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다. 전문가들은 "스테인레스스틸은 석조나 목재와 달리 표면에 공기구멍이 없어 세균과 박테리아가 번식할 위험이 없다"며 "사용 후 간편하게 세제를 이용해 세척과 살균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설명한다. 또 가스레인지보다는 전기인덕션 설치를 고려할 만한데 이는 녹 방지 기능을 갖추고 있는 데다 내구성도 좋기 때문이다.게다가 화염이 발생하지 않아 훨씬 더 쾌적한 환경에서 요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수납공간 뒷마당이나 패티오에서 사용할 식기나 유텐실을 보관할 수납장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비싼 맞춤형 캐비닛을 제작할 수도 있지만 생활가전용품 매장에서 판매하는 캐비닛을 구입하면 보다 더 저렴하다. 그리고 야외 바를 설치할 계획이라면 와인 냉장고와 와인 잔 등을 수납할 공간도 생각해야 한다. 이외에도 겨울이나 우기 때 가전제품과 야외 가구를 보호하기 위한 지붕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모듈식 주방 만약 보다 저렴하게 야외 주방을 만들고 싶다면 모듈식 야외 주방(Modular Outdoor Kitchens)을 고려해 볼 만하다. 모듈식 야외 주방은 로우스(lowes.com)나 홈디포(homedepot.com)가 이 섹션을 따로 운영할 만큼 소비자들에게 인기다. 모듈식 야외 주방은 규격화된 표준 사이즈의 그릴, 싱크대, 카운터탑, 캐비닛, 냉장고, 선반 등 야외 주방을 위한 구성품을 따로따로 판매 하는 것인데 이를 필요에 따라 구입해 조립하면 원하는 야외 주방을 완성할 수 있다. 대략의 야외 주방 레이아웃이 나오면 일단 필요한 것부터 구입한 뒤 이후 여유가 생기면 필요에 따라 추가로 구입해 조립할 수 있어 편리하다. 더욱이 집주인이 주방 레이아웃에 확신이 없을 때 한번에 모두 설치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이주현 객원기자야외주방 아이디어 야외 주방가전 야외용 주방가전 전기배선 전문가들
2024.05.15. 17:57
Michelle: This is our first business lunch and I'm paying for it. 미셸: 우리끼리 사업상 먹는 첫 점심인데 내가 계산할게. Janice: Did you get a job? 재니스: 취직했어? Michelle: No but last night I saw a woman selling her homemade jellies and jams. 미셸: 그런 건 아니고 어젯밤에 집에서 만든 젤리와 잼을 파는 여자를 만났잖아. Janice: You lost me. 재니스: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Michelle: That woman put an idea in my head. 미셸: 그 분 덕분에 아이디어가 떠올랐어. Janice: What idea? 재니스: 무슨 아이디어? Michelle: You know how popular Mom's barbecue sauce has always been? 미셸: 엄마가 만든 바비큐 소스가 얼마나 인기가 좋은지 너도 알지? Janice: Yeah. She always thought it would go over well. 재니스: 응. 엄마도 늘 사람들이 좋아할 거라고 생각했잖아. Michelle: And I'm sure she was right. 미셸: 나도 엄마 말이 맞다고 생각해. Janice: You've come up with a great idea. 재니스: 무슨 좋은 생각이 떠올랐구나. 기억할만한 표현 *lose (someone): (누구를) 헷갈리게 하다 "You lose me when you start talking about politics." (네가 정치 얘기를 시작하면 내가 헷갈려.) *go over well: 사람들의 호응을 얻다. "Her idea went over well in class." (그 여자의 생각은 반에서 호응을 얻었어요.) *come up with: 생각해내다. "She always comes up with good plans." (그 여자는 항상 좋은 안을 생각해내요.)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아이디어 idea great idea what idea idea in
2023.03.22. 19:35
주식투자를 할 때 새로운 투자처나 미처 생각하지 못한 아이디어는 여러 곳에서 나올 수 있다. 증권 전문가로 30년을 넘게 증권업계에서 일하면서 회사 고객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듣거나 질문을 통해 얻는 새 아이디어로 좋은 주식을 찾은 경우가 적지 않게 있다. 90년대 말에는 한 사무실에서 구식으로 보이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오래된 컴퓨터를 아직도 사용하는 이유에 관해 물어봤다. 그 컴퓨터가 스티브 잡스 회장이 애플에서 쫓겨났을 때 설립한 넥스트에서 만든 컴퓨터인데 성능이 최신형보다 떨어지지 않는다는 얘기를 듣고 애플 주식에 투자하게 됐다. 2000년대 초에는 잡지에서 코스트코 창업자인 제임스 시네갈 회장의 인터뷰를 읽으며 직원 중심의 경영 철학에 깊은 인상을 받아 코스트코 주식에 투자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지인의 자녀에게 사내 분위기나 업무환경에 대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다. 최근에는 광고대행업에 종사하는 고객으로 광고업계 분석 자료를 통해서는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인터넷 광고의 선두 주자가 어느 기업인지 자세히 들었다. 물론 이런 의견들은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어 투자를 결정할 최종 수단이 되지는 않겠지만 각기 전문 분야 일선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견해보다 더 중요한 정보를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최근 증시는 27일 종가 기준으로 S&P500 지수는 연중 최저치인 3647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1월의 고점에서 약 24% 정도 하락한 수치다. 다우지수 20%, 나스닥 종합지수는 30% 정도 고점에서 하락한 상태이지만 지수의 하락 폭 보다 내용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훨씬 심각하다. 마땅히 자문할 곳이 없는 개인 투자자들은 이런 하락 장세에서 유튜브나 각종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에 의지하기가 쉽다.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 평가와 상관없이 주가의 일시적인 등락을 유도하는 투기꾼들을 비롯해 가벼운 지식을 바탕으로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는 비전문가들이 실력 있는 전문가들과 함께 공존하는 곳이 인터넷이다. 좋은 주식을 찾는 방법은 각기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로부터 해당 업계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 중요한 만큼 주식에 대한 정보를 들을 때도 그것을 전달하는 사람의 전문성도 판단을 잘 내리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문의: (213)434-7787 김세주 / Kadence 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주식투자 아이디어 주식투자 아이디어 코스트코 주식 광고업계 분석
2022.09.28. 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