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부동산 가이드] 주택 압류 대책

모기지를 못 내고 있다면, 집이 은행에 압류되기 전에 어떤 권리가 있고, 어떤 선택지가 있는지 아는 게 정말 중요하다.     집을 처음 사는 사람이든, 이미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든, 압류와 관련된 법이나 절차는 헛갈릴 수밖에 없다.     압류 전 단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이해해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보일 것이다.     ▶대출 조건 조정     대출 조건 조정(Loan Modification)은 집을 가진 사람이 대출금을 갚기 힘들 때, 은행이나 대출기관과 협의해서 월 상환금이나 이자율, 상환 기간 등을 변경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매달 갚아야 하는 금액이 줄어들어서 압류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다.     ▶유예 협정     유예 협정(Forbearance Agreement)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일 때, 일정 기간 대출금 상환을 미루거나 줄이도록 은행과 합의하는 것이다.     이 기간에는 압류가 진행되지 않아서 숨을 돌릴 수 있는 시간이 생긴다. 이 기간에 집을 팔아서 밀린 돈을 다 갚으면 본인의 크레딧이 망가지지 않고, 집을 압류 당한 꼬리표도 몇 년간 따라다니지 않는다.     ▶주택 매각   압류되기 전에 주택을 판매하는 옵션도 고려해볼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숏세일(Short Sale)을 통해서 압류를 피할 수도 있다.     ▶대출기관 양도   대출기관 양도(Deed in Lieu of Foreclosure)는 집을 더는 감당할 수 없을 때, 집을 자발적으로 은행에 넘기고 압류를 피하는 방법이다. 압류보다는 내 신용에 가는 피해가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파산 신청   파산 신청(Bankruptcy)은 빚을 갚기 어려울 때 법원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집이 압류되기 전에 파산을 신청하면, 일시적으로 압류를 멈출 수 있다. 시간을 벌어서 재정 상황을 정리하거나, 대출 조정 같은 다른 방법을 찾을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상환 계획   상환 계획(Repayment Plans)은 밀린 대출금을 한꺼번에 갚는 대신, 일정 기간 나눠서 갚는 방식이다. 은행과 협의해서 새로운 납부 일정을 정하고, 정해진 금액을 제때 갚으면 압류를 막을 수 있다. 재정 상황이 조금 나아졌을 때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은행 압류 전에 집을 팔아야 하는 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시간이 많지 않더라도, 집을 최대한 좋은 조건에, 빠르게 팔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압류 기록 없이 깔끔하게 정리가능하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문의: (818)963-2118  이미화 / 에피크 리얼티부동산 가이드 압류 주택 주택 압류 은행 압류 압류 기록

2025.05.28. 17:33

[택스클리닉] IRS 압류 직전 통지서

Q) 국세청(IRS)으로부터 압류 관련된 통지서를 받았습니다. 이 상황에서 언제 실제 압류가 될 수 있는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A) IRS 압류 직전 통지서라고 할 수 있는 Letter 11 또는 CP90는 IRS가 압류를 시작하기 전 최종 단계에 보내는 통지서입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과부화된 IRS는 의회의 결정으로 자동으로 보내졌던 징수 통지서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2023년 말, IRS는 자동 징수 통지서를 보낼 것을 예고했고 2024년 1월부터는 새로운 특별 알림이 발송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8월부터는 IRS가 대량으로 압류 의도와 청문회 권리에 대한 최종 통지를 발송하기 시작했습니다.   세금징수 해결 전문가로서 저는 IRS의 대대적인 징수 집행 활동이 몰려올 파도가 임박했음을 느낍니다. 이 중요한 통지서를 받은 납세자는 재산과 수입원에 대한 중대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 상황을 이해하고 적시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tter 11 통지서는 IRS가 납세자의 재산을 압류할 즉각적인 계획 (Final Notices of Intent to Levy)을 밝히는 공식 통지서입니다. 이 편지가 IRS에게 추가 대기 기간을 고려하지 않으면 30일 이내에 압류절차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 안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납세자가 세금을 완납하지 않거나 지정된 날짜까지 통지서에 대해 IRS에 연락하지 않으면 자산에 대한 유치권 설정이나 압류 절차를 포함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절차에는 임금 차압, 은행 계좌 압류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통지서를 무시하거나 납부를 거부하면 IRS는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개인의 여권을 취소하거나 거부할 권한이 있습니다.   통지서는 집행 정지 절차 청구 양식인 Form 12153과 함께 도착합니다. 이 양식은 이 통지서에 명시된 금액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필수적입니다. 양식을 제출함으로써 청구서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이 항소가 세무법원에 이를 수 있습니다.   전액을 납부할 수 없는 경우, IRS와의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항소를 선택하든, 부분 납부 또는 분할 납부, 체납세금 삭감 제안, 징수 불능 등 가능한 해결 옵션 자격을 알아보고, 기한 내에 조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납세자의 상황은 독특하며 개별 상황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징수 과정을 잘 이해하고 각 재정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워서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금징수 해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문의: (213)383-1127  제임스 차 / 공인 텍스솔루션 스페셜리스트택스클리닉 압류 통지 징수 통지서 압류 절차 압류 의도

2024.09.15. 18:00

“초과 지급 웰페어 미반환시 압류”…사회보장국 지급 중단 경고

사회보장국(SSA)이 시니어와 저소득층에게 초과 지급한 생활보조금(웰페어·SSI)이나 연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연금 지급이 일부 중단될 수 있다는 경고 서한을 발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SA는 초과지급금을 모두 갚을 때까지 매달 웰페어나 연금 일부를 압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SSA는 지난해 9월부터 수백만 명의 수혜자들에게 초과 지급한 웰페어를 돌려달라는 통지서를 발송해왔다. 〈본지 2023년 9월 21일자 A-1면〉 그러나 반환금 규모가 미미하자 올해부터 연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내는 것으로 보인다.   SSA는 통지서에 "초과지급금을 30일 안에 반환하지 않을 경우 혜택 지급이 일부 중단될 수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대부분의 통지서 수신자가 은퇴 연금 수령자나 장애인, 저소득층 시니어들로 반환 능력이 제한적이라 웰페어나 연금이 중단될 경우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SSA는 "반환을 쉽게 하기 위해 최대 60개월 동안 월 최저 10달러부터 갚을 수 있는 페이먼트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초과지급금이 1000달러 미만인 경우 재정 상태에 따라 면제될 수 있다고 밝혔다.   SSA 재정보고서에 따르면 2023회계연도가 끝나는 작년 9월 말까지 지급된 초과지급액은 230억 달러이며, 이중 되돌려받지 못한 금액은 216억 달러에 달한다. 초과금액 중 절반은 은퇴 연금 수혜자에게 지급됐으며, 나머지는 장애인과 저소득층 시니어에 지급되는 웰페어 수혜자로 파악됐다. 이 보고서는 SSA가 지난 수년간 연 60~70억 달러 가량을 초과 지급했다고 지적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압류 초과지급분 반납 저소득층 시니어 장애인 저소득층

2024.04.21. 20:50

뉴욕서 10억불 상당 ‘짝퉁’ 압류

뉴욕 맨해튼에서 약 22만 점의 ‘짝퉁’(가짜 상품)이 압수됐다. 추정 소매가격은 10억 달러로 위조품 압수 사건 중 가장 큰 규모다.   뉴욕 남부 연방지검은 국토안보수사국(HSI), 뉴욕시경(NYPD)과 함께 최근 21만9000점의 위조 가방·의류·신발 등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실제 팔렸다면 소매가는 10억300만 달러에 달한다.   다미안 윌리엄스 연방검사는 “맨해튼의 창고가 위조 상품의 유통센터로 이용되고 있었다”며 “이번 압수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피고는 아마다 소우(38)·압둘라이 자로(48) 2명이다. 이들은 15일 오전 체포됐으며 위조품 밀매 혐의로 기소됐다. 법정 최고 형량은 징역 10년이다.   이들은 올해 1월부터 지난 10월 20일까지 맨해튼의 창고 여러 곳에서 위조품 밀매를 진행했다. 맨해튼 외부에서 밀매를 시도했던 정황도 포착됐다.   소우가 관리하는 창고에선 8만3000점이, 자로가 관리하는 창고에선 5만 점이 적발됐다. 연방지검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루이비통, 크리스찬디올, 구찌, 에르메스, 버버리 등의 로고를 가진 제품이 눈에 띈다.   다만 이들이 어디서 이 제품들을 공수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에드워드 카반 NYPD 국장은 “위조품 밀매는 합법적인 사업체와 정부, 소비자에게 해를 끼친다”며 “NYPD는 이를 아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계속해서 암시장 단속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압류 뉴욕 뉴욕 맨해튼 위조품 압수 위조품 밀매

2023.11.16. 21:16

썸네일

뉴왁공항 불법 총기 압류 증가

뉴저지주 뉴왁리버티국제공항(이하 뉴왁공항)이 올해 불법 총기 압류 건수에서 연간 최다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뉴왁공항은 지난해 사전 신고와 안전조치가 안된 불법 총기를 위탁 수하물 가방(luggage) 또는 휴대 가방(carry-on bag)에 넣고 여객기를 타려다 적발돼 압류된 건수가 14건에 달했다.     이 수치는 연간 기준으로 최다기록이다.   그러나 올해는 1월부터 11월 중순까지 불법 총기를 수하물 가방 등에 넣고 있다 보안검색대(security checkpoints)에서 적발된 건수가 벌써 14건을 기록했다. 관계자들은 2022년이 한 달 이상 남아있고 연말에 이용객이 몰린다는 것을 감안할 때 뉴왁공항 불법 총기 압류 건수는 올해 사상 최다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고있다.   한편 뉴왁공항에서 올해 승객들이 수하물 가방 등에 넣고 적발된 총기 종류는 9mm 권총은 물론 위력이 강한 샷건 등도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기가 수하물 가방 등에서 발견될 당시 대부분의 총기는 장전이 돼있거나 또는 실탄과 함께 있었다.   이들 불법 총기를 갖고 있던 승객은 비록 여객기 안에 갖고 들어가는 휴대 가방이 아닌 위탁 수하물 가방 안에 넣고 있다 적발됐더라도 ▶현장서 체포 ▶테러 용의점 조사 ▶수천 달러의 연방 민사 벌금(federal financial civil penalty) 등의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압류 불법 불법 총기 총기가 수하물 압류 건수

2022.11.28. 19:15

메트로 애틀랜타서만 집 압류 소송 1000건 넘어

    주거 환경을 유지하고 관리해야 할 집주인협회(Home Owners Association, HOA)가 권한을 남용해 조지아 주민들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주거 동네에 위치한 주택, 타운하우스 등을 구매하면 자동으로 HOA에 가입하게 된다. 이때 몇백불에서몇천불에 달하는 협회 가입 연회비를 내야 하며, 주택 외관 유지, 마당 관리, 쓰레기통 위치 등의 규칙을 지킨다는 계약서를 작성하게 된다.     HOA는 동네의 기준과 규칙을 정할 권한이 주어지며, 동네의 공용자금을 관리한다.       HOA가 주민들에 규칙을 강요할 수 있는 이유는 조지아 주법인 ‘부동산 소유자 협회법(POA)’과 ‘콘도 협회법(COA)’ 때문이다. 주민들은 HOA가 지정한 규칙을 어길 시, 벌금과 패널티를 받을 수 있으며, 주법에 따라 압류, 수도 차단 등 다양한 수단으로 부채를 독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압류하는 조치는 최후의 수단으로 통한다. 연방정부는 2020년 3월~2021년 7월 동안 압류 유예 기간을 지정했지만, 조지아의 여러 HOA는 압류를 진행했다. 애틀랜타 저널(AJC)는이 기간 동안 메트로 애틀랜타 5개 주요 도시에서 최소 95건의 압류 소송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법원 사건을 추적하는 ‘코트하우스뉴스.com’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6년부터 클레이튼, 캅, 디캡, 풀턴, 귀넷 등 메트로 애틀랜타에 있는 HOA는 최소 1100건의 주택 압류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둘루스 주민 알렉사 맥도날드 씨는 팬데믹 기간 동안 수입이 일정치 못해 HOA 회비가 500달러 밀리게 된 경험을 AJC에 공유했다.     HOA는 맥도날드 씨의 집을 압류하겠다는 협박을 했고, 4000달러가 넘는 재판비용을 청구했다. AJC가 이 건에 대해 HOA의 법률팀에 문의한 후 맥도날드 씨는 1400달러를 되돌려받았다. "계산에 오류가 있었다"는 이유다.       HOA 관련 갈등은 전국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지난 6월 콜로라도는 HOA가 주택을 압류하는 과정에서 HOA의 변호인이 일정 이상의 이득을 취하지 못하게끔 막는 법률을 시행했다. 또 비슷한 법률이 애리조나, 플로리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에서도 시행 준비 중이다.     조지아 법은 HOA 이사회 구성원 및 관련 사람들이 협회가 주도한 압류를 통해 이익을 얻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HOA 위원회가 제출한 유치권으로 인해 압류된 자산으로 배를 불리는 이들도 적지 않다고 AJC는 보도했다.     조지아 주 의원과 전문가들은 HOA에 강한 권한을 부여하고 정작 주민들을 보호하는 법이 없는 것은 부당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윤지아 기자HOA 압류

2022.09.16. 17:21

썸네일

5월 주택 압류 1년 전보다 185% 급증

지난 5월 전국의 주택 압류 규모가 185% 급증하며 3만건을 넘어섰다. 팬데믹 이후 사상 최소에서 벗어나 정상화 단계로 진입 중이라는 평가다.   15일 어바인에 본사를 둔 부동산 정보업체 ‘애텀’에 따르면 사전 압류, 경매 예정 및 은행 재소유를 포함한 전체 주택 압류 건수는 3만881건이었다.   지난 4월에 비해서는 1% 증가에 불과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185% 급증한 규모다.   지난해 5월 전체 압류 건수는 1만821건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고 2020년 5월은 8767건을 기록, 2005년 4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소였다. 애텀의 릭 샤가 수석 부회장은 “주택 압류는 느리지만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팬데믹 이전 정상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팬데믹 이후 정부 지원으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던 기간은 끝났다”고 말했다.   지난달은 압류 절차를 개시한 사전 압류가 2만2099건으로 전년 대비 274% 크게 늘었다. 최대는 플로리다로 2483건이고 뒤이어 캘리포니아 2238건, 텍사스 2019건, 일리노이 1757건, 오하이오 1285건 등이었다.     또 지난달 압류를 완료한 경우는 전국 2857건으로 117% 증가율을 기록했다. 샤가 부회장은 “압류 완료보다 압류 개시가 10배 가까이 많은 것은 이례적”이라며 “홈오너들이 집을 잃는 최악의 상황을 피할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가주주택금융국(CalHFA)은 팬데믹 기간 중 모기지를 연체한 홈오너에게 최대 8만 달러를 그랜트로 지급하는 프로그램(www.CAMortgageRelief.org)의 신청 자격을 완화하며 지원 확대에 나섰다. 〈본지 6월 15일자 미주 5면 참조〉   샤가 부회장은 “다만 돌발변수는 최근 급격히 악화하는 인플레이션으로 압류 규모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위협하며 빠르게 늘어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류정일 기자주택 압류 주택 압류 압류 개시가 압류 규모

2022.06.15. 20:14

늘어나는 주택 압류…1년새 139% 급증

지난 1월 전국의 주택 압류 규모가 팬데믹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계절적인 요인도 있지만 홈오너 보호 대책이 종료된 까닭에 올해 증가세는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어바인에 본부를 둔 부동산 정보분석 업체 ‘애텀 데이터 솔루션스’는 디폴트 통보, 경매 일정 고지, 은행 압류 등 지난달 전국적인 압류 규모가 2만3204건으로 지난해 12월보다 29% 늘었다고 최근 밝혔다.   애텀 데이터의 릭 샤가 수석 부사장은 “압류는 통상 11~12월 할러데이 시즌에 줄었다가 이듬해 초에 늘어나는 특성이 있다”며 “다만 올해는 지난해 말로 연방 정부의 각종 압류 규제 조치가 종료된 뒤라 전년 대비 139%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압류가 완료된 경우는 4784건으로 전월 대비 57%, 전년 대비 235% 급증했다.   7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주별로는 미시간 622%, 조지아 163%, 텍사스 98%, 테네시 50%, 앨라배마 44%를 기록했다. 인구 20만명 이상 도시 중에는 디트로이트 1013건, 시카고 210건, 뉴욕 129건, 마이애미 113건, 필라델피아 107건 등이 상위권이었다.   압류 개시도 33개 주에서 증가세를 보이며 총 1만1854건으로 집계돼 전월 대비 29%, 전년 대비 126% 증가했다.   주별로는 플로리다 1238건, 캘리포니아 1226건, 텍사스 1003건, 일리노이 757건, 오하이오 665건 등이었다. 인구 20만명 이상 도시 중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곳은 미니애폴리스 300%, 디트로이트 298%, 샌앤토니오 291%, 플로리다주 잭슨빌 259%, 마이애미 242% 등으로 나타났다.   샤가 부사장은 “지난달 주택 압류는 팬데믹 이전인 2020년 1월의 절반이 안 됐고 올해 연말까지도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못 미칠 것”이라며 “그래도 지난 2년간과는 다르게 올해는 매달 압류 규모가 늘어나 주택시장의 기류가 달라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정일 기자주택 압류 주택 압류 압류 규모 압류 개시도

2022.02.13. 17:3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