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지난 연방 선거 보도, 역대 최악

  캐나다 유권자 10명 중 6명은 지난 4월 연방총선 당시 지역 후보자나 지역 현안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타의 뉴스 차단 조치와 지역 언론의 붕괴가 겹치면서, 현대 캐나다 정치사상 가장 보도가 부실했던 선거였다는 분석으로 이어진다.   여론조사 기관 입소스(Ipsos)가 7월 11일부터 21일까지 1,000명의 캐나다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7%는 “정보가 부족했거나 더 많은 정보가 필요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0%는 지역 뉴스가 더 활발하게 보도됐다면 보다 나은 판단을 내릴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소셜미디어, 정보 부족의 주된 대체재 흥미롭게도 정보 획득 경로로는 SNS가 상위를 차지했다. 특히 14%는 뉴스 콘텐츠가 차단된 페이스북을 여전히 주요 정보원으로 꼽았고, 틱톡•레딧•인스타그램 등 다른 플랫폼도 15%가 이용했다. 전국 언론은 46%, 지인과의 대화(구전)는 35%로 뒤를 이었다.   “역대 최악의 선거 보도 상황” 이번 조사는 공공정책포럼(Public Policy Forum•PPF)이 선거 보도 접근성과 민주주의 질을 주제로 진행한 연구의 일환이다. 보고서에는 전 토론토스타 칼럼니스트 팀 하퍼와 전 맥클린스 편집장 앨리슨 언클스 등이 공동 집필자로 참여했다.   보고서는 “지방 언론이 무너진 가운데 후보들은 SNS를 통해 직접 메시지를 전달했지만, 지역 기자들의 검증과 필터링을 거치지 않아 정보의 질이 현저히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또한, 연방정부가 2023년부터 뉴스 콘텐츠 사용료 지불을 의무화하자 메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뉴스 제공을 중단했고, 그 여파로 이번 선거의 정보 공백은 더욱 심화됐다.   국정 중심 선거, ‘트럼프 변수’ 영향도 입소스의 부대표 숀 심프슨은 “국민들은 지역 후보에 대한 신뢰할 정보에 굶주려 있었다”며, 선거가 사실상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와 마크 카니 중 누가 미국 트럼프 대통령에 맞설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졌었다고 설명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선거 역대 역대 최악 이번 선거 선거 보도

2025.08.07. 8:42

썸네일

뉴욕시 교통체증 역대 최악 수준

뉴욕시의 교통체증이 역대 최악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브래드 호일만(민주·47선거구) 뉴욕주 상원의원·샘 슈와츠 전 뉴욕시 교통국장이 ‘뉴욕시 교통 혼잡 및 응급 대응 시간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교통 분석 회사 인릭스(Inrix)·데이터 분석 회사 스트리트라이트(Streetlight)가 각각 연구한 ‘글로벌 교통 현황’·‘1억 마일 주행 거리(VMT)당 빚어진 교통 혼잡 현황’ 분석 결과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시내 운전자가 교통체증에 허비한 시간은 지난해 총 101시간으로 10개국중 1위였다.   특히 지난 5년간 시내 교통 체증이 전국 25개 도시중 가장 많이 악화된 데 따라, 혼잡도와 VMT의 증가 모두 양의 곡선을 그려 타 도시 대비 극심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사한 도시로는 댈러스, 필라델피아, 마이애미 등이 등장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혼잡도와 VMT 모두 낮은 수치를 보였다.   맨해튼 교통 상황도 악화했다.   시 교통국과 택시 GPS TPEP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맨해튼 미드타운의 교통 속도가 2011년(6.2mph) 이후 팬데믹 기간(2021~2023년)을 제외하곤 꾸준히 하락해 역대 최저치(4.8mph)를 기록했고, 맨해튼 60스트리트 남쪽의 중심상업지구(CBD)의 교통 흐름 역시 2011년(9.0mph) 이후 팬데믹 및 그 영향이 있는 기간(2020~2023년)을 빼곤 악화한 최저치(6.9mph)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지난 7월을 기준으로 2014년 7월 대비 생명에 지장이 갈 만한(Life-threatening) 시 응급의료서비스(EMS) 대응 시간은 과거 9.6분에서 12.4분으로 2.8분 늘었고, 시 소방국(FDNY)의 응급 출동 역시 기존(7.89분) 대비 2.13분 늘어나 10.02분을 기록했다. 시경(NYPD) 주요 범죄 출동 시간도 동기간 과거(3.57분) 대비 1.38분 늘어난 4.95분을 기록했다. 호일만 주 상원의원과 슈와츠 전 국장은 이 같은 지연으로 인해 중범죄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등 시내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심장협회(AHA)와 뇌졸중협회의 발언을 인용, 뉴런 등이 손실돼 분초를 다투는 환자에게 장애 후유증 등의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오는 24~30일 맨해튼 유엔본부서 열리는 제79차 유엔총회와 관련해서는, 시속 3~4마일가량의 속도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체증 뉴욕 뉴욕시 교통국장 역대 최악 뉴욕주 상원의원

2024.09.23. 20:05

8%만 2만불대…새차 구매 여건 최악

3만 달러로 살 수 있는 새차는 고작 8% 밖에 안돼 소비자들의 구입 여건이 역대 최악 수준으로 떨어졌다.     자동차 검색 플랫폼 코파일럿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새차 중 ‘업체권장소매가격(MSRP)’이 3만 달러보다 낮은 자동차는 8%에 불과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38%와 비교하면 무려 30%포인트 급락한 것이다.   팻 라이언 코파일럿 최고경영자(CEO)는 “지금은 새차를 구매하기에 역대 최악의 시기”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의 SUV 선호 경향 ▶첨단 디지털 기기 장착 ▶비싼 옵션 ▶완성차 업체의 저가 모델 축소 등을 새차 가격 급등 요인으로 꼽았다.   즉, 팬데믹 동안 소비자들이 야외 레저 활동을 늘리면서 구매 성향이 세단에서 가격이 더 비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또 터치스크린, 360도 카메라, 각종 센서 등 비싼 부품이 장착된 것도 가격 상승에 일조했다.     특히, 제조업체들은 더 많은 수익을 올릴 목적으로 베이스 모델의 공급을 대폭 줄이고 대신 비싼 옵션이 포함된 모델과 상위 고급 모델을 주력으로 시장에 공급한 것도 새차 가격 인상을 야기했다. 더욱이 저가 모델 공급을 대폭 줄인 것도 새차 가격의 원인 중 하나다.   자동차 비교업체 에드먼즈의 아이번 드루리 이사는 “디자인을 바꿔 새차를 출시할 때마다 차 크기를 소폭 늘리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자동차 값을 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에드먼즈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 5월 신차 평균 매매 가격은 4만7900달러로 팬데믹 이전 시기인 2019년 5월의 3만7000달러 대비 29.5% 비쌌다. 1년 전인 2022년 5월과 비교했을 때도 4만6600달러보다 2.8% 올랐다.   새차 가격의 상승세는 중저가 모델뿐 아니라 시장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2023년 새차 가격이 7만 달러보다 비싼 차량의 비율은 10%나 됐다. 5년 전의 3%와 비교하면 7%포인트나 급증했다.   반대로 저가형 모델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올해 판매된 신차 중 가격이 2만 달러보다 낮은 차의 비중은 0.3%였다. 2018년 2만 달러 미만 차량이 전체 판매 차량의 8%였던 것과 비교하면 급감한 것이다.     지난 5월 기준 MSRP가 2만 달러 미만인 모델은 기아 리오, 닛산 버사, 미쓰비시 미라지 등 단 3개 모델이었다. 다만 해당 차들도 2019년과 비교했을 때 가격이 각각 두 자릿수 비율로 올랐다.     기아 리오의 2019년형 가격은 1만5390달러에서 2023년형 1만7875달러로 16.2%, 닛산 버사는 1만2360달러에서 1만6925달러로 36.9%, 미쓰비시 미라지는 1만3795달러에서 1만7340달러로 25.7% 올랐다.   이에 전문가들은 신차 대신 주행거리가 있지만, 가격이 저렴한 중고차를 선택하고, 평균 차량 수명이 우수한 모델을 구매하면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신차 역대 역대 최악 자동차 모델 자동차 시장

2023.07.05. 20:0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