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영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영국인들은 직설적인 행동과 말이 미덕이라고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의를 지키면서 진심을 직접 드러내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거절할 경우 특히 그렇다. ‘직설적인’ 문화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미국인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표현이 있다. 바로 “생각해볼게요(I‘ll think about it.)”라는 말이다. 얼핏 들으면 아주 합리적으로 들린다. 하지만, 현실의 영어권 문화에서는 이 표현은 거절을 정중히 에둘러 말하는 방식 중 하나다. 영국에서는 이 표현이 일종의 사회생활의 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참석하고 싶지 않은 파티 초대를 받거나 마음이 내키지 않는 제안을 받았을 때, “I’ll think about it.”이라고 말하면 부드럽게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완벽한 출구가 된다. 상대방의 기분을 해치지 않으면서, 불쾌한 분위기도 만들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 거절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절묘한 표현인 것이다. 직접적으로 거절하는 어색함을 피해 예의를 지키면서 정중하게 거절하는 기술인 셈이다. 미국에서도 이 표현은 비슷하게 쓰인다. 다만, 어투나 분위기에 따라 뉘앙스가 조금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누군가 새로운 프로젝트나 아이디어를 제안했을 때, 상사가 “생각해볼게(Let me think about it.)”라고 말한다면 상사의 성향이나 상황에 따라 “흥미롭군, 좀 더 논의해보자 (Interesting, let‘s explore it further.)”는 의미일 수도 있고, “아닌 것 같아. 하지만 다른 팀원들 앞에서 당신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당신 의욕에 찬물을 끼얹고 싶진 않아 (No, but I don’t want to hurt your feelings or kill your enthusiasm in front of the team.)”일 수도 있다. 핵심은 바로 말을 전달하는 방식에 있다. 짧은 침묵, 구체적인 후속 질문, 진지한 말투가 동반된다면 실제로 생각을 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말끝을 흐리거나 그 이후 아무 말도 없다면 그것은 거절일 가능성이 크다. 영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흔히 “I‘ll think about it.”을 말 그대로 고민하는 상황으로 받아들이기 쉽다.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실제 영어 원어민의 일상 대화에서는 의미가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많다. 누군가가 “I’ll think about it.”이라고 말한 뒤 다시는 같은 주제를 언급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실제로 그 주제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당신이 눈치껏 포기해주기를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짐 불리 / 코리아중앙데일리 에디터네이티브 잉글리시 정중 거절 거절일 가능성 정도 거절 영어권 문화
2025.06.09. 21:44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저서 ‘호모 데우스’에서 이미 경고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의사 결정이 알고리즘에 의해 좌우되는 시대, 디지털 전환을 넘어 인공지능(AI)이 현실을 지배하는 미래가 도래할 것이라고. 그의 예견은 이미 우리 곁에 현실로 다가왔다. 필자는 매년 여름, 한국의 교육 현장으로 향한다. AI가 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을 주제로 강연을 이어온 지도 여러 해다. 다음 달에도 다섯 차례의 특강이 예정돼 있다. ‘AI와 영어 독서’, ‘AI와 영어 작문’, ‘AI 시대의 질문법’ 등, 교육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AI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우리의 준비 자세에 대한 고민과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놀랍게도 참석자들의 반응은 매번 뜨겁다. 이는 AI와의 공존이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과제임을 방증하며, 필자에게도 끊임없는 배움과 성찰의 동기를 부여한다. ‘AI 시대,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필자가 가장 먼저 강조하는 것은 ‘질문의 힘’, 특히 ‘수준 높은 질문 전략’이다. 대화형 AI인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바로 양질의 질문 능력이다. AI는 질문의 수준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물을 내놓기 때문이다. 단순 사실과 개념 암기는 AI의 몫이 된 지 오래다. 이제 교육의 무게중심은 시험 성적이나 지식 전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인성, 고등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으로 옮겨가야 한다. 암기식 주입 교육, 정답 맞히기식 평가는 AI 시대의 생존법이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떤 질문이 좋은 질문인가? 풍부한 독서, 역사와 사회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할 때 비로소 AI에게 구체적이고 다층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현재 챗GPT 언어 데이터의 92%가 영어라는 사실이다. 자동 번역 앱의 편리함 이면에는 영어권 문화와 그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머신러닝의 기반이 영어 데이터인 이상,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고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미래 사회의 핵심 경쟁력이 될 수밖에 없다. 영어 자체뿐 아니라 그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챗GPT를 향한 질문의 깊이는 얕을 수밖에 없다. 인문학, 예술, 철학, 수학, 과학, 윤리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적으로 탐구하며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토론을 통해 함께 배우는 ‘소크라테스식 세미나’나 유대인의 토론 학습법 ‘하브루타(Havruta)’처럼 학생 중심의 효과적인 소통(Communication)과 동료들과의 가치 있는 협력(Collaboration)을 통해 창의력(Creativity)과 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을 길러내는 교육, 이것이 AI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의 본질이다. AI 교육의 방향 설정에 참고할 만한 저서 몇 권을 소개한다. ‘AI 시대와 인류의 미래(The Age of AI and Our Human Future·에릭 슈밋 외)’, ‘디지털 세대 교육(Teaching Digital Natives·마크 프렌스키)’, ‘IQ. EQ. DQ: AI 시대의 새로운 지능(IQ. EQ. DQ New Intelligence in the AI Age·박유현)’ 등이다. 이 책들이 미래 교육을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작은 등대가 되길 바란다. 수지 오 / 교육학 박사·교육컨설턴트오픈 업 영어권 문화 영어 독서 영어 작문
2025.06.02.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