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몇 년 전에 좋은 아이디어로 창업을 한 회사로 옮겼습니다. 처음 연봉은 적었지만, 스톡 옵션(stock option)을 받는 조건으로 엔지니어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회사는 빠르게 성장했고 주식시장에 상장까지 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주가는 많이 올랐습니다. 스톡 옵션 덕분에 저도 많은 자산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몇 개월 동안 주식시장 침체로 회사 주가는 많이 하락했고 제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 금융자산도 줄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면서 세금 문제 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A. 일반적으로 ESO(Employee Stock Option)는 처음 받을 때는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하지만 회사가 직원에게 제공하는 주식 관련 혜택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관련 세금 규정도 까다롭게 적용된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벤처 기업들은 연봉은 적은 대신 직원들에게 스톡 옵션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의 미래를 보고 일하라는 의미죠. 이후 회사가 성장해 주식시장에 상장을 하고 주식 가격이 오르면 직원들도 보유하고 있던 스톡 옵션을 행사해서 많은 자본 소득을 올릴 수가 있습니다. 직원 입장에서는 회사의 주식을 계속 보유하거나, 매매를 통해 현금화 한 후 다른 자산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주식시장 호조 덕에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벤처 기업들이 상장을 통해 좋은 실적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4분기 이후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큰 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질문하신 분처럼 상장한지 얼마 되지 않은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가치가 많이 하락한 경우에는 자산 재평가와 함께 전략도 재정비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최저 수준의 이자율 등의 영향으로 주식시장에 자본이 몰리면서 당시 IPO(기업공개)를 한 기업들은 아주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이 하락하면서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특히 상장 기간이 오래지 않은 회사의 주가가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이들 회사의 스톡 옵션을 많이 갖고 있는 직원들은 큰 손실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또 높았던 주가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낮은 가격에 처분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도 클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주가와 관련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매각할지 계속 보유할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에는 본인의 다른 자산 보유 상황, 회사의 재무상태, 성장 잠재력, 현금 보유, 가능한 추가 투자 자금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지금까지 IPO를 한 기업이 어떻게 주가를 유지했는지에 관한 냉정한 분석도 필요합니다. 주식시장에 처음 진입한 기업 가운데 35%만이 5년 이상 거래가 된다는 통계가 있으며, 급락한 회사의 주식은 반등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기 때문입니다. 상장 기업의 창업자나 스톡 옵션을 받은 직원들은 주가 급락으로 자산의 가치가 많이 줄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처음에 주식을 아주 싼가격에 매입했기 때문에 서류상으로는 투자소득이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매각 후 투자 수익으로 계획하지 않았던 추가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주식으로 재투자를 한다고 해도, 처분한 거래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capital gain tax)가 부과 됩니다. 혹시, 다른 자산의 매각으로 손실이 발생했다면 수익을 상쇄할 수는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전략을 변경할 때, 절세를 위해서는 관련 세금에 대해서 전문가와 상담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투자 소득과 손실, 또한 일반 소득에 대해서 적용되는 세법이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문의:(213)383-9665 새라 김/회계사세법 상식 스톡 옵션 스톡 옵션 주식시장 호조 이후 주식시장
2022.07.26. 21:13
통상적으로 증권투자를 한다고 하면 대부분은 주식 투자를 하는구나라고 짐작하지만 증권회사에 계좌를 열면 투자할 수 있는 대상이 주식 외 여러가지가 있다. 상장되어 있는 기업의 지분을 매입해서 해당 주식의 주가가 오르면서 수익을 내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증권투자다. 하지만 증권 회사에서 제공하는 투자처는 주식 외에도 주식처럼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사고 팔수 있는 ETF(Exchange Traded Fund), 많은 투자자들이 은퇴 계좌나 보험상품에서 익숙한 뮤추얼펀드(Mutual Fund), 금, 오일 등 선물에 연계되 있는 ETF, 국채, 회사채 등 각종 채권, 다수의 은행에서 제공하는 CD(Certificate of Deposit) 도 있다. 여기서 ETF와 뮤추얼펀드는 구조적으로는 매우 비슷하지만 결정적으로 ETF는 장중, 뮤추얼펀드는 종가 기준으로 거래되는 것이 다른 점이다. 선물에 연계돼 있는 ETF도 금이나 오일 같은 선물 상품의 등락을 예측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증권 계좌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개별 주식이나 지수연계 ETF(Index ETF) 다음으로 최근 개인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는 옵션(Option) 거래인 것으로 보인다. 주식에 연계돼 있는 파생 상품인 옵션은 고난도 투자상품인데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2020년 대비 35% 증가하며 2121년 하루 평균 거래량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옵션 거래 중 개인 투자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나 된다고 하니 우려되는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옵션은 크게 해당 주식을 살수있는 권리(contract)인 콜 옵션(Call Option)과 팔 수 있는 권리인 풋 옵션(Put Option)으로 분류되는데 거래량은 컨트랙트(contract)라 불리며 컨트랙트 하나당 주식 100주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옵션을 잘 이용하면 훌륭한 헤징(hedging) 역할을 할 수 있으나 많은 투자자들은 헤징보다는 투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옵션 투자는 이해하기가 어려워 직접 예를 들어가며 설명을 해야 하지만 제일 중요한 점은 바른 이해 없이 거래하는 것은 도박이나 다름이 없다는 것이다. 이런 높은 위험도 때문에 증권 계좌를 통한 거래도 증권회사로부터 추가 허락이 있어야 가능하며 대부분의 증권 회사는 투자자의 투자경험, 재정상태, 위험 부담 능력 등을 검토하고 난 다음에야 옵션투자를 허가해 준다. 온라인 증권사 로빈후드가 7000만 달러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 당한 이유 중에는 투자자의 옵션 거래 허가에 대한 관리미비에 있는 것처럼 옵션 거래는 고난도, 고위험도 투자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만약 옵션 투자를 하고 싶다면 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싶다. 증권 시장에는 다른 투자처도 얼마든지 있기때문이다. ▶문의: (213)221-4090 김세주 / Kadence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옵션 거래 옵션 거래 증권 거래소 옵션 투자
2022.01.05.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