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삶과 믿음]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도 알게 하소서

아이티 대지진이 일어난 지 2년쯤 되었을 때, 우리가 하던 고아 구호 사역이 뉴욕중앙일보 1면에 크게 실린 적이 있었다. 기사 제목은 ‘아이티 고아의 아버지.’ 부끄럽기도 했지만, 그 보도를 통해 많은 후원이 이어졌고, 새로운 분들이 아이티 고아들에게 관심을 두고 마음을 모아주는 계기가 되었다.   기사를 읽은 한 젊은 성도가 농담처럼 말했다. “목사님은 천국 가셔서 상급이 없으시겠어요. 이미 여기서 칭찬을 많이 받으셨으니까요.” 나는 웃으며 이렇게 답했다. “아이들만 넉넉히 먹일 수만 있다면 사거리에서 춤이라도 출 수 있지. 아이들이 배불리 먹을 수 있다면, 내가 칭찬을 미리 받아서 천국에서 상 못 받는다는 건 괜찮아.” 그 말은 내 진심이었다.   우리 사역의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개인에게 직접 후원을 요청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이티 소식은 후원자들에게 단체 이메일로만 전한다. 고아원 형편과 고아들에게 필요한 일들을 알릴 뿐, 개인적으로 도움을 청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이메일 수신자 역시 사역과 인연이 있거나 아이티 소식을 알고자 요청하는 분들에게 한정된다. 교회를 방문해 설교하거나 사역을 소개하고 선교 보고할 때도 마찬가지로 개인적 후원 요청은 하지 않는다.   우리는 어느 개인에게 도움을 청하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한다. 그러다가 누군가 우리 사역을 알게 되고 마음에 감동하여 후원의 손길을 내밀면, 그것이 성령의 인도하심이라고 믿고 감사드린다. 지난 17년간 우리의 사역은 그렇게 이어져 왔다. 그래서 우리는 분명히 안다. 아이티 고아들을 먹이고 가르치는 일은 결국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이며, 우리는 그저 심부름꾼에 불과하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하던 분이 후원 의사를 전해오거나, 기도하던 만큼의 필요가 정확히 채워질 때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일하심을 경이롭게 경험한다. 하나님의 선하심에는 조금도 오차가 없음을 새삼 깨닫게 된다. 하나님은 사람을 통해 일하시지만, 동시에 그것이 결코 사람의 힘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이루어지는 것임을 우리는 늘 확인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하는 일이 알려지는 것을 꺼리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많은 이들이 지금 아이티가 겪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제대로 알고, 그 안에서 자라야 하는 고아들의 삶을 기억해주기를 바란다. 그래서 우리는 제한된 이메일로만 소식을 전하면서도, 이 사역이 더 널리 알려지고, 더 많은 이들이 고아들에게 긍휼의 마음을 품게 되기를 소망한다.   예수님께서는 “너는 자선을 베풀 때는,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여, 네 자선 행위를 숨겨두어라.”(마태복음 6:3~4상)라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은 단순히 ‘남몰래 좋은 일을 하라’는 수준을 넘어선다. 나 자신조차 선을 베푼 일을 자랑스럽거나 뿌듯하게 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 앞에서만 선을 행하는 깊은 영적 태도를 가리킨다.   이 말씀 때문에 성도는 남모르게 선을 행해야 한다는 강박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우리가 하는 일이 널리 알려져서, 아이티 고아들이 처한 현실에 많은 사람이 관심을 두게 되길 바라고 있다. 고아들이 지옥 같은 환경에서도 믿음을 잃지 않고 올바르게 자라도록 끊임없이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하며 기도하고 있다.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도 알아서, 아이티 고아들에게 풍성한 하나님의 사랑을 더 많이 전할 수 있다면 예수님께서도 나무라지 않으시리라고 믿기 때문이다. 조 헨리 / 선교사·더 코너 인터내셔널 대표삶과 믿음 오른손 왼손 아이티 고아들 아이티 소식 고아원 형편과

2025.09.28. 17:01

[골프칼럼] <2362> 왼손 엄지를 주시하면 구질이 보인다

왼손의 그립은 장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악력은 어린아이의 손을 이끌어줄 때의 힘이면 최상이다.     상투적인 표현이긴 하지만 제대로 잡은 그립이야말로 좋은 샷을 만들 뿐 아니라 올바른 스윙궤도, 장타는 물론 구질을 결정하는 골프의 비밀까지 간직하고 있다. 골프 관련 교습서와 유튜브 등에서도 그립(grip) 방법에 대한 설명은 빠지지 않는다. 가르치는 프로들 역시 그립을 강조한다.   그러나 손가락 하나의 잘못된 위치로 전체 스윙 궤도가 변형되고 흐름이 바뀐다는 것을 강조하지 않는다.  스윙중 그립으로부터 발생하는 오류가 스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말할 나위 없지만 이것으로 인해 나쁜 습관이 몸에 배면 시간이 흐를수록 교정이 어려워진다.   그립은 침대와 같아 조금만 변형돼도 어색하고 불편한 것은 물론 스윙이 바뀜에 따라 비거리가 현저히 줄어드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스윙이 사람마다 다른 이유는 체질이나 체형 문제도 있지만 이보다는 개인마다 그립 방법에 차이가 있어 스윙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골퍼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이상한 형태의 그립도 수없이 많아 이들 모두가 그립의 희생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립을 했을 때 왼손 엄지 길이의 길고 짧음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엄지 길이를 길게 빼거나 짧게 빼내는 것의 차이에 따라 훅이나 슬라이스가 발생한다는 것을 대다수가 모르고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왼손 엄지를 짧게 당겨 쥐면 훅이나 드로(draw) 구질이 많고 길게 빼내어 쥐면 슬라이스 유형의 구질이 주로 발생한다. 특히 그립을 쥘 때 왼손 엄지가 그립을 강하게 쥐면 백스윙 때 손목꺾기(wrist cocking)의 어려움이 겪게 된다. 따라서 그립은 왼손의 검지(index finger)마디부터 시작하여 장지, 약지, 새끼손가락과 백팜(back palm), 즉 손날의 두툼한 턱에 걸리도록 잡은 후 마지막으로 왼손의 엄지를 그립에 대고 오른손이 덮어야 한다.   이와 함께 장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중심으로 그립을 쥐지만 그 힘, 즉 그립의 악력(grip pressure)이 강하거나 약하지 않게, 아동의 손을 이끌어줄 때의 힘이면 최상의 그립이다.   그리고 오른손과 함께 그립을 쥔 후 클럽 헤드의 무게를 오른손으로 느끼기보다는 왼손에 의해 무게를 감지하고 클럽을 치켜들었을 때 묵직한 느낌과 그 무게를 스윙에 이용해야 장타와 정확성이 생겨난다.   특히 왼손의 엄지는 그립을 누르거나 조이는 것이 아니라 살며시 그립에 붙이는 느낌이면 충분하고 그립의 중앙보다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 쥐어야 한다.   이후 오른손바닥, 즉 엄지의 뿌리부위의 근육(관절)이 왼손의 엄지를 살포시 눌러 그립을 완성해야 한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왼손 엄지 왼손 엄지 그립 방법 엄지 길이

2025.02.27. 19:24

썸네일

[문화산책] 왼손 피아니스트의 인간 승리

장애를 극복하고 우뚝 선 예술가의 인간승리는 지친 우리를 감동으로 일으켜준다. 특히 음악가들이 그렇다. 그들이 빚어내는 속 깊은 음악도 그렇고, 그 인생에 배어있는 불굴의 의지도 그러하다.   바이올리니스트 이츠하크 펄만,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츠지이 노부유키 등등…. 그들을 보고 들으면 절망 속에서도 털고 일어날 힘이 솟는다.   피아니스트 레온 플라이셔(Leon Fleisher, 1928-2020)도 그런 멋진 인간승리의 표본이다. 최전성기에 갑자기 오른손을 못 쓰게 된 피아니스트, 그 혹독한 시련을 끝내 이겨낸 인간 드라마는 나를 울린다.   레온 플라이셔는 동유럽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이민 온 가난한 유태인의 아들로 태어나 4세 때 피아노를 시작, 8세 때 이미 대중 앞에서 연주 활동을 시작했다. 16세 때 뉴욕 필과 협연했고, 세계적 권위의 퀸 엘리자베스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신동으로 화려한 조명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당대의 거장 아르투르 슈나벨의 제자가 되어, 이른바 베토벤 악파의 계승자가 되었다. 이후 세계적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세계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중, 37세에 갑자기 근육긴장이상증으로 오른쪽 손가락이 마비되는 불행을 겪었다. 그러나 불굴의 의지로 35년 동안 왼손만으로 연주 활동을 하며, ‘왼손을 위한 협주곡’ 등 왼손만으로 연주할 수 있는 레퍼토리를 적극적으로 개발했다.   또한, 지휘자로 활동했고, 존경받는 교육자로 많은 세계적 피아니스트를 길러냈다. 그리고 끈질긴 치료 노력과 의학의 발달로 2004년 기적적으로 오른손을 회복, 양손 연주를 시작했다.   이렇게 적어놓으니 마치 이력서 같아서 큰 느낌이 없을지 모르겠지만, 피아니스트에게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오른손 마비가 시작된 후 펼쳐졌을 엄청난 시련과 극복의 인간 드라마는 감동적이다. 연주 경력 절정기에 찾아온 혹독한 시련을 이겨낸 인간 승리에 대해 레온은 “난 두 손을 모두 써서 연주했을 때만큼 한 손으로도 음악과 내가 연결된 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라고 말했다.   “2년 동안 나는 자포자기하고 절망했지요. 그런데 어느 날 아침 눈을 뜨는데 불현듯 하나의 생각이 나를 깨웠지요. 음악과의 관계란 나와 음악과의 관계이지 피아노 연주자로서 만의 관계가 아니다는 새로운 인식은 모든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낙담하고 어둠에 싸이고 희망을 잃기는 아주 쉬워요. 그러나, 다음 날 아침, 새로운 가능성의 세계를 가지고 잠을 깰 수 있어요. 그 가능성을 절대 저버리지 마십시오. 그 가능성에 마음을 열어 놓고 항상 찾으십시오.”   양손 연주가 가능해진 감격으로 2004년 출시한 음반의 제목은 ‘양손(Two Hands)’이다. 매우 상징적이고 감동적이다. 무려 40여년간의 투병을 통해, 고희를 넘어 되찾은 두 팔로 온전하게 연주했다는 감격이 얼마나 컸으면 이런 타이틀을 달았을까. 이 음반은 클래식 음반으로는 드물게 10만장 이상 판매됐고 뉴욕타임스의 베스트 음반에 선정됐다. 그리고 수익금 전액은 같은 병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기부되었다.   인간성 상실의 시대, 인간 승리와 존엄을 증명해준 피아니스트 레온 플라이셔, 인류를 온정과 용기로 위로한 숭고함을 생각하며 그의 연주를 듣는다.   물론, 레온 플라이셔를 가장 뛰어난 피아니스트라고 할 수는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불굴의 의지는 인간적으로 충분히 감동적이고, 그런 강인함은 음악에도 스며있을 것이다. 결국 예술은 사람이 하는 것이고, 그래서 예술가와 작품을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피아니스트 왼손 왼손 피아니스트 피아니스트 레온 세계적 피아니스트

2023.06.15. 18:4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