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병의 손은 따뜻했다. 한국에서 한번 찾아뵙겠단 말에 주름이 활짝 펴졌다. 열여섯살 어린 나이에 광복군에 합류했던 오성규 애국지사는 평생 일본에 머물다 백세가 되어서야 한국행을 택했다. “여생을 한국에서 보내고 싶다”는 아버지의 바람. 머리가 희끗희끗한 아들은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지난 11일 도쿄 네리마구 한 임대주택. 오 지사의 아들은 푹 고개를 숙인 채 아버지를 한국으로 모시러 온 보훈부 장관의 대화를 들었다.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그가 알아듣진 못했겠지만, 그는 무릎을 꿇은채 30여분을 꼼짝하지 않았다. 이젠 한국에 가서야 만날 수 있는 아버지. 자식으로, 애달픈 일일 수 있었지만, 그는 “아버지가 원하는 일”이라며 애써 복잡한 감정을 감췄다. #“기적 같은 일이었다니까요? 세상에, 휠체어를 탄 할아버지가 벌떡 일어선 거예요!” 수화기 너머로 흥분한 목소리가 쩌렁쩌렁 울렸다. 일본 오사카에 있는 재일동포 어르신을 위한 요양시설 ‘산보람’ 고경일 대표 얘기다. 휠체어가 없으면 거동이 어려운 재일동포 1세 어르신이 장구 반주에 나오는 우리 민요를 듣자 그만, 벌떡 일어났단 얘기다. 그는 “이게 민족의 피인가란 생각을 했다”고 했다. 고 대표가 소위 ‘자이니치’로 불리는 동포 어르신을 위해 요양시설을 만든 건 1990년대의 일. 일본 정부가 우리로 치면 요양보험제도를 도입했지만, 정작 가난한 자이니치 어르신들이 갈 곳은 없었다. 일제강점기 때 여러 사연을 안고 일본으로 넘어와, 차별과 가난을 딛고 살다 고독사한 1세 이야기가 그를 움직였다. 마지막 순간만큼 살아온 보람이 있도록 모시고 싶은 마음에 ‘산보람’이란 이름을 붙였다. 이곳에 머무는 자이니치 어르신들은 45명. 이 중 절반이 자이니치 1세대로 초고령이다. 아리랑을 부르고, 김치를 담그는 이곳 운영은 쉽지 않은 상태다. 코로나19 여파에다 이용자들의 형편이 좋지 않아서다. 일본의 빠른 고령화를 이야기하면서도 우리는 일본 사회 속 비주류로, 일제강점기 때 끌려오듯 넘어와 한국어와 김치로 마지막을 맞고 싶어하는 자이니치 고령자들의 이야기는 쉽게 눈치채지 못한다. 주일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일본에 있는 재외국민은 약 48만 명. 이 중 100세 이상의 초고령자는 올해 기준 42명이다. 이들이 어떤 마지막을 보낼 수 있도록 할 것인지, 또 이들의 바람은 무엇인지 이젠 귀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김현예 / 한국 중앙일보 도쿄 특파원글로벌 아이 요양시설 광복군 오사카 요양시설 재일동포 어르신 재일 광복군
2023.08.22. 21:03
한인 운영 시니어 요양시설에서 한인 2명이 피살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LA 동쪽 다이아몬드바 지역에 있는 ‘해피 홈케어’라는 곳에서 지난 24일 각각 70대와 80대인 한인 여성 2명이 숨진 채 발견된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범인은 이 요양시설의 직원인 40대 중국계 남성으로 밝혀졌다. 그는 2건의 살인혐의로 기소됐다. 그런데 아직 정확한 범행 동기가 밝혀지지 않고 있어 의구심을 낳고 있다. 이번 사건은 저항 능력이 없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충격이다. 더구나 희생자들은 혼자서는 일상생활조차 힘든 상황이었다. 이런 분들이 어이없게도 평소 믿고 의지하던 요양시설 직원에게 희생된 것이다. 수사 당국은 신속하게 범행 동기를 밝혀야 한다. 그래야만 범인에게 어떤 개인적 의도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해당 요양시설에 운영상 문제가 있었던 것인지 파악이 가능해진다. 사건이 발생한 요양시설은 이미 ‘의료 서비스 미흡’, ‘시설 불량’ 등의 지적을 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방문객 면회 제한, 소지품 관리 소홀 등의 불만도 제기됐었다. 평소 운영 상태가 완벽하지 않았다는 점을 방증한다. 사건 발생 후 담당 기관인 가주 사회복지국(DPSS)이 정확한 실태조사에 나섰다고 하니 결과를 지켜볼 일이다. 시니어 인구가 늘면서 양로호텔·너싱홈 등의 요양시설이 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문제로 혼자 생활이 힘든 시니어들에게 필요한 시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설 증가에 비해 행정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다 보니 운영실태 등의 점검이 미흡한 게 현실이다. 또 영리에만 집착해 부실하게 운영하다 문제가 드러나는 사례도 잦다. 관계 당국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시니어 요양시설 전반에 대한 대대적 점검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제2, 제3의 ‘해피 홈케어 사건’을 예방하는 방법이다.사설 요양시설 점검 시니어 요양시설 요양시설 직원 해당 요양시설
2023.06.28. 18:02
팬데믹 기간 코로나 감염으로 인해 숨진 노인들의 사망과 관련, LA지역 요양 시설 관계자들이 기소됐다. LA카운티 검찰은 14일 “어바인 지역 실버라도 시니어 리빙 매니지먼트사의 매니저 3명을 기소한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이 매니지먼트사가 운영하는 LA지역 실버라도 베벌리 플레이스 메모리 케어 커뮤니티에서는 지난 2020년 거주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를 따르지 않았고 이로 인해 총 14명이 코로나에 감염돼 사망했다. 조지 개스콘 검사장은 “이들은 총 18건의 중범죄 혐의로 기소됐다”며 “이들은 당시 바이러스 검사도 하지 않고 타 지역에서 온 거주자를 입원시켰는데 다음 날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심지어 격리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개스콘 검사장은 “이로 인해 요양 시설 내에서 코로나가 급속도로 확산했고 결국 14명이 사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덧붙였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요양시설 코로나 코로나 사망 직원 기소 코로나 양성
2023.03.14. 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