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용산 이전' 조언 덕에…수월했던 윤 대통령 체포?

 대통령 용산 대통령 체포 용산 이전

2025.01.16. 14:02

썸네일

"워싱턴 추모의벽 이외 풀러턴·용산에도 오류"

워싱턴 DC의 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에 건립된 추모의벽에 전사자 이름 일부가 잘못됐다고 지적한 테드 베이커는 10일 “DC 추모의벽보다 한국의 참전기념비에 있는 오류가 더 심각하다”고 말했다.   한국전쟁 연구자로 ‘한국전 프로젝트(Korean War Project)’라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테드와 할 베이커 형제는 용산전쟁기념관의 한국전 전사자 명비와 플러턴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비도 같은 문제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테드 베이커는 “두 기념비 모두 매우 오래되고 부정확한 미국 국방부 사망자 분석시스템(DCAS) 자료를 사용했다”면서 “국립문서기록관리보관소(NARA)법에 따라 DCAS에 한번 기록되면 수정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는 워싱턴 DC 추모의벽처럼 애초 잘못 기록된 오래된 데이터를 사용하면서 일부 전사자 이름에 오류가 반복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테드 베이커는 용산전쟁기념관에 있는 미군 전사자 이름 가운데 1만9324명이 성이나 이름, 중간이름 등이 잘못된 것으로 추정했다.   할 베이커는 추모의벽에 있는 이름 오류와 관련, “전사자 이름 오류를 수정하고 추모의벽도 고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이들 형제를 인용해 추모의벽에 있는 미군 전사자 이름의 오류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추모의벽 건립을 담당했던 한국전참전용사기념재단(KWVMF)의 제임스 피셔 전 사무총장은 “미국 의회가 정한 한국전 전사라는 법적 기준에 따라 건립됐으며 관련 권한은 국방부가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까지 추모의벽에 포함돼야 하는데 빠졌다는 항의가 온 것은 없다”고 밝혔다.워싱턴 용산 이름 오류 한국전 전사자 한국전쟁 연구자

2023.01.10. 21:39

용산 찾은 첫 사절…바이든 대통령 친서 전달

 대통령 용산 대통령 친서

2022.05.10. 20:42

썸네일

[J네트워크] 용산

 ‘한성부 용산방’(1896년).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행정구역상 첫 이름이다.    1231년 고려를 침공한 몽고는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병참 기지를 용산에 세웠다. 지리적 이점 때문이다. 용산은 한강을 접해 수로를 통해 상륙한 후 남산·북한산을 넘어 고려의 수도인 개경(개성)을 공략하기 유리했다. 1882년 임오군란 진압을 위해 파병 온 청나라 군대와 1910년 시작된 일제강점기 내내 일본군이 주둔한 곳도 용산이다. 1945년 해방 후 2017년까지 미군도 머물렀다.    군사요충지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1970년대 들어 부촌으로 주목받았다. 1961년 군사정권이 들어선 후 당시 육군본부가 있던 한남동 일대가 권력의 중심지로 부상하자 재력가들이 몰렸다. 풍수지리상 최고 명당으로 부르는 배산임수 입지도 이유다. 북한산에서 남산을 거쳐 내려온 땅의 기운이 물(한강)을 만나 흘러가지 못해 복이 넘친다는 것이다.    2007년 서울시가 ‘단군 이래 최대 개발’로 불리던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비 30조원)을 추진한 적도 있다. 66개 빌딩 등을 짓는다는 계획이었는데 보상 문제로 반발하던 철거민이 불에 타 사망하는 참사도 있었다. 결국 개발은 무산됐다.    대통령 집무실이 74년 만에 종로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한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첫 공약 이행이다. 그런데 이전 장소를 바꿔 잡음이 많다.    용산 주민은 곳곳에서 진행 중인 개발 규제 강화와 교통 체증, 잦은 시위로 인한 혼잡을 우려한다. 국방부 이전 과정에서 생길 국가 안보 위협, 집무실 이전 비용이 낭비라는 지적에 무속 논란까지 있다. 풍수지리 때문에 이전 장소를 바꿨다는 것이다. 후보시절 윤 당선인과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가 무속·역술에 의존한다며 도사·스님·법사·무당 등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거론된 탓이다.    고립된 구조의 청와대를 벗어나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의지는 긍정적이다. 다만 임기 시작 전인 50일 안에 이전하겠다고 서두를 필요가 있나 싶다. 일반 가정집도 이사를 하려면 적어도 3개월 전엔 새집을 알아보고 이사 계획을 세운다. 하물며 국가지대사다. 논란과 우려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대비가 우선이다. 그래야 공감과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제왕적 권력을 내려놓기 위한 이전이 ‘밀어붙이기식’ 강행이라면 그 취지가 퇴색한다. 최현주 / 한국 중앙일보 기자J네트워크 용산 집무실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성부 용산방 용산 국방부

2022.03.21. 17:3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