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 단서조차 못잡아...예방대책도 허술 연말을 앞두고 우편물에서 수표를 훔치는 절도행각 수법이 갈수록 정교해 지고 있다. 지난 여름부터 던우디 우체국에서 도난 당한 수표 금액은 모두 50만 달러. 하지만 경찰은 아직까지 절도범에 대한 단서조차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던우디 경찰국 공보실 마이클 치크 경사는 던우디 경찰도 관여하고 있지만 우체국 소속 경찰들이 수사를 맡고 있다고 말했다. 치크 경사에 따르면 수표 도난은 대부분 던우디 빌리지 파크웨이 우체국 밖에 있는 파란색 우체통에서 발생했지만, 일부는 우체국 내부 우편함에서 도난 당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범인들은 훔친 수표의 수취인 이름과 금액을 위조해 현금화 했다. 또 단독 범행보다는 범죄 조직의 소행으로 보이며 제 3자에게 팔기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데이비드 마이몬 조지아주립대(GSU) 교수가 최근 미범죄학회에서 공개한 수법과 동향에 따르면 범인들은 위조한 수표를 마약중독자 등을 동원하거나 ‘다크 웹’같은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하며 수취인은 모기지회사, 교회, 부동산임대업자, 보험회사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수법은 점차 지능화되고 있으며 은행이나 크레딧 유니온 내부 직원과 결탁해 계좌정보와 신용한도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 등을 빼돌렸다고 경찰은 밝혔다. 연방 우정국 감사실에 따르면 2020년~2021년 사이 1년간 우편사기 신고 건수는 4만727건. 이 가운데 753건만 접수됐다. 같은 기간 단순 우편도난 민원은 29만9020 건. 접수 건수는 1090건이다. 자기 관할구역 안에서 벌어진 사안이거나 조치가 가능한 건만 처리하는 실정인 것으로 지적됐다. 린 도이치 던우디 시장은 “대량 도난으로 문제가 된 파란색 우체통이 아직도 남아 있는 걸 보고 경악했다”고 말했다. 범행 수법은 고도화, 대담해 지고 있으나 경찰과 우체국 소속 경찰간 협력체계가 구축돼 있지 않고, 카운티별로 사안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달라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태다. 김지민 기자우체통 우편물 던우디 경찰국 던우디 우체국 대부분 던우디
2022.11.29. 16:04
최근 워싱턴 지역에서 우편함 속에 넣은 체크 편지를 훔친 후 위변조 과정을 거쳐 거액을 인출하는 사기사건이 극성을 부리면서 연방우정국 수사처(USPIS)와 지역경찰이 공조해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특히 부유층 지역의 우체통을 노린 범죄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스티브 로젠(MD 체비체이스 거주)은 연방국세청(IRS) 수신처로 세금 납부 체크를 우체통에 넣었는데, 누군가 1만3천달러를 인출해간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벌목-조경회사에 2500달러 체크를 써서 보냈는데 이번에도 도난을 당했다. 조지아주립대학의 연구결과 메릴랜드에서 작년 10월 24건이 발생했으나 12월에는 98건, 올해 1월에는 432건 등으로 계속 증가했다. 워싱턴D.C.도 작년 10월 12건에서 올해 1월에는 82건으로 급증했다. 범죄 일당은 손톱 매니큐어 제거에 사용하는 네일 폴리시 리무버 화공약품을 이용해 수표 수신자 이름과 금액을 조작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이들은 월마트 등의 체크 캐싱 업체에서 역시 위조한 신분증으로 현금을 인출한다. 메릴랜드 몽고메리 카운티 실버스프링에서는 최근 6개월래 수십여건의 유사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작년 연말부터 개인 주택의 우편함에서 체크 도난사건이 빈발했는데, 최근에는 우정국의 파란색 우체통 안의 체크도 피해를 입고 있다. 당국에서는 “사무실 발송 우편물의 경우에도 파란색 우체통 이용을 자제하고 집배원에게 직접 전달해 달라”고 당부했다. 범죄 일당은 주민 중 상당수가 체크 등 중요한 물품을 보낼 경우 우체국 우편함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알고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주택 우편함의 체크 도난 사건도 빈빌하고 있다. 연방우정국은 관련 범죄 피해를 당할 경우 지역경찰국에 신고하거나 연방우정국 수사처 전화(1-877-876-2455) 혹은 웹사이트(USPIS.gov)에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당국에서는 우편함 체크 절도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 주민들은 자택 메일박스 대신 우정국 우체통을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으나, 우체통마저 안심하기 힘들게 됐다. 또한 자택 메일박스를 이용하더라도 집배원의 픽업 시간에 맞춰서 체크가 든 우편물을 놓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범인들은 야음을 틈타 밤새 방치된 메일박스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우체통 조심 파란색 우체통 우정국 우체통 연방우정국 수사처
2022.05.03. 1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