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프로포지션 50<선거구 획정안>, 절반은 아직 ‘표심 미정’

내달 4일 치러지는 가주 연방 하원 선거구 획정(프로포지션 50) 주민투표는 아직 표심을 정하지 못한 유권자를 얼마나 설득하느냐가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민주당이 지지하는 찬성 여론이 우세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유권자 절반 가까이가 여전히 입장을 정하지 못한 상태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비영리 언론재단 캘매터스는 21일 쿡 폴리티컬 리포트가 이달 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조사에 따르면 가주 등록 유권자 917명 가운데 32%는 선거구 획정안에 찬성한다고 답했고, 19%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 반면 입장을 유보한 유권자는 전체의 49%에 달했다. 이들을 세부적으로 보면 ‘약간 찬성’ 18%, ‘약간 반대’ 16%, ‘미결정’ 15%로 나뉜다.   미결정층의 표심이 어느 쪽으로 향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박빙의 승부로 갈릴 가능성이 높다.   선거 전문가들 역시 약 2주 남은 기간 동안의 ‘설득전’이 이번 주민투표의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내다봤다.   에이미 월터 쿡 리포트 발행인은 “선거구 획정을 반대하는 진영은 지지층 결집뿐 아니라 미결정층과 일부 찬성층까지 설득해야 하는 어려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며 “다만 많은 유권자가 정치인이 직접 선거구를 정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만큼, 반대 진영이 이 점을 부각한다면 판세를 뒤집을 여지도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선거구 획정에 반대하는 공화당 측은 최근 ‘정치인은 선거를 조작할 수 있다(Politicians Can Rig Elections)’는 문구가 담긴 광고를 내보내며 민주당 주도의 재획정 추진에 대한 불신을 자극하고 있다.   제시카 밀란 전 가주 공화당 의장은 “공화당표만으로는 이길 수 없다”며 “무당파와 민주당 내 실망한 유권자에게 ‘정치인에게 권력을 넘기지 말라’는 메시지를 집중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측은 ‘반트럼프 정서’를 전면에 내세워 지지층 결집에 나서고 있다. 노동계와 좌파 성향 단체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에 맞서는 투표”라는 프레임을 내세워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라틴계 유권자를 둘러싼 표심 공략도 치열하다. 라틴계는 가주 전체 유권자의 약 30%를 차지하지만, 최근 조사에서 프로포지션 50에 대한 지지율은 50%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1억 달러 이상이 투입되는 역대급 ‘돈 선거’라는 비판 속에서 민주당은 1000만 달러 이상을 들여 스페인어·영어 이중 언어 광고, 전화 홍보, 지역단체 연계 캠페인 등을 벌이고 있다. 반면 공화당은 선거구 개편으로 민주당이 더 많은 의석을 차지할 경우 경제난과 생활비 부담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맞서고 있다. 김경준 기자 [email protected]주민투표 선거구 유권자 절반 선거구 획정 유권자 설득

2025.10.22. 20:40

썸네일

아시안 유권자 ‘보팅 파워’ 커졌다

뉴욕 연방하원 3선거구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한 주요 원인은 아시안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덕분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1월 대선의 가늠자’로 평가된 이번 보궐선거에서 아시안 커뮤니티 공략 작업이 통했던 만큼, 앞으로 다른 선거에서도 아시안 유권자들의 ‘보팅 파워’가 갈수록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톰 수오지 민주당 후보는 지난 14일 보궐선거에서 53.9%(9만1300여 표) 득표로 마지 필립(공화) 후보(46.1%, 7만8200여 표)를 누르고 당선됐다.   23일 지역 매체 고다미스트(Gothamist)는 “퀸즈 동부와 나소카운티에 걸쳐 있는 연방하원 3선거구에서 아시안 유권자는 전체 유권자의 20% 이상을 차지했고, 이번 선거에서 매우 중요했다”며 아시안 유권자가 수오지 후보가 승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분석했다.   수오지 캠페인은 이번 선거를 앞두고 아시안 유권자들과 소통하는 데 시간과 자원을 투자했다. 팬데믹 이후 발생한 아시안 증오범죄 문제·아시안 밀집지역의 치안 불안·교육·세금 등의 이슈를 두고 아시안 유권자들이 보수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지속적인 소통으로 아시안 유권자들이 보수 후보에게 표를 주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수오지 후보는 선거를 앞두고 한국식 치킨·딤섬·커리 등 아시안 식당을 연이어 찾았고 교회 등에서 열린 행사에도 다수 참여했다. 캠페인에는 아시아태평양계(AAPI) 활동에 초점을 맞춘 두 명의 전담 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을 뒀다. 선거운동 인쇄물과 우편, 문자 메시지도 다국어로 제작했다.     아시안 이민 역사가 오래되면서 갈수록 정치에 관심은 커지는데, 정작 정치인들이 무신경해 이들이 보수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초당파 비영리단체 아시아태평양계투표(APIAVOTE)의 2022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아시안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한 번도 정치 홍보를 위한 연락을 받은 적이 없었다.     실제로 지난해 뉴욕주지사 선거의 아시안 주도 지역구(유권자 절반 이상) 투표결과를 비교한 결과, 2018년 주지사 선거 당시보다 공화당에 대한 지지가 23%포인트 상승했다. 정치활동단체 AAPI빅토리펀드의 린 응우옌 부사장은 “아시안 유권자는 부동표인 경우가 많은 만큼, 일관적인 아시안 커뮤니티 공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유권자 아시안 아시안 유권자들 유권자 절반 아시안 커뮤니티

2024.02.23. 21:5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