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텍사스와 플로리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노스캐롤라이나 등 남부 주로 유입되는 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중개업체 ‘오퍼패드’가 센서스 통계를 바탕으로 2023~2024년 기간 인구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텍사스의 순 유입 인구(유입 인구와 유출 인구의 차이)가 약 56만300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또 타주에서 텍사스로 국내 이주한 사람이 약 8만520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텍사스의 인구는 3100만명 정도로 캘리포니아(3900만명)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다. 플로리다도 유입 인구가 많은 주로 꼽혔다. 플로리다는 작년 46만7000명의 이주자가 순유입되며 전국 2위에 올랐다. 1년 새 인구가 2% 증가했다. 캘리포니아에 순 유입된 인구는 23만2000명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높았지만 미국 내 유출 인구가 23만8500명으로 많았다. 4위는 노스캐롤라이나로 약 16만5000명이 순 유입됐으며, 조지아는 약 11만6000명이 유입되며 전국 7위에 올랐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순 유입 인구는 9만1000명(전국 10위)으로 노스캐롤라이나에 비해 적지만 유입인구 중 국내 이주자(6만8000명)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인구가 547만9000명으로 비교적 적은 것을 고려하면 유입되는 인구 비중이 타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매체는 20대 후반~40대 중반인 밀레니얼 세대들은 텍사스와 노스캐롤라이나를 새로운 거주지로 선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은퇴지로 플로리다가 여전히 인기가 많지만,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이주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늘었다. 또 텍사스와 플로리다의 신규 유입 인구 중 해외 이민자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인구가 유입되는 주는 주택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부동산 가격 급등과 임대료 상승으로 인구 유출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텍사스 또는 플로리다 같은 지역으로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뉴욕과 일리노이처럼 생활비가 비싼 주도 상황이 비슷하다. 일자리 증가도 인구 유입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텍사스주의 경우 테크놀로지 분야의 급성장으로 올해 역대 가장 많은 일자리가 창출됐다. 다음은 세금 혜택이다. 텍사스와 플로리다는 개인 소득세가 없다. 이밖에 일 년 내내 따뜻한 남부가 북부 지역보다 선호되기도 한다. 오퍼패드는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연구 결과를 인용, “올해 미국 인구는 50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써는 이민자들을 끌어들이는 주들이 최고의 파워를 유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지아 기자캐롤라이나 플로리다 유입 인구 인구 증가율 인구 비중
2025.07.24. 15:37
2023년 한해동안 텍사스주로 유입된 인구는 61만1천명, 텍사스를 떠난 인구는 47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17일 공개된 연방센서스국의 ‘2023년 각 주간 이주 흐름’(2023 State-to-State Migration Flows)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텍사스에서는 47만8천여명의 주민들이 짐을 싸서 타지역으로 이주했다. 이 수치는 2022년의 49만4천여명에 비해서는 다소 줄어든 것이다. 텍사스 출신들이 가장 많이 이주한 주는 2022년과 마찬가지로 캘리포니아였으며 그 수는 3만8천여명에 달했다. 이어 플로리다 3만7천여명, 콜로라도 3만2천여명, 오클라호마 3만1천여명, 조지아 2만여명의 순이었다. 텍사스는 작년에 47만8천여명이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61만1천여명의 인구가 새로 유입돼 유입 인구가 유출 인구 보다 13만3천여명이나 더 많았다. 그러나 2023년의 유입인구는 2022년의 66만8천여명에 비해서는 5만7천명이나 크게 줄었다. 지난해 텍사스로 가장 많이 이주한 미국내 타주민은 캘리포니아로 9만3,970명에 달했고 플로리다 가 5만513명, 오클라호마 2만9,743명, 뉴욕 2만9,610명, 루이지애나가 2만8,458명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해 텍사스로 유입된 인구 61만1천여명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다른 나라에서 온 이주민들로 전체의 43%에 달했다. 한편, 50개주 가운데 지난해 유입 인구가 제일 많은 주는 플로리다로 63만4천명이었고 타국 출신 이주민 비율도 플로리다가 45%로 가장 높았다. 텍사스는 전체 유입 인구수와 타국 출신 이주민 비율이 플로리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손혜성 기자인구 천명 61만1천명 텍사스 유입 인구 유출 인구
2024.10.28. 7:19
팬데믹 이후 캘리포니아주를 떠난 주민 숫자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가주로 유입된 인구는 현저하게 감소했다. 15일 LA타임스가 초당파 리서치 기관인 ‘캘리포니아 정책 연구소(California Policy Lab·CPL)’의 자료를 인용 보도한 것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이후로 가주 내 모든 카운티의 유입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 이후로 유입 인구는 38% 감소했고, 반대로 가주를 이탈해 다른 주로 이주한 주민은 12% 증가했다. 특히 LA카운티는 주전역에서 이탈 인구수가 가장 많은 곳으로 기록됐다. 올해 3분기 기준 5만8803명이 떠났는데, 팬데믹 이후로 이탈 인구는 12.3% 증가했다. 반면, 유입 인구는 2만4882명으로 팬데믹 이후 39.5% 줄었고, 결과적으로 3만3921명의 인구가 감소했다.〈표 참조〉 특히 이탈 인구가 많은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거주 인구가 많은 남가주 카운티들이 상위권에 있었는데, LA 다음으로는 샌디에이고(3만1384명), 오렌지(2만2025명), 리버사이드(1만6295명), 샌버나디노(1만3487명) 등 순이었다. 하지만 이 지역들은 팬데믹 전후 이탈 인구 수 변화에 있어 북가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숫자로 봤을 때 이탈 인구가 가장 많은 LA카운티도 증가율에서는 전체 58개 카운티 중 21위에 머물렀다. ‘탈가주’가 가장 두드러진 곳은 샌프란시스코 카운티였다. 팬데믹 후 이탈 인구는 34%가 늘었는데, 동시에 유입 인구는 52.5%가 줄어 급격한 인구 이동을 보여줬다. 가주를 9개의 경제 구역을 나눴을 때, 이 중 8개 구역에서 이탈 인구가 증가했다. 특히 가주 이사 인구 비율은 지난 2016년 16.3%에서 2021년 9월 말 기준 20.3%로 증가했는데, 가주 카운티 58곳 중 52곳에서 이사 인구 중 이탈 비율이 증가했다. 반면, 유입 인구는 주 전역에 걸쳐 모든 지역에서 빠르게 감소했다. 특히 북가주 베이 지역 유입 인구는 지난해 초보다 45%를 줄어 눈에 띄게 큰 감소폭을 보였다. 그중 2016년부터 팬데믹까지 유일하게 이탈 인구보다 유입 인구가 많았던 샌프란시스코, 샌 마태오, 샌타클라라 3개 카운티도 5년 이래 처음으로 유입이 줄며 전체 인구도 감소했다. 나탈리 홈스 CPL 연구원은 “보통 사람들은 ‘캘엑소더스(CalExodus)’, 이른바 ‘탈가주’에 시선을 집중하지만, 문제는 유입 인구를 뜻하는 ‘칼엔트런스(CalEntrances)’가 팬데믹 후 크게 줄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입 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곧 가주 인구 감소의 주된 요인이라고 홈스 연구원은 설명했다. 조사 보고서는 “탈가주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다”면서 다른 주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팬데믹 이후 눈에 띄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결과를 종합했을 때 가주는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두 배 이상의 사람들을 잃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전부터 넓은 공간과 저렴한 주택 가격 등으로 외곽, 시골 지역으로 거처를 옮기는 움직임이 차츰 눈에 띄기 시작했는데, 팬데믹 후부터는 재택근무의 발견 등으로 본격적으로 이같은 움직임이 가속화됐다고 원인을 분석하기도 했다. 장수아 기자코로나 가주정책연구소 이탈 인구수 인구 감소 유입 인구
2021.12.15.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