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경제 불확실성에…10명 중 7명 "은퇴 미룬다"

#. 풀러턴에 거주하는 60대 한인 자영업자 유씨는 지난해부터 은퇴 계획을 세워왔다. 그러나 그는 계획을 미룰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됐다. 출가하지 않고 집에 아직 함께 사는 성인 자녀 두 명을 부양하는 데다 최근 급격히 오른 물가 탓에 그동안 모아온 저축금이 부족해질까 걱정이 들었기 때문이다.   50세 이상 근로자 10명 중 7명이 은퇴 시점을 연기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 및 연금사인 F&G 어뉴이티스 앤 라이프가 최근 50세 이상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근로자 중 70%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금융 불안에 은퇴 계획을 이미 미뤘거나 미루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특히 전체의 23%는 은퇴 시점을 확실히 늦췄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1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번 조사에서 은퇴를 미루겠다고 답한 이들 중 절반(50%)은 금융 불확실성과 경제 변동성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이는 지난해보다 10%포인트 증가한 비율이다.     이어 48%는 은퇴 후 자금 부족 우려를 골랐으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든 비율도 44%나 됐다. 42%는 더 많은 금융적 선택지와 안전망 확보, 경기 침체나 주식시장 하락 가능성을 우려한 이들의 비율은 34%로 조사됐다.   관세 등 물가 상승 우려에 이미 은퇴한 사람 중에서도 29%는 다시 일을 시작하는 것을 고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는 X세대 조기 은퇴자들 가운데 54%가 재취업을 고려하고 있어,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자(28%)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들이 다시 일하려는 이유로는 42%가 지적 자극과 도전을 즐기기 때문이라고 답했지만, 이와 비슷한 40%는 추가적인 재정적 여유를 위해서, 36%는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이라고 답했다.   F&G의 크리스 블런트 최고경영자(CEO)는 “불안정한 경제 상황이 젊은 은퇴 예정자들에게 상당한 압박을 주면서, 더 많은 이들이 은퇴 시점을 늦추거나 노동시장에 남으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들의 은퇴 준비에 대한 자신감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2%는 자신의 은퇴 금융 준비 상태를 C등급 이하로 평가했다. A등급을 준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불확실한 경제에 예비 은퇴자들 다수는 노후 대비 저축금에도 손을 대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미은퇴자협회(AARP)의 데이비드 존 수석 정책 자문은 “은퇴를 앞둔 다수의 근로자가 인플레이션과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노후에 충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며 “최근 고령층에서 예상치 못한 지출이나 인플레이션 압박을 견디기 위해 은퇴 저축을 줄이거나 인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불확실성 경제 경제적 불확실성 금융 불확실성 은퇴 금융

2025.07.22. 21:4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