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시 음식배달 앱 수수료 상한선 유지

뉴욕시가 음식배달 앱이 레스토랑에 부과하는 수수료 상한선을 유지하기로 했다.     1일 뉴욕시의회는 본회의를 열고 음식배달 앱이 레스토랑에 부과하는 수수료 상한선을 유지하기 위한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먼저 음식배달 앱이 레스토랑에 부과하는 기본 서비스 수수료 상한선을 유지하면서, 앱이 추가 수수료를 받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례안(Int. 762-B)이 통과됐다. 이를 통해 레스토랑의 과도한 수수료를 부담을 덜고, 음식배달 앱 기본 서비스에 대한 상한선 적용을 명확히 규정해 레스토랑에 대한 강력한 보호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뉴욕시는 현재 우버이츠·도어대시·그럽허브 등 음식배달 서비스 앱이 레스토랑에 주문 금액의 최대 15%까지만 배달 수수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자 결제 처리 수수료는 최대 3%, 기타 서비스 수수료는 최대 5%로 제한하고 있다.     조례안을 발의한 라파엘 살라망카 주니어(민주·17선거구) 시의원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음식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배달 앱의 높은 수수료가 소규모 사업체에 큰 재정적 부담을 안겼다”며 “이 조례안은 지역 레스토랑과 소비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기후 변화 위기가 심각해지며 뉴욕시 공원의 화재 완화를 위해 시 공원국이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조례안(Int. 1185-A)도 통과됐다. 해당 조례안은 시 공원국이 내년 3월 1일까지 시 공원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구한다. 이 계획은 공원국 사이트에 게시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돼야 한다.   이외에도 이날 본회의에서는 ▶시 교육국이 각 학교의 비면허 도서관 사서 및 직원 수, 도서관 시설에 대한 데이터를 보고하도록 규정하는 조례안(Int. 1125-A) ▶택시 및 임대 차량의 뒷좌석 문에 “내릴 때 자전거에 치이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내용의 경고문을 부착하도록 요구하는 조례안(Int. 193-A) 등이 통과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음식배달 수수료 수수료 상한선 음식배달 서비스 이후 음식배달

2025.05.01. 21:21

뉴욕시, 음식배달시 플라스틱 식기 도구 제한

앞으로 뉴욕시에서 음식 배달을 시킬 때 식당이 플라스틱 숟가락·포크 등 식기도구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고, 손님이 요청했을 때만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조례안이 통과됐다.   뉴욕시의회는 19일 열린 본회의에서 관련 조례안(Int.559A)을 찬성 43 반대 7로 통과시켰다. 조례안은 식당이 고객에게 테이크아웃·배달 서비스 제공 시 스푼·포크·나이프 등 도구와 추가 용기, 조미료 패킷 등을 “고객이 요청했을 경우에만”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조례안은 플라스틱 식기 도구 제공 제한을 따르지 않는 식당의 경우 첫 적발 시 100달러, 1년 내 반복 적발 시 최대 300달러의 과태료를 물도록 명시하고 있다. 단, 실제 벌금 티켓은 계도기간을 거쳐 2024년 7월부터 발부되고 그 이전에는 구두경고 조치만 이뤄진다.   조례안 주요 발의자인 마조리 벨라즈케즈(민주·13선거구) 시의원은 “해당 조례안은 뉴욕시 환경보호에 일조하고 비즈니스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시니어 권익 향상 패키지조례안 통과= 이날 뉴욕시의회는 시니어 뉴요커들의 권익 향상을 위한 패키지조례안 ‘Age in Place NYC’도 가결했다.   린다 이(민주·23선거구) 뉴욕시의원이 공동발의자로 나선 패키지 조례안은 ▶뉴욕시 시니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를 파악하고 각 시니어센터 내 인원 중 2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문화·언어 기반 프로그램을 수립·제공(Int.672A) ▶강제퇴거·압류 조치에 처한 만 60세 이상 시니어 뉴요커에게 무료로 변호서비스를 제공(Int.673A) ▶시 노인국(DFTA)이 시니어들의 권리와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해 교육하는 ‘Know Your Rights’(당신의 권리를 아십시오) 홍보 팜플랫을 개발하고 뉴욕시 311 웹사이트에 게재(Int.674A) 하도록 명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 의원은 “뉴욕시는 세계에서 문화·언어적으로 가장 다양한 도시”라며 “뉴욕시정부에서 제공하는 필수적인 자원들에 대한 언어 접근성은 건강한 시니어들의 라이프스타일 형성에 꼭 필요하다”며 조례안 가결에 함께해 준 동료 시의원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플라스틱 음식배달 플라스틱 식기 뉴욕시 시니어들 패키지조례안 통과

2023.01.20. 21:08

원조 음식배달 대행업체 '그럽허브' 표절 혐의로 시카고 연방법원에 피소

미국의 원조 음식배달대행업체 '그럽허브'(GrubHub)가 마케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새로 제작해 선보인 로고가 상표권 침해 소송에 휘말렸다.   12일 경제매체 시카고 비즈니스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연방법원 일리노이 북부지원(시카고 연방법원) 예심 판사는 그럽허브의 새 로고가 대형 유통업체 '크로거'(Kroger)의 밀키트 배달 서비스 '홈셰프'(Home Chef) 로고와 너무 비슷해 소비자들에게 혼돈을 줄 수 있다며 법원의 최종 판결이 내리기 전까지 사용을 중단하라고 권고했다.   그럽허브는 작년 여름, 주황색을 기본으로 한 집 실루엣 속에 포크와 나이프가 그려진 새 로고를 선보였다. 기존의 빨간색 문자 로고를 주황색으로 교체하고 집과 포크•나이프 이미지를 추가했다.   그러자 크로거 측은 "소비자들이 초록색 오각형 속에 포크•나이프가 그려진 '홈 셰프' 로고와 혼돈할 수 있다"며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고 법원에 예비 금지 명령을 요청했다.   법원은 크로거 측이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돼 예비금지 명령을 내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럽허브는 주황색 집과 포크•나이프 이미지는 2020년 합병한 유럽의 대형 음식배달대행업체 '저스트 잇 테이크어웨이'(JET)가 두루 써온 로고라는 주장이다.   2004년 시카고에 설립된 그럽허브는 음식 배달문화 불모지 미국에 배달대행 서비스를 본격 소개하고 급성장세를 이어왔다. 그럽허브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들을 초기 공략 대상으로 삼아 성공을 거뒀고 2010년대 들어 유사 업체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며 시장이 빠르게 커졌다.   기업공개와 경쟁업체 인수로 사세를 확장한 그럽허브는 2020년 JET가 73억 달러에 매입해 합병했다.   그럽허브는 현재 미국 50개 주 3200여 개 도시에서 약 11만5천여 업체와 제휴를 맺고 사업을 운영한다. 사용자 약 2천 만 명으로 후발 주자 '도어대시'(DoorDash)에 이은 업계 순위 2위로 평가된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음식배달 대행업체 원조 음식배달대행업체 대형 음식배달대행업체 시카고 연방법원

2022.04.13. 14:5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