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유권자들의 우편투표 선호율이 타인종 대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C버클리 정부연구소(IGS)가 5월 29일부터 6월 4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가주 유권자 50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가장 선호하는 투표 형식’을 묻는 질문에 한인 유권자들 중 65%는 ‘우편 투표’라고 답했으며 19%가 ‘드롭 박스’, 15%가 ‘당일 투표소 방문 투표’라고 답했다. 우편 투표에 대한 선호 비율은 전체 참여자 중 47%로 집계됐으며, 백인계 49%, 라틴계 42%, 흑인계 44%로 나타났다. 아시안 중에서는 아태계 전체는 50%, 중국계 57%, 베트남계가 33%를 보였다. 동시에 한인 유권자들은 투표 방식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표 방식에 대한 선택 사항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한인 유권자 29%만이 ‘매우 만족’이라고 답했으며 49%가 ‘일부 만족’한다고 답했다. 같은 질문에 백인계, 라틴계, 흑인계는 54~66%가 ‘매우 만족’으로 답했고, 중국계 51%, 베트남계 49%가 같은 답을 했다. 한편 한인 유권자들 중 72%가 ‘투표 용지에 후보와 발의안들이 너무 많다’고 밝혔다. 같은 생각을 드러낸 중국계는 56%, 베트남계는 66% 였다. 반면 한인 유권자들의 38%가 ‘많은 이슈와 후보들이 있을 경우 더 투표에 참여하게 된다’고 답해 중국계(15%), 베트남계(35%)에 비해 높은 참여 의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번 여론조사에는 가주 내 등록 한인 유권자 154명이 참가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우편투표 인종별 우편투표 선호율 한인 유권자들 선호 비율
2024.06.25. 20:51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동안 아시안과 흑인·히스패닉 등 유색인종 사망자 증가율이 백인에 비해 훨씬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전에는 인종별 격차가 아주 크진 않았지만, 미처 대비하지 못한 코로나19의 경우 인종별로 대응 수준이 달랐기 때문에 사망자 증가폭도 큰 격차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26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인구추정을 위한 팬데믹 이후의 도전과 기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미국 전체 사망자 수는 18.53%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 반면, 다른 유색인종 그룹 사망자 증가율은 이를 훨씬 넘어섰다. 2020년 히스패닉 사망자는 2019년 대비 43.93% 늘었고, 아메리칸인디언·알래스카원주민 사망자 수는 36.7% 증가했다. 흑인(29.7%), 아시안(29.4%) 사망자 증가율도 30%에 육박했다. 반면 백인 사망자 수는 16.38% 늘어나는 데 그쳤다. 팬데믹이 이어진 2021년의 경우에도 히스패닉(3.26%), 아시안(1.43%), 아메리칸인디언·알래스카원주민(10.14%) 사망자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모습이었다. 특히 2020년 전체 사망자 중 히스패닉 사망자 비율은 9%를 넘어섰는데, 이는 2019년(7.4%) 대비 1%포인트 넘게 증가한 것이다. 코로나19 타격이 특히 히스패닉 그룹에 컸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팬데믹의 인종별 타격이 달랐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사망자 증가 폭을 인종별로 집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백인에 비해 유색인종의 건강보험 가입률이 낮은 경우가 많고,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증상이 더 심각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평가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사망자 인종별 사망자 증가율 히스패닉 사망자 인종별 격차
2023.06.26. 19:50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발달장애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거액의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인종 간 격차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 옹호 단체인 퍼블릭카운슬이 25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아시안 발달장애 학생들에 대한 지원금은 다른 인종에 비해 불평등하게 배정됐다. 한 예로 발달장애 학생들을 지원하는 주 정부 지역아동센터 리저널센터에서 2020-21년도에 백인 장애학생(3~21세) 1명당 지원한 예산은 1만6336달러였지만, 아시안 장애 학생에게는 9269달러에 그쳤다. 이는 백인 학생 예산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반면 흑인 장애 학생에게는 1만7968달러를, 라틴계 장애 학생에게는 1만5500달러의 예산을 배정해 인종별로 격차가 있음을 알렸다. 가주가 지난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발달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사용한 예산은 6600만 달러다. 그뿐만 아니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소수계 발달장애 학생들은 서비스 지원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거의 방치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3~21세 백인 학생의 경우 36%만 서비스를 받지 못했지만 아시안 학생의 경우 39%가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라틴계 학생은 이 비율이 절반이 넘는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보고서는 언어지원 서비스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학부모와 학생들이 리저널센터에서 제대로 서비스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또한 아시안 학생의 경우 인종을 표시할 때 ‘기타’로 분류해 예산도 충분히 지원되지 않고 있다며 주 정부에 이를 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연화 기자발달장애 인종별 발달장애 학생들 예산 인종별 아시안 발달장애
2022.05.27.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