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애틀랜타선 이제 ‘임대 주택’이 뉴노멀… 임대전용 타운하우스·단독주택 인기

지난 1월부터 입주민을 받고있는 조지아주 로렌스빌의 주택단지 ‘슈가로프 랜딩’은 집끼리 벽을 맞대고 있는 전형적인 3층 타운하우스다. 2베드룸과 3베드룸이 섞인 총 114유닛 규모다.   이 타운하우스의 특징은 매매를 못하는 임대전용 부동산이라는 점이다. 유닛당 월 평균 임대료는 2400달러. 임대용 주택(build-to-rent) 시장이 커지면서 전통적인 다세대 고층 아파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주택단지가 공급되고 있다.   부동산 분석 웹사이트 포인트투홈즈는 지난해 전국의 신규 임대용 주택 공급물량이 3만9000채로 전년대비 16% 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애틀랜타 지역 임대용 주택 공급은 총 3000채에 달해 애리조나주 피닉스(4460채), 텍사스주 댈러스(3197채)에 이어 전국 세번째로 많았다.   조지아의 또다른 핫플레이스로는 사바나가 꼽힌다. 사바나에서 짓고 있는 신규 임대주택은 1374채로 집계됐다.   단독주택이나 타운홈 임대의 장점은 편리성에 있다. 주거시설의 개보수 관리 책임이 임대업체에 있기 때문에 노후화로 인한 관리나 재난 피해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몇년새 천정부지로 치솟은 집값으로 주택 구입에 엄두를 못 내는 중산층도 타깃 중 하나다. 슈가로프 랜딩 개발사인 파크랜드 커뮤니티의 짐 재코비 대표는 “잃어버린 중산층이라는 고리(Missing Middle)를 되찾으려면 일자리가 풍부한 도시에 저렴하고 다양한 주택옵션을 공급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부동산 시장에서 임대기업이 차지하는 점유율이 급속도로 높아지자 오히려 내집 마련 사다리를 끊는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테일러 셀턴 조지아주립대(GSU) 교수(지리학)는 “가용토지를 크게 잠식하고 담합행위로 높은 수수료와 임대료를 부담시키는 기업형 개발업체들은 서민의 내집마련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부동산시장 임대주택 부동산시장 뉴노멀 신규 임대주택 타운홈 임대

2025.05.16. 15:26

썸네일

애틀랜타 임대료 상승·주택 부족 원인은 ‘바로 이것’

메트로 애틀랜타의 단독 임대주택 30%는 타주 기업들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은 최근 타주 기업들이 조지아의 주택을 임대용 부동산으로 매입하는 것이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가졌다.     오소프 의원은 2024년 정부책임감사(GAO) 보고서 등을 인용하여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단독 임대 주택의 25%를 타주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테일러 셸턴 조지아주립대(GSU) 교수이자 주택 전문가는 이날 자체 조사를 통해 “최근 기업 투자자들이 7만 채의 부동산을 사들여 지역 전체 단독 주택 임대 부동산의 30%(2024년 1월 부동산 소유율 데이터 기준), 즉 전체 부동산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전했다.     오소프 의원은 기업 투자 때문에 일반 주민들이 주택을 소유하는 게 불가능해지고, 임대료도 상승시킨다고 지적했다. 타주 투자자들이 주택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집값이 오르면 조지아 가족들은 타주 투자자들에게서 임대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는 것이다. 특히 조지아의 경우 다른 주보다 이 문제가 심각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오소프 의원은 “이는 전국 평균의 약 10배에 달하는 걱정스러운(alarming) 증가치”라며 단독주택을 대량으로 매입하는 대형 임대주와 기관 투자자들을 조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의 조사는 메인 스트리트 리뉴얼, 트라이콘 레지덴셜, 프로그레스 레지덴셜, 인비테이션 홈스 등 4대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셸턴 교수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인비테이션 홈스, 메인 스트리트 리뉴얼, 프로그레스 레지덴셜은 74개 주소에서 소유주 이름을 171개나 사용했다. 이어 “이 기업들이 특정 동네에서 임대 단독주택 대부분 또는 전부를 소유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며 메트로 지역의 센서스 조사 구역 300개 이상에서 기업들이 임대 단독주택의 최대 50%를 소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령 흑인 다수인 헨리 카운티에서 대기업이 전체 임대 단독주택의 64%를, 백인 다수인 폴딩 카운티에서는 78%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셸턴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 투자자들이 조지아주 구매자들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하고, 전액 현금을 제시하거나, 조건부 계약금(contingencies)은 면제하고, 시장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지불함으로써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시장을 조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기업들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주택 매물이 시장에 나오자마자 매도하면서 주택 가격과 재산세를 상승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기업 소유가 불필요한 수수료, 유지 보수 지연, 공격적인 퇴거 관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셸턴 교수는 기업 투자자들이 특히 흑인 가정의 ‘내집마련율’을 떨어뜨린 큰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투자자 소유 상한선을 정하고 단독 임대주택 소유자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소프 의원은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고 조지아 주민들의 주택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이번 조사에 착수했다”며 이를 통해 연방 법률 및 정책 변화를 위한 추진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임대주택협의회는 오소프의 조사에 반발하며 용도지역 규정과 신규 주택 건설 부족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단독주택 공급업체들이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고 공급 부족을 메우기 위해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오소프 측은 “수요가 증가하는 동시에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현상”이라며 기업이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것이 문제라고 반박했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임대주택 단독 임대주택 부동산 소유율 타주 투자자들

2025.05.15. 15:06

썸네일

타운 콘도·임대주택 거래 1년새 두자릿수 증가

작년 9월부터 시작된 전년 대비 주택 거래 증가세가 6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지난 3월 단독주택 거래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을 소폭 웃돌았다. 콘도와 임대수익용 주택은 전년 동월 대비 두 자릿수로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달 매매된 단독주택, 콘도, 임대수익용 주택 수는 지난해 3월의 77채보다 4채(5%) 감소한 73채였다. 다만 전달의 46채와 비교하면 37채(59%) 급증한 것이다.     한인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봄이 오면서 주택 거래가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6% 중후반대의 모기지 금리로 인해서 실제 거래량은 작년만 못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지난 2월보다는 50% 이상 매매가 늘어난 것은 긍정적인 신호라고 덧붙였다..   이는 본지가 드림부동산(대표 케네스 정)의 도움을 받아 2024년 3월 LA한인타운에서 거래된 주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단독주택(SFR)   지난 3월 매물이 귀한 단독주택의 거래가 부진했다. 지난 달에 매매된 단독주택 수는 24채로 전년 동월의 42채와 비교해서 18채(45%) 밑돌았다. 〈표 참조〉 다만 지난 2월(18채)보다는 33% 많았다.       중간 거래가격은 139만3000달러로 전년 동월의 217만5000달러보다 36% 하락했다. 2023년 3월에는 지난달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주택 거래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더 컸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은 지난해  3월(876달러)보다 10% 내린 788달러였다.       리스팅 대비 팔린 가격 차이는 2023년 3월의 93.09%보다 4%포인트 이상 상승한 97.47%를 기록했다. 작년보다 주택 매매 경쟁이 치열해졌다는 걸 가리킨다.       ▶콘도, 임대수익용   올 3월 팔린 콘도 수는 작년 3월의 19채보다 5채(26%) 늘어난 24채였다. 이는 전달의 20채와 비교해서도 4채(20%) 더 많은 것이다. 콘도 중간 거래가격(73만6045달러)은 전년 동월의 77만 달러보다 3만 달러 이상  밑돌았다.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661달러)은 지난해 3월(634달러) 대비 4% 올랐다.       임대수익용 주택 거래 건수는 전년 동월의 16채보다 9채(56%) 늘었다. 전달의 8채와 비교하면 213% 폭증한 것이다. 임대용 주택의 중간 가격은 149만 달러로 지난해 3월보다 8% 상승했다. 특히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은 412달러로 전년보다 9% 올랐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임대수익용 주택은 대체로 매물이 희소한 데다 임대 수익률(cap rate)에 따라 오퍼 경쟁 상황도 크게 달라져 거래 변동 폭이 크다고 설명했다.       케네스 정 드림부동산 대표는 "5개월 연속 주택 거래 증가세가 꺾인 것은 아쉽지만, 전달보다 전반적으로 주택 거래가 증가한 점은 좋은 징후”라고 짚었다. 이어 그는 “모기지 금리가 5% 초반 선으로 내려야 매물도 늘고 주택 거래 활동도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을 더했다.       LA한인타운 주택 거래 동향조사는 우편번호 90004, 90005, 90006, 90010, 90019, 90020, 90036 지역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다른 한인타운 내 주택거래 동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번 자료 집계 기간은 2024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다.     진성철 기자임대주택 자릿수 단독주택 거래 la한인타운 주택 임대수익용 주택

2024.04.15. 20:14

썸네일

뉴욕시에 빈 집 찾기 어렵다

뉴욕시 주택 위기가 50여년 만에 최악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뉴욕시 주택보존개발국(HPD)이 뉴욕시의회에 제출한 ‘뉴욕시 주택 및 공실률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시 임대주택 공실률은 1.4% 수준까지 떨어졌다. 뉴욕시에서 ‘렌트 가능한 주택’으로 간주하는 임대주택 약 230만채 중, 3만3210채만 임대가 가능한 상황인 셈이다. 직전 조사 시점이었던 2021년 당시 공실률(4.5%)보다 급격히 떨어졌을 뿐 아니라, 지난해 공실률은 1968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뉴욕시에서 렌트하려는 사람들의 수요는 팬데믹 이후 넘쳐나고 있지만, 주택공급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건강한’ 수준의 공실률을 5~8% 수준으로 본다. 시정부는 공실률이 5% 미만이면 ‘주택 비상상황’으로 간주한다. 뉴욕시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공실률이 떨어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뉴욕시의 순 주택재고가 6만 가구 늘었지만, 신규 가구 수요(27만5000가구)를 따라잡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한 탓에 렌트는 계속 상승 중이다. 지난 1월 맨해튼 렌트 중간값은 4150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1.3% 올랐다. 특히 보고서는 월 렌트 2400달러 미만 임대주택, 퀸즈지역 공실률은 1% 미만으로 추정했다.   높은 렌트 부담에 중산층이 뉴욕을 떠←나는 경우가 많아졌고, 지역 경제도 위협받는 상황이다. 뉴욕주와 시정부에서는 주택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쉽게 해결되진 못하고 있다. 주택 신축건물을 지으면 개발업체에 세금 혜택을 주는 방안, 조닝 변경 등을 추진 중이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연방 센서스국 데이터를 활용해 조사됐다. 뉴욕시는 1965년 이후 3년마다 렌트 통제와 렌트안정화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같은 조사를 이어오고 있다. 김은별 기자뉴욕 임대주택 뉴욕시 주택보존개발국 지난해 뉴욕시 공실률 조사

2024.02.11. 16:01

뉴욕 일원 극빈층 임대주택 절대 부족

팬데믹을 이후 전국적으로 극빈층(Extremely Low-Income) 세입자를 위한 저렴한 임대 주택이 부족해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뉴욕·뉴저지주도 예외는 아니었다. 극빈층 세입자란, 렌트 세입자 중 연간 소득이 연방빈곤선(FPL), 또는 해당지역 중간소득의 30% 이하인 경우를 뜻한다.     28일 전국저소득주택연합(National Low Income Housing Coalition)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에서 극빈층이 접근 가능한 저렴한 임대주택은 실제 극빈층 가구 수에 비해 730만채 모자란 것으로 집계됐다. 극빈층 세입자 100명 당 33명만 저렴한 임대 주택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다. 2019년과 비교하면, 저렴한 임대 주택은 50만채 이상(약 8%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 나타난 공급난과 인플레이션 등이 겹치면서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이 더뎌진 결과다.   뉴욕 일원에서도 극빈층 세입자들이 갈 곳은 턱없이 부족하다. 뉴욕주 극빈층 세입자 수는 97만882명으로 집계됐지만, 실제 공급 가능한 저렴한 임대 주택은 31만4942개에 불과했다. 극빈층 세입자 100명 당 32명만 저렴한 렌트를 구할 수 있는 셈이다.     뉴저지주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뉴저지주 극빈층 세입자 수는 32만3284명으로 집계됐지만, 공급 가능한 저렴한 임대 주택은 9만8753개 뿐이다. 역시 극빈층 세입자 100명 당 31명만 저렴한 렌트를 구할 수 있는 상황이다.     아시안 세입자 중 극빈층 비율은 9%에 불과했지만, 흑인(19%)·히스패닉(14%) 등의 비율은 비교적 높아 인종적 격차가 나타나고 있었다.     보고서는 팬데믹을 겪으면서 저렴한 주택은 오히려 줄거나,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같은 기간 극빈층으로 진입한 가구 수는 급증했다는 점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저렴한 임대 주택 공급을 위해서는 연방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장기적으로는 저렴한 임대 주택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되, 단기적으로는 당장 집을 구하기 어려운 극빈층을 위한 자금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임대주택 극빈층 극빈층 세입자들 임대주택 공급 뉴욕주 극빈층

2023.03.28. 20:52

샌타애나 임대주택 관리 강화

샌타애나 시가 임대 주택 관리 강화에 나선다.   시 당국은 모든 임대 주택 소유주로 하여금 내년 7월까지 새로운 데이터베이스(DB)에 임대 주택을 등록하도록 의무화할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새 DB 구축의 주 목적은 임대 주택 현황과 렌트비 인상 폭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임대 주택 소유주는 매년 등록을 갱신하고 등록 수수료도 내야 한다. 수수료 규모는 추후 확정된다.   당국은 또 내년 7월까지 렌트 컨트롤 조례가 제대로 적용되는지 살피고 세입자와 주택 소유주 간 갈등 조정 역할을 담당할 새로운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 위원회는 총 7명으로 구성된다.   지난해 10월 OC 도시 중 최초로 렌트 컨트롤 조례를 가결, 월세 인상 폭을 연 3% 또는 물가상승률의 80% 중 낮은 쪽으로 제한한 샌타애나 시의회는 지난 10월 조례 일부를 개정해 임대 주택 관리 강화의 법률적 근거를 마련했다.임대주택 강화 임대주택 관리 임대 주택 주택 소유주

2022.12.21. 16:42

임대주택 렌트비 상승폭 커진다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상승세인 가운데 내년에는 임대주택 렌트비가 전국적으로 인상폭이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부동산 정보 업체 줌퍼닷컴과 아파트먼트 가이드 측은 애리조나 피닉스 교외 지역의 1베드룸 평균 아파트 렌트비가 작년보다 2배나 뛰었고 코로나19로 도심을 떠났던 세입자의 복귀로 뉴욕 맨해튼 지역  렌트비가 다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며 다양한 임대 시장 지표를 분석한 결과, 2022년에도 렌트비 상승세가 가파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렌트비 오름세는 비단 다가구 주택에 국한되지 않는다. 부동산 전문 분석 업체 코어로직에 의하면, 올 8월 기준 단독주택의 평균 렌트비 상승률은 9%로 조사됐다.     렌트비가 빠른 상승세를 보이는 지역은 남부와 서부 지역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텍사스 오스틴의 마리아 아레돈도 교사의 경우, 월 렌트비가 400달러 급등하면서 신축 아파트로 이사했다. 400달러를 절약하는 대신 기존 아파트보다 150스퀘어피트가 작은 집으로 이사해야 했다.  통상 방 하나의 크기를 100스퀘어피트로 보기 때문에 150스퀘어피트면 방 1.5개 만큼의 공간이 줄어든 것이라는 게 부동산 업계의 설명이다.   마크 잔디 무디스 애널리스트는 이처럼 렌트비의 상승 곡선이 단기간에 가팔라지는 주요 원인으로 주택 부족을 꼽았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전부터 주택 수급 불균형이 심했는데 코로나19와 공급망 교란에다 건설 인력 부족으로 인해서 신규 주택 건설이 지연되면서 상황이 더 악화하고 있다”며 “주택난의 장기화는 경제 회복이나 성장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다 전국적으로 신축 아파트가 서민 대상이 아닌 렌트비가 비싼 럭셔리 아파트인 데다 투자자들이 부동산 임대 시장으로 몰리는 것도 렌트비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한 부동산 업체 관계자는 “증시의 변동성 확대 및 불확실성 증대되면서 투자자들이 임대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면서 투자자들이 작은 마을의 값싼 단독주택을 마구 사들인 후 지역 시세보다 비싸게 렌트비를 책정하고 원격근무가 가능한 도시 세입자들이 유입되면서 지역 평균 렌트비를 끌어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주택 수급 불균형 ▶건설 지연에 따른 신규 주택난 ▶신축 서민 주택 부족 ▶투자자의 임대 시장 진출 증가 등으로 인해서 내년에도 세입자의 렌트비 부담이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진성철 기자임대주택 렌트비 임대주택 렌트비 렌트비 상승세 렌트비 오름세

2021.12.13. 18:40

이케아, '월세 1불' 임대주택 화제…도쿄 신주쿠에 3평 규모

스웨덴 가구 업체 이케아가 일본 도쿄 도심에 월세 99엔(0. 86달러) 짜리 초소형 임대주택을 내놔 큰 관심을 끌고 있다.   10㎡(107 스퀘어피트) 크기의 이 주택은 도쿄 신주쿠에 있으며 내달 3일까지 세입자를 모집한다. 임대 유닛은 한 개이며 이케아 가구와 액세서리가 완비돼 있다고 업체는 전했다. 스무 살이 넘어야 입주할 수 있고 임대 계약 기간은 2023년 1월 15일까지다. 수도 가스 전기료 등 유틸리티 비용은 세입자 부담이다.   10㎡는 작은 공간이지만 이케아는 이 공간을 최대한 활용했다고 밝혔다. 이케아는 웹사이트를 통해 "공간의 수직 활용이 핵심"이라며 "공간을 3차원으로 나누니 제한된 공간에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났다"고 밝혔다.     도쿄는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곳 중의 하나로 최근에는 초소형 아파트가 대세다. 도쿄도(東京都) 정부에 따르면 도쿄 인구는 1400만 명 남짓이다.   이케아는 '블라하지'라는 이름의 청상어 인형이 초소형 주택 전문 부동산 업자로 나오는 유튜브 시리즈를 만들어 홍보에 나섰다. 이케아가 부동산 사업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 회사는 모국인 스웨덴의 건설업체 스칸스카와 손잡고 보클로크라는 벤처회사를 설립해 스웨덴과 핀란드 노르웨이 등지에서 저렴한 가격의 조립식 주택을 선보였다.   2019년 보클로크는 치매 환자들이 계속 자신의 집에서 지낼 수 있는 형태의 주택을 선보였다.임대주택 이케아 임대주택 화제 초소형 임대주택 이케아 월세

2021.11.28. 19: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