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독서하는 여름, 달라지는 입시 경쟁력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여름방학 때 독서가 왜 중요한가?     ▶답= 여름방학은 학기 중의 바쁜 일정에서 벗어나 재충전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다.     하지만 이 시기를 단순한 휴식이 아닌 자기계발의 기회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클래스 밖에서의 독서’(Outside Reading)는 단순한 대학 입시 전략을 넘어 전반적인 사고력과 자기 탐색을 위한 필수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여름방학 동안 학생들이 겪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여름 슬라이드’(Summer Slide)다. 이는 학기 중에 쌓은 학습 능력이 방학 동안 자연스럽게 저하되는 현상으로 특히 영어와 수학에서 두드러진다. 하지만 책이나 블로그, 잡지 등 다양한 자료를 꾸준히 읽는 습관은 뇌를 지속적으로 자극해 어휘력과 독해력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결국 방학이 끝난 뒤에도 학업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대학들은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된 ‘균형 잡힌 클래스’를 원한다.     이런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첫 걸음은 자신의 관심 분야를 깊이 탐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경제나 금융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관련 서적, 블로그, 신문 기사를 꾸준히 읽는 것으로 기초 개념과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학교 내 기업가 정신 클럽에서 회계 담당을 맡거나, 자선 바자회를 기획하는 등 다양한 활동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책이나 글을 읽는 학생일수록 뛰어난 작문 실력을 보유할 확률이 높다. 대학 입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세이에서도 글쓰기 능력은 큰 강점이 된다. 문장 구조, 어휘 선택, 문장의 리듬감 등을 자연스럽게 익히면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독서는 단순한 정보 수용을 넘어 작품의 주제나 메시지를 분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이 동반될 때 그 가치가 배가된다. 다양한 시각과 주제를 접하는 독서는 사고의 폭을 넓히고, 관심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가능하게 해 준다.   최근 컬럼비아대, 스탠포드대 등은 원서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독서 활동을 묻고 있다. 이는 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자기주도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 경험은 인상 깊은 에세이의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입시 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한다. 여름방학의 독서는 단순한 ‘공부’를 넘어 자신의 흥미와 잠재력을 발견하고 키워나가는 소중한 자산이다.     책 한 권이 대학 입시의 열쇠가 될 수도 있고, 나아가 인생의 방향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  미국 대학입시 입시 경쟁력 여름방학 동안 독서 활동

2025.06.16. 11:12

팔방미인이 유리할까, 한 분야를 잘 하는게 유리할까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명문대 입시에서 팔방미인이 유리할까, 한 분야에 특화된 학생이 유리할까?     ▶답= 정답부터 말하자면 적당히 팔방미인도 되어야 하고, 한 분야를 뛰어나게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통 팔방미인이라고 하면 여러 분야를 두루 잘 하는 학생을 뜻한다. 하지만 이런 학생은 어느 한 분야를 아주 깊이 있게 파고들지는 않는다.    수 십 년 동안 엘리트 대학에 진학하려면 팔방미인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존재했다. 하지만 탑 스쿨 합격률이 한자리 숫자로 떨어지는 등 입학 경쟁이 치열해지고 대학들이 지원자로부터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기가 불가능한 시대가 되면서 팔방미인형 학생이 아직도 입시에서 통하는지 궁금해하는 학생 및 부모들이 많다.     잘 알다시피 뛰어난 성적과 시험 점수, 강한 과외활동과 에세이 만으로는 탑 스쿨 합격이 보장되지 않는다. 지금은 많은 탑 대학들이 ‘훅’(hook)을 기대한다. 훅이란 특정 지원자를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하는 특별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전국적으로 이름을 날리는 스포츠 스타라든지, 세계적인 명성이 있는 피아노 대회에서 우승을 했다든지, 코딩 천재라든지, 남들이 도저히 흉내 낼 수 있는 ‘특별함’을 갖추었으면 훅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학생들은 훅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을 것이다.     대학들은 훅이 있는 학생들과 팔방미인형 학생들을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훅을 가진 학생들끼리, 팔방미인형 학생들끼리 합격하기 위해 경쟁한다고 보면 된다. 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이긴 하지만 여러 분야를 두루 잘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명문대 합격증을 손에 넣기 위해서는 훅이 있는 학생들도 뛰어난 성적, 시험 점수, 에세이, 추천서 등이 갖춰져야 한다. STEM 전공을 희망해도 글쓰기, 리딩 등의 분야에서도 수준급 실력을 보여야 입시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어떻게 보면 팔방미인이면서도 훅 하나쯤은 있어야 가장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명문대들은 지원자에게 영어, 수학 등 핵심과목을 4년간 수강할 것을 요구한다. 대입 원서를 쓸 때는 모든 섹션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어느 한 부분만 돋보이게 해서는 안 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이 있듯 팔방미인이면서도 훅을 갖춘 학생이 되도록 노력해 보자.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미국 유리 팔방미인형 학생들 명문대 합격증 입시 경쟁력

2025.04.09. 13:58

SAT, 몇 점 받아야 경쟁력 강화에 도움될까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SAT는 몇 점을 받아야 명문대 입시에서 '높은 점수'인가?       ▶답= 팬데믹 사태 이후 대부분 대학들이 입시에서 SAT 점수 제출을 의무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바꾸었지만 명문대 입시에서 높은 점수를 제출하면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2023년 가을학기 입시에서 미국 내 1800개가 넘는 대학은 SAT 점수 제출이 선택사항 이거나 아예 점수를 받지 않는다.   입시경쟁이 치열한 대학들은 팬데믹 이후 고교생들이 어려운 과목에서 쉽게 'A'를 받는 '성적 인플레이션'이 심화됐다고 판단한다.   2022년 공개된 ACT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에 3.17이었던 고교생들의 평균 GPA가 2021년에는 3.36으로 껑충 뛰었다. 또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고교생들의 성적 인플레이션이 피크를 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록 대부분 대학들이 SAT 점수를 선택사항으로 지정했지만 극심한 성적 인플레이션 때문에 표준시험 점수의 중요성을 간과하면 곤란하다는 주장이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명문 MIT와 조지타운 대의 경우 이를 인지하고 신입생 지원자들에게 SAT ACT 점수 제출을 요구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입시 경쟁력을 조금이라도 끌어올리기를 원하는 학생들은 최소 한 번은 SAT나 ACT 시험을 볼 것을 추천한다. 그런 다음 표준시험 점수 제출이 선택사항인 대학에 지원할 때 본인이 획득한 점수를 보낼지 말지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좋은 SAT 점수는 다소 주관적이다. 칼리지보드 자료에 따르면 2021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평균 SAT 점수는 1600점 만점에 1060점이었다. 이는 2020년 졸업생들의 평균 점수보다 9점 오른 것이다.   우선 학생들은 자신의 SAT 스코어를 지원하려고 하는 대학 신입생들의 50퍼센타일 스코어와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 50퍼센타일은 스코어를 제출한 학생의 50%가 얻은 점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1년 가을학기 하버드 신입생 중 SAT를 제출한 학생들의 50퍼센타일은 1530점이었다. 같은 시기 명문대 신입생들의 50퍼센타일을 살펴보면 예일대 1530점 스탠포드대 1520점 MIT 1545점 프린스턴대 1515점 시카고대 1545점 등이다.   ▶문의: (855)466-2783 지나김 대표미국 대학입시 sat 점수 경쟁력 강화 입시 경쟁력

2022.09.28. 17:4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