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명문대 입학심사에서 무엇이 중요한가?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명문대들이 입학 사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답= 하버드대의 경우 아카데믹, 과외활동, 퍼스널 스킬 등 몇 가지 항목을 토대로 지원자들을 1에서 6까지의 스코어로 평가한다. 숫자가 낮을수록 높은 점수를 의미한다. 많은 학생 및 학부모들은 대학들이 공개하는 ‘커먼 데이터 셋’(CDS)을 통해 어드미션 관련 통계자료를 얻는다. 대부분 명문대들의 입학 사정은 ‘종합평가’(holistic review) 방식이다. 택한 클래스의 수준(rigor), 학교 성적, 클래스 랭크, 에세이, 과외 활동, 추천서 등 여러 요소를 평가한 후 지원자를 합격 시킬지 말지 결정한다.     그렇다면 명문대들은 어떤 요소들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까? UCLA, UC 버클리, 존스 홉킨스대의 경우 클래스의 수준을 매우 중요(very important) 한 요소로 평가한다. 많은 학생들은 학교에서 GPA를 높이는데 주력하는데 가능한 범위 안에서 가장 도전적인 과목들을 택하고 이들 클래스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야 한다.   언웨이티드 GPA가 4.0 만점이어도 쉬운 클래스만 택했으면 명문대 입시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 거의 모든 아이비리그 스쿨도 클래스의 수준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   스탠포드대, 프린스턴대, 브라운대는 에세이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에세이는 서류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 학생의 인간적인 면모와 성취 등을 대학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일대, 다트머스 칼리지, 밴더빌트대는 과외활동을 통해 학생의 성취를 평가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명문대들은 학생이 교실 밖에서 무엇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다. 대학입시 목적으로 이 활동, 저 활동을 수박 겉 핥기 식으로 하는 것보다 한 두 가지 활동을 열정을 가지고 깊이 있게 해야 한다. 카네기멜론대, 노터데임대, NYU는 학생의 캐릭터를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서류상으로 보이는 성취뿐만 아니라 지원자의 인간적인 면모, 개인적 특징 등을 바탕으로 해당 학생이 캠퍼스 커뮤니티에 기여할 인물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카네기멜론대는 리더십, 열정, 배려심 등이 나타나는 지원자를 높이 평가한다.     에모리대, 앰허스트 칼리지, 노스이스턴대는 추천서(letter of recommendation)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추천서는 대입 원서 패키지 안에서 유일하게 제 3자가 학생을 평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추천서는 누구보다 학생을 잘 아는 사람이 작성해야 위력이 배가된다. 11학년 봄 학기 때 교사나 카운슬러에게 추천서를 부탁하지 않았다면 12학년이 시작되자마자 요청해야 한다.       ▶문의: (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미국 입학심사 명문대 입학심사 명문대 입시 대학입시 목적

2024.06.25. 17:23

[대입 들여다보기] 입학심사서 AI 활용·유학생 증가 등 올 가을학기 대입 두드러진 트렌드

2024년 가을학기 입학을 위한 대학입시가 모두 마무리됐다.     예비 대학생들은 오는 5월 1일(학교가 연기하지 않은 경우)까지 최종적으로 진학할 학교에 등록하겠다는 의사 표명을 해야 한다.     2025년 가을학기 입시를 준비하는 현 하이스쿨 주니어들은 올 가을학기 입시 트렌드가 어땠는지 관심이 많다. 올해 입시에서 드러났고, 내년 가을학기 입시 때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몇 가지 트렌드를 짚어보자.   첫째, 인공지능(AI)의 활용이다.     최근 본격적으로 AI가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원자들이 대입 원서를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고등교육계를 중심으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대학들은 입학심사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인텔리전트(Intelligent)’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대학의 50%가 입학원서 심사에 AI를 사용한다. 2024년에 실시된 조사에서는 무려 80%의 대학이 입학심사에서 AI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런데 AI는 도대체 어디에 쓰일까?     아이비리그 유펜과 콜로라도 대학 연구진은 ‘AI 도구 시리즈’를 개발했는데 이것으로 대학이 에세이를 스캔해서 주요한 개인적 특징의 증거를 잡아낼 수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리더십이나 끈기, 인내심 같은 것들 말이다. 이 연구의 공동저자에 따르면 이들 도구는 현재 어떤 대학에도 적용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적절한 조건 아래 실행된다면 입학사정관이 인간의 눈으로 놓칠 수 있는 지원자의 특징마저 모두 찾아낼 수 있다고 한다.     인텔리전트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AI가 가장 많이 쓰이는 분야는 성적표와 추천서 심사다.     추가 에세이를 리뷰할 때도 AI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지원자가 AI의 도움을 받아 써낸 에세이를 솎아내기 위해서다. 입학 심사에서 AI를 사용하는 것에 대학들이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은 불과 1년 전이다. 2023년 초부터 AI 활용이 급격히 증가했다.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우려가 여전히 제기되기는 하지만 입학사정관들이 AI 사용을 편안하게 느끼는 트렌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둘째, 학생들이 더 진실된 에세이를 쓰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는 점이다.     지난해 연방대법원이 대학 입학사정에서 인종을 고려하는 행위를 위헌이라고 판결한 뒤 유색 인종 지원자들은 대입 에세이를 쓸 때 자신의 인종 배경을 드러내야 할지, 말아야 할지 헷갈리고 있다. 대학 입장에서는 캠퍼스의 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원서를 더 면밀하게 들여다봐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대학들은 종합평가(holistic review)에 더 초점을 맞추면서 지원자가 가진 다양한 면모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학들은 추가 에세이 토픽을 통해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 한다. 지원자들은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에세이에 더 공을 들인다.     셋째, 많은 학생들이 외국의 대학으로 눈을 돌린다는 점이다.     대학 관계자들은 최근 지원자들이 유럽 등 다른 나라의 대학에 지원하는 것을 점점 더 관심 있어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학업적 수준이 거의 동등하다는 전제하에 대학 교육에 드는 비용이 미국보다 훨씬 적고, 다채로운 체험을 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미국 대학이 보통 4년 과정인 데 비해 외국의 일부 대학은 3년 과정이어서 1년 치 학비를 절감할 수도 있다.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지만 합격률이 10%이지만 하버드대의 합격률인 3%보다는 훨씬 높다.   고등교육 전문가들은 외국 대학 및 대학원 프로그램으로 빠져나가는 학생 수를 조사할 때 이것이 미국의 대학교육 비용이 높아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대학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때문인지 밝혀내려고 한다. 이들은 가성비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평가를 중요시한다.     또한 미국 대학들이 학생들을 외국 대학에 빼앗기지 않으려면 대학이 정부와 협력해 공립대 교육 비용을 지원하고, 대졸자들이 취업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대입 들여다보기 입학심사 가을학기 예비 대학생들 입학심사 과정 가을학기 입시

2024.05.27. 19:01

뉴욕시 공립고 입학심사 변경 없다

 데이비드 뱅크스 뉴욕시 교육감이 공립고교 입학심사 절차의 변경은 없다고 밝혔다.   9일 NY1 스펙트럼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부터 공립고교 입학심사 절차의 막판 변경 가능성을 암시하던 뱅크스 교육감이 이날 인터뷰를 통해 “입학심사 절차를 변경하기엔 너무 늦어 더 큰 혼선을 빚게 될 것”이라며 절차 변경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시 공립고교 입학신청 마감일은 11일이다.   시 교육국은 2022~2023학년도 공립고교 입학심사 과정에서 각 학생이 중학교 7학년 또는 8학년 동안 기록한 4개 주요과목(영어·수학·사회·과학) 성적 중 가장 높은 성적을 반영하고, 스크린을 통해 입학우선권을 주는 우수 고교들의 경우 교육국이 성적별로 나눈 4개의 그룹 중 가장 성적이 좋은 그룹 순으로 추첨을 통해 입학생을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심종민 기자입학심사 공립고 공립고교 입학심사 뉴욕시 공립고교 입학심사 절차

2022.03.09. 19:53

뉴욕시 공립고 입학심사 과정에 비판 고조

 올해 뉴욕시의 공립 고등학교 입학심사 과정이 성적 반영이 줄어들고 추첨에 큰 영향을 받게 돼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퀸즈 플러싱의 타운센드해리스 고교 등 우수학교 진학을 목표로하는 학생·학무모들은 “교육국이 내놓은 입학심사 과정이 학업 성적보다 운적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게 됐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지난 1월말 뉴욕시 교육국(DOE)이 공개한 2022~2023학년도 공립고교 입학심사 과정에 따르면 교육국은 각 학생이 중학교 7학년 또는 8학년 동안 기록한 4개 주요과목(영어·수학·사회·과학) 성적 중 가장 높은 성적을 반영하게 된다.   이후 각 학생이 기록한 과목 별 최고 점수는 ‘포인트’로 환산되는데, 100점 만점 기준 85~100점(B~A+) 학생은 400포인트, 75~84점은 300포인트, 65~74점은 200포인트, 10~64점은 100포인트로 환산된다.   교육국에 따르면 평균이 350~400포인트인 학생은 그룹1, 250~349포인트인 학생은 그룹2, 150~249포인트인 학생은 그룹3, 149포인트 이하는 그룹4로 배치된다.   스크린을 통해 입학우선권을 주는 우수 고교들의 경우 지원한 그룹1 학생 수가 입학 받을 학생 수보다 많을 경우 그룹1 학생 중 추첨을 통해 입학생을 선정한다. 이후 그룹2·3·4 순으로 추첨 우선순위가 매겨진다.   많은 학생·학부모들은 추첨 그룹1 성적범위가 너무 넓어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문제로 꼽고 있다.   모든 과목에서 95점 이상을 받은 학생과 일부 과목에서 65~74점을 받은 학생이 같은 그룹1로 묶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교육계 일각에서는 교육국의 이번 정책이 어린 학생들의 지나친 경쟁과 사교육을 막기 위한 적절한 정책이라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비건 프라이데이에 학부모 불만=지난 4일부터 시작된 뉴욕시 공립교의 ‘비건 프라이데이’에 대한 비판도 쏟아져 나왔다.   일부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원하지도 않는 채식을 강요받는다”며 트위터 등 SNS에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교육국은 매주 금요일을 비건 프라이데이로 지정하고 완전 채식 중심의 식단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일부 학교에서는 재료 부족으로 인해 완전채식 옵션이 제공되지도 않았다고 데일리뉴스·고다미스트 등이 보도했다.  심종민 기자입학심사 공립고 입학심사 과정 뉴욕시 공립고 뉴욕시 교육국

2022.02.07. 19: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