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한인 A씨는 과거 모든 수리를 딜러십에 맡겼다. 품질 보증과 편의성 때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와이퍼, 에어컨 필터 등 교체가 간편한 소모품들은 직접 수리하고 있다. 최근 관세 영향에 수리비용이 크게 올랐을까 봐 걱정이 들어서다. 그는 “직접 해서 한 푼이라도 아낄 수 있다면 아껴야 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 또 다른 한인 차량 소유주 B씨는 자동차광이다. 큰 수리가 필요한 게 아니라면 직접 공부해 교체, 수리하는 편이다. 그는 “내 자식에게 좋은 것만 주고 싶듯 내 차에도 좋은 것만 주고 싶다”면서도 “최근엔 지속된 여러 가지 가격 부담에 조금 더 저렴한 제품으로 타협하게 됐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자동차 관세가 단순히 차량 가격 인상만을 넘어, 수리 비용까지 끌어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 사이에선 전문 업체에 맡기는 대신 일부 부품은 직접 교체하는 ‘셀프’ 정비가 인기를 끌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3일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했다. 관세 대상에는 배터리, 타이어 등 핵심 부품 또한 포함된다. 자동차 전문 사이트 카스닷컴의 제니 뉴먼은 “브레이크 패드, 배터리, 범퍼, 센서 등 차량 유지·보수에 쓰이는 많은 부품이 수입품”이라며 “공급업체들은 관세 부담을 수리업체와 딜러 정비부서에 전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 업계는 수입 부품 가격이 오르면 이는 고객들이 지불해야 하는 비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우리자동차의 구주선 사장은 “아직까지 눈에 띄는 부품 가격 인상은 없지만 공급가가 오르면 업체들이 이를 모두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와 경기 침체 가능성 등 불확실성 속에서 소비자들은 지출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이 특별한 장비 없이도 교체 가능한 부품은 직접 정비(DIY)하거나 더 저렴한 브랜드 제품으로 대체하는 등 절약형 소비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다. 시장정보 분석업체 서커나의 네이선 시플리 분석가는 “2020년 이후 보증 기간이 지난 차량이 2000만 대 증가했다”며 “최근 소비자들은 직접 정비에 나서는 등 비용을 줄이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커나가 지난 2월에 실시한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29%가 “전에는 전문가에게 맡겼던 엔진오일 교환을 이제는 스스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실제 소매 판매 데이터를 보면, 지난 2년간 모터오일과 필터류의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에 따른 제품 브랜드 교체 현상도 뚜렷했다. 타이어, 세차용품, 와이퍼 블레이드 등은 소비자들이 특히 가격 부담을 느끼며 브랜드를 교체하는 대표 품목으로 전해졌다. 서커나의 타이어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에는 가장 저렴한 ‘티어 4’ 등급 타이어가 ‘티어 1’ 등급을 제치고 판매 점유율에서 앞서기도 했다. 한편 현재 도로를 달리는 차량들의 평균 연식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기존 차량 소유자들도 곧 부담을 안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및 트럭의 평균 연식은 12.6년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애프터마켓 부문 책임자인 토드 캠포는 “평균 연식 증가로 인해 현재 약 1억1000만 대 이상의 차량이 정비 수요가 가장 많은 ‘골든 타임(6~14년)’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자동차 관세로 차량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기존 차량을 더 오래 차량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아 문제가 더 심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훈식 기자자동차 수리 비용 자동차 관세 자동차 전문 박낙희 정비 수리 자가 수리 자가 정비 부품 관세
2025.06.16. 20:49
역대 최고 수준의 자동차 가격 고공행진에 신차와 중고차 모두 구하기도 힘들어지면서 자녀용 차량 구매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LA지역 한인 자동차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신학기 시즌에 보이던 ‘백투스쿨’ 매출이 예년보다 30% 이상 감소했다. 반도체 칩 사태에 따른 재고 부족으로 자동차 값이 프리미엄까지 붙는 등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면서 부담을 느끼는 데다가 차량 인도까지 수개월이 걸리자 자녀용 차 구매를 포기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한인타운 에덴자동차의 제이 장 부사장은 “예년과 다르게 백투스쿨 때도 구매 수요가 잠잠했다. 차량 가격이 워낙 오르다 보니 어떻게든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부모들 차로 자녀용 차 문제를 해결하려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부모들은 연비와 가격을 우선시하는 반면 자녀들은 스타일, 차 유형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 부사장은 “10대들은 SUV보다 세단을 선호해 3~5년 된 마쓰다3, 혼다 시빅, 도요타 코롤라, 기아 포르테, 현대 엘란트라 등을 추천하지만, 중고차 찾기가 쉽지 않다. 자동차 가격도 가격이지만 갈수록 이자율도 올라 차 할부금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리토스 제네시스/현대 한인 담당 스카이 김 디렉터도 “신학기 시즌 매출이 팬데믹 이전보다 30% 이상 감소했다. 구매 또는 리스도 차종에 따라 2~6주까지 걸린다”고 말했다. 대학생 자녀를 둔 미션비에호의 박소영씨는 “10대 운전자 추가로 보험료가 두배 가까이 뛴 데다가 자동차 가격에 프리미엄이 붙어 부담이 가중돼 고심 끝에 구매를 포기했다. 리스의 경우도 월 페이먼트가 지금 매달 내는 내 차 구매 할부금보다 비싸 엄두가 나질 않는다”고 토로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 적어도 1~2년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10대 자녀에게 추천되는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중고차 가격대별 26개 차종 가운데 한국차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자동차 전문 정보매체아이시카스닷컴이 지난 5월~7월 사이 판매된 중고차 170만대를 대상으로 안전성, 신뢰성, 연비 등을 비교해 1만5000달러 미만, 2만5000달러 미만 각각 13개 세그먼트별로 10대를 위한 최우수 중고차를 선정했다. 가격대별 추천 중고차를 살펴보면 1만5000달러 미만에서 2012년형 혼다 시빅 쿠페, 2007년형 렉서스 IS 350 등이 이름을 올렸다. 2만5000달러 미만의 경우엔 2017년형 혼다 시빅(쿠페), 2017년형 볼보 S60, 2017년형 혼다 어코드 등이 추천됐다. 박낙희 기자자동차 한인타운 에덴자동차 자녀용 차량 자동차 전문 Auto News NAKI 박낙희 백투스쿨
2022.09.27. 23:21
신규 자동차 가격이 평균 5만 달러를 육박하는 시대를 맞았다. 자동차 전문 평가업체인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8월 신규 자동차 구매에 지불한 평균 가격이 4만830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새 차 수요가 비정상적으로 높은데 반해서 재고는 매우 적어서 자동차 가격의 상승세가 더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동차 전문 정보사이트 에드먼즈(Edmunds) 이반 드루리 수석 관리자는 “자동차 가격이 5개월 연속으로 오름세”라며 “재고 부족으로 신차를 기다릴 수 없으면 결국 프리미엄까지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차량 부족은 글로벌 공급망과 반도체 확보의 어려움으로 자동차 제조업체가 원하는 만큼 많은 차량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8월 전국 신규 자동차 재고는 120만대로 지난달 110만 대에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콕스 오토모티브 레베카 리드쥬스키 리서치 매니저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EV)와 같이 고객이 원하는 인기 모델은 재고가 매우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자동차 쇼핑객은 ‘스티커 가격(권장소비자가: MSRP)’보다 훨씬 높은 금액을 지불하고 있다. 일부 인기 자동차 딜러에서는 최고 1만 달러 이상 프리미엄을 요구하기도 한다. 자동차 구입 가격이 상승한 이유 중 하나는 옵션이 추가된 차를 사고 있기 때문이다. 고객들은 가죽 시트, 터치스크린, 첨단 안전 기능 등이 탑재된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와 픽업 트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켈리블루북 브레인 무디 편집장은 가격 상승세에 프리미엄까지 지불하면서 새 차를 살 여유가 없는 소비자를 위해 “비교적 인기가 적은 모델의 중고차를 구입하라”고 조언했다. 이어 “저렴한 가격의 중고차를 찾으려면 세단이나 해치백 모델을 선택하라”며 “2만~3만 달러 예산으로 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차 가격 상승과 더불어 올해 중고찻값 급등세도 만만치 않다. 아이씨카(iSeeCars.com) 분석에 따르면 중고차 가격은 7월 전년 대비 거의 11% 또는 3364달러가 증가했다. 닛산 리프, 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셰볼레 볼트 전기 자동차를 포함한 중고 전기차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차량 유지 비용도 만만찮은 상황이다. 전국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소유 차량 모델과 관계없이 차량 소유 및 유지 비용은 매년 오르는 추세다. AAA에 따르면 차량 소유 비용은 일반적으로 연간 1만728달러, 월 894달러다. 이는 2021년 9666달러 또는 월 805.50달러에서 증가한 것이다. 이은영 기자차값 천정 신규 자동차 전기 자동차 자동차 전문
2022.09.13. 21:44
내년 신차 판매량이 올해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자동차 정보사이트 에드먼즈가 최근 전망했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에드먼즈는 공급망 혼란과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감산이 불러온 대기수요가 내년 신차 판매량에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내년 신차 판매량 예상치를 올해 예상치보다 1.2% 늘어난 1520만대로 제시했다. 내년 전기차 판매량은 6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에드먼즈는 공급망 혼란과 반도체 부족으로 업체들이 생산량을 줄이면서 신차 판매가 영향을 받았지만, 신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꺾인 것은 아니었다면서 이렇게 생긴 대기수요가 내년 이후 신차 판매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신차 평균 거래가격이 지난달 4만5872달러로 1년 전보다 5888달러 오르는 등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내년 최고치 경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신차 재고 부족이 불러온 중고차 시장의 활황세도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정보 제공업체인 IHS마킷은 내년 전국 신차 판매량을 1547만대로 예상했다.에드먼즈 자동차 내년 신차 자동차 전문 신차 판매가
2021.12.19. 12:38